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전범기업에 수백억 원 혈세 '펑펑' 쓴 대구시

  • 고증
  • 조회 1342
  • 2016.09.12 17:00

20160912135208916741.jpg
12일 대구 참여연대가 일본 전범기업에 대한 시민혈세 지원 중단을 촉구했다. (사진=권소영 기자)


일본 전범기업에 수백억 원의 혈세를 지원한 대구시에 대해 지역 시민단체가 규탄하고 나섰다.

대구참여연대는 12일 대구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일제강점기 조선인을 강제 동원한 스미토모사가 각종 혜택을 받아가며 대구에 진출해있다"며 "대구시는 전범기업에 대한 시민 혈세 지원을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민단체에 따르면, 대구시는 지난 2011년 성서5차 산업단지에 삼성그룹과 일본 스미토모 그룹의 합자회사인 ㈜SSLM을 유치했다. 

또 이 기업에 보조금 223억 원, 투자보조금 244억 원, 고용 및 교육훈련보조금 30억 원 등 수백억 원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2013년 삼성그룹이 지분 9.7%만 남긴 채 소유지분 전체를 스미토모화학에 매각함에 따라 스미토모화학이 ㈜SSLM의 대주주가 됐다


20160912135551578052.jpg
                     (사진=스미토모화학 홈페이지 화면 캡처)


스미토모화학은 '대일항쟁기피해조사 및 지원위원회'가 지정한 전범기업 목록에 오른 곳이다.

자료에 따르면 스미토모 그룹은 일제 강점기 당시 일본 66곳, 국내 43곳 등 100곳이 넘는 강제노역장을 운영하면서 수많은 조선인들을 동원했다.


상주(99명), 의성(98명), 구미(94명) 등 대구경북 지역에서도 수천 명에 달하는 조선인이 노역장에 끌려갔다.

임금도 일본인이 받는 수준의 80%에 불과했고, 그나마도 제대로 지급받지 못했다.

스미토모 그룹은 그간 자신들의 전쟁범죄에 대한 공식적인 사과나 반성, 배상 사죄를 하지 않았다.

대구참여연대는 "스미토모사가 전력을 감추고 대구에 진출한 것은 국민과 대구시민에 대한 모욕"이라고 비판하면서 스미토모사의 공개 사과와 배상을 촉구했다. 

이어 "책임을 묻기는커녕 막대한 시민혈세를 지원해온 대구시와 전범기업 진출에 앞장선 삼성은 대구시민에게 사과하고, 사태 해결에 책임을 지고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추천 3 비추천 0

Pr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