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세월호 사고 대통령 최초 보고자

  • 면죄부
  • 조회 10166
  • 이슈빠
  • 2018.03.30 09:16
  • 문서주소 - https://threppa.com/bbs/board.php?bo_table=0101&wr_id=107736

1.jpg

세월호 사고 발생 당시 첫 상황보고서가 대통령이 아닌 관저 요리담당사 김막업(76)씨에게 전달된 것으로 확인됐다.

당시 청와대 국가안보실은 오전 10시 10분까지 파악된 구조상황을 종합해 첫 상황보고서를 작성했다. 이 때부터 황당한 일이 발생한다. 세월호 첫 보고는 유선이나 전자보고가 아닌 사람이 직접 전하는 ‘인편’의 방식을 취했다. 이 때문에 국가안보실 상황병은 청와대 관저로 뛰어가는데에만 ‘7분’이 걸렸다. 문제는 이 보고서를 처음 받아본 것은 박근혜 전 대통령이 아니었다는 점이다. 보고서를 받은 관저 경호관은 이를 대통령이 아닌 ‘관저 요리담당사’ 김막업씨에게 전달했다. 김막업씨는 유일하게 박 전 대통령과 관저에 같이 살며 식사를 준비했던 사람이다.

김막업씨는 이 보고서를 직접 전하는 대신 평소처럼 박 전 대통령 침실 앞 탁자에 올려뒀다. 이 시간은 오전 10시 19분에서 22분사이로 이미 ‘골든타임’이 지난 시기였다. 기존의 보고체계 역시 김막업씨를 통해 박 전 대통령에게 전달된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상황이 급박해지자 김장수 전 국가안보실장은 박 전 대통령의 침실로 전화를 했다. 그러나 전화를 받지 않아 관저를 담당하던 안봉근 전 비서관에게 “상황이 급박하다”고 전했다. 안봉근 전 비서관은 침실 앞에서 대통령을 수차례 불렀다. 그제서야 김장수 실장은 박 전 대통령과 통화할 수 있었고 세월호 참사에 대한 대통령의 첫 지시가 이루어졌다. 이 때가 10시 22분 이후로 세월호가 이미 전복된 시간이었다.

첫 상황보고서를 대통령이 읽었는지는 여전히 확인되지 않았다.

이 같은 비효율적인 보고체계가 발생한 것은 박 전 대통령의 ‘사람에 대한 불신’이라는 지적이 있다. 관저 요리담당사 김막업씨는 과거 조선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박 전 대통령은 최순실 이외의 사람과 대화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어 “웬만하면 인터폰으로 다 했다”며 박 전 대통령이 최측근의 사람과 주로 소통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태도 때문에 평소 소통은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졌고 국가의 대형 참사 시에도 보고체계가 비정상적이었던 것 같다”고 지적했다.

추천 21 비추천 0

Pr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