이슈빠



본문

정전 때 빠졌던 南, 北과 종전선언.. 정상회담 합의문에 담길까

  • 작성자: Mobile
  • 비추천 0
  • 추천 2
  • 조회 1014
  • 2018.04.25
남북 정상회담 주요 의제 종전 논의..文대통령 '한반도 운전자론'에 힘입은 결과
53년 정전 협상 때는 북한, 중국, UN(미국)만 참석..南은 지분 크지 않아
종전 선언은 평화 협정 및 평화 체제까지 갈 수 있는 주춧돌
1953년 7월 27일 판문점에서 열린 휴전협정 조인식 모습. 유엔군 수석대표 윌리엄 해리슨(왼쪽 책상 앉은 사람) 중장과 공산군 수석대표 남일 대장(오른쪽 책상 앉은 사람)이 문서를 작성하고 있다.(국사편찬위원회 제공)
[이데일리 김영환 기자] 남북 정상회담이 오는 27일 개최되는 가운데 남북 정상이 합의를 볼 수 있는 가장 큰 의제로 종전 선언이 주목받고 있다. 이 회담에서 전쟁의 종식을 고한다면 1953년 정전 협정을 맺은 이후 휴전 상태로 고착된 한반도에 군사적 대치가 완화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정전협정 당시 주체가 우리를 제외한 UN(미국), 중국, 북한이었다는 점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거듭 주창해온 ‘한반도 운전자론’이 크게 탄력받을 전망이다. 우리의 운명을 남들의 손에 맡겼던 과거와는 달리, 적극적으로 한반도 의제를 우리가 이끌어간다는 점에서 그렇다.

종전 선언은 남북간 평화 협정은 물론, 국제적인 평화 체제를 만드는 단초가 된다. 군사적 대치 상태를 완화하고 나아가 북한의 체제 인정이나 북미 수교, 국제 사회 용인 등은 먼저 종전이 선언돼야 평화체제를 논의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다.

◇종전 선언, 南北이 다룰 수 있는 의제

정전 협정 체제의 종식은 남북 정상이 합의할 수 있는 가장 큰 결과물로 평가받는다. 한국전쟁이 전세계적 연합군이 투입된 냉전 시대의 산물이었고 그 중단도 미국과 중국, 북한이 주도적으로 결정했지만 여전히 휴전선을 놓고 대치하는 주체는 남과 북이라는 이유에서다.

근거도 비교적 명확하다. 지난 1991년 휴전 협정을 감독하는 군사정전위원회 수석대표 자리에 처음으로 우리군 장성인 황원탁 당시 소장이 임명됐다. 이후 1992년에는 북한과 중국이 군사정전위원회에서 철수하면서 1953년 당시 맺었던 협정 조항은 유명무실해졌다.

더욱이 국제적으로도 남북간 종전 논의에 긍정적인 신호를 보내면서 그 어느 때보다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점쳐진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남북간 종전 논의를 먼저 공개하면서 “축복한다”는 입장을 전했고 중국 역시 종전 선언 논의를 적극적으로 지지한다고 밝혔다.

특히 그간 북한이 정전 협정 대신 평화 협정 체결을 주장하면서 그 주체를 미국으로 삼아왔다는 것을 떠올리면 문 대통령의 ‘한반도 운전자론’이 그 역할을 한 것으로 여겨진다. 북한은 지난 1974년부터 미국과 평화 협정 체결을 모색했지만 우리측이 이를 용인하지 않으면서 걸림돌로 작용해왔다. 지난 1997년 스위스 제네바에서 남·북·미·중이 머리를 맞댔으나 성과 없이 끝났다.

다만 문 대통령은 24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의 통화에서 “종전 선언은 남북만의 대화로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 최소한 남북미 3자 합의가 이뤄져야 성공을 할 수 있다”며 조심스러운 입장을 보였다.

◇비핵화-종전 선언 논의 중심될 듯

남북의 종전 선언 논의가 트럼프에게도 전달된 점을 고려하면 남북간 상당한 수준의 의견 교환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역시 문제는 종전 선언에 앞서 선행돼야 할 비핵화 문제다. 북한이 비핵화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드러내지 않는 한 종전 선언은 뜬구름 잡는 이야기에 그칠 수밖에 없다.

남북 정상회담을 통해 도출된 합의를 ‘공동 선언’에 담는 과정에서 비핵화가 어느 수준까지 담길지가 최대 관심사다. 문 대통령의 대북 특사단은 물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방중 당시 여러 차례 비핵화와 관련된 언급을 한 것으로 확인됐지만 이를 문서에 명시하는 것은 또다른 차원의 문제다.

남북이 포괄적으로 비핵화에 합의한다고 하더라도 이후 단계적인 이행과정에서 언제든 발목을 잡을 가능성도 상존한다. 북한이 핵확산금지조약(NPT) 복귀나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 수용 과정에서 협상장을 박차고 나온다면 종전 선언의 의미는 빛이 바랄 수밖에 없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에 대해 “한반도 평화정착과 관련해 군사적 긴장 완화 등 신뢰 구축을 위해서 할 수 있는 조치, 나아가 항구적 평화 정착을 위한 조치들이 논의될 것”이라면서 “비핵화 문제와 종전 선언은 연계가 돼 있다. 비핵화 진전 없이 평화 정착으로 나간다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고 밝혔다.

김영환 (kyh1030@edaily.co.kr)


http://v.media.daum.net/v/20180424173542363?rcmd=rn

추천 2 비추천 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close]

댓글목록

이슈빠



이슈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쓰레빠 슬리퍼
177305 韓, 군함도 이후로 또 당할 판 쿠르릉 06.17 299 0 0
177304 "성노예 타령 언제까지 할거냐?" 쿠르릉 06.16 578 0 0
177303 하이브와 민희진 - 얻은 것과 잃은 것 (조… 안중근 06.13 903 0 0
177302 액트지오 보다 더 충격적인 석유공사 상황 세포융합 06.13 818 0 0
177301 삼겹살 근황 kKkkkKk 06.12 1006 0 0
177300 가계부채 '세계 1위'·자영업자 연체율 11… 자격루 06.10 1030 0 0
177299 대형마트(이마트, 롯데마트) 우우 가격 깐쇼새우 06.10 1037 0 0
177298 뉴욕 물가 근황 옵트 06.09 1208 0 0
177297 전역 예정자에게까지 매달리는 대한민국 국방 자일당 06.07 1585 0 0
177296 스타쉽 4차발사 실시간 중계 : 2024.6… 아냐모르냐 06.06 1210 0 0
177295 영일만 유전 발표에 야당 "천공의 그림자"‥… 이령 06.06 1238 0 0
177294 멀쩡한 가해자 근황에 '폭발' 시청률 터졌던… 오피니언 06.06 1286 0 0
177293 최저시급도 안 주고 수당 깎고…대구 청년 5… 인텔리전스 06.05 1242 0 0
177292 선넘은 레쓰비 근황 blueblood 06.03 1984 0 0
177291 강호동과 씨름했던 해병의 순직사건 당시 대대… 로우가 06.03 1891 0 0
177290 네이버 LINE 강탈위기, 무엇을 상상하든 … wlfkfak 06.03 1534 0 0
177289 헌재 5인 087938515 06.03 1625 0 0
177288 오늘자 물가인상 근황 ㄷㄷㄷ.jpg corea 06.01 1860 0 0
177287 법원 판결후에도 민희진 대표이사 해임 가능성 뽀샤시 06.01 2045 0 0
177286 법원 "민희진, 배신은 맞지만 배임은 아냐" 깐쇼새우 05.31 1593 0 0
177285 잠수교에 핫핑크를 깐쇼새우 05.30 1721 0 0
177284 채상병 사망 전 녹취파일 입수 “물 속에 있… 정찰기 05.27 2115 0 0
177283 악플 때문에 ㅈ살한 이태원 생존자 고등학생.… 희연이아빠 05.27 1955 0 0
177282 원조가 짝퉁 취급받게 된 이유 판피린 05.26 2092 0 0
177281 “판사가 구하라 동영상을 왜 봤을까…법복을 … corea 05.26 2272 0 0

 

 

컨텐츠 상단으로 이동

Warning: Unknown: open(/home/threppa.com/public_html/data/session/sess_5917a0dbad514813c24496783785c2c1, O_RDWR) failed: Permission denied (13) in Unknown on line 0

Warning: Unknown: Failed to write session data (files). Please verify that the current setting of session.save_path is correct (/home/threppa.com/public_html/data/session) in Unknown on line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