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박근혜 청와대는 '4·13총선 친박 감별' 지휘소였다

  • 거래중지
  • 조회 1419
  • 2018.02.02 09:41
  • 문서주소 - https://threppa.com/bbs/board.php?bo_table=0202&wr_id=195548
【서울=뉴시스】김선웅 기자 = 박근혜 전 대통령이 지난해 10월13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국정농단 사건 80차 공판에 출석하고 있다. 2017.10.13. mangusta@newsis.com



박근혜, 나랏돈으로 친박감별 여론조사
여론조사 돈 부족하자 국정원에 받아내
최경환, '친박' 당선 위해 공천위에 개입

【서울=뉴시스】표주연 기자 = 2016년 4·13 총선과정에서 벌어졌던 이른바 '친박감별'의 지휘부는 사실상 청와대였던 것으로 드러났다. 당시 청와대는 경쟁력 있는 '친박후보'를 국회의원으로 만들기 위해 불법행위를 가리지 않았다. 

검찰은 1일 박 전 대통령을 공직선거법상 부정선거 운동 혐의로 추가기소하고 현기환 ·김재원 ·조윤선 전 정무수석을 뇌물수수 혐의, 이병기·이병호 전 국정원장, 이헌수 전 국정원 기조실장 등을 뇌물 공여혐의로 기소한다고 밝혔다. 

박 전 대통령은 2016년 8월 4·13 총선 여론조사 명목으로 국정원으로부터 5억원을 받는 등 당시 선거에 부정하게 개입한 것으로 조사됐다. 

여론조사 목적은 박 전 대통령의 '친위대' 역할을 해줄 국회의원들을 대거 당선시키는 것이었다. 검찰은 ▲새누리당 비박계 현역의원 배제 ▲친박인물 대거 국회의원 당선 ▲친박세력 확대 및 새누리당 주도권 확보 목적으로 여론조사를 진행했다고 파악했다. 

여론조사는 새누리당의 강세 지역에 집중됐다. 대구 등 관심 지역구 7곳은 추이 분석을 위해 5~6회씩 여론조사가 반복 실시됐고, 서초·강남 등 전국 관심 지역구 약 80개곳도 여론조사 대상이 됐다. 박 전 대통령은 여론조사 결과를 수차례에 걸쳐 보고 받았다. 

이후 여론조사 비용이 약 12억원에 달하고 극비리에 진행되어 청와대 예산으로 충당할 수 없는 상황이 되자 청와대는 정무비서관을 통해 국정원에 자금지원을 요청해 5억원을 받아냈다. 


이때 자금을 요청한 인물은 현기환 전 정무수석이고, 실제 자금은 2016년 8월 후임이었던 김재원 전 정무수석에게 전달됐다. 청와대와 국정원은 2016년 8월26일 서울 북악스카이웨이 도로 상 주차장에서 전액 현금 5억원을 주고받았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0&oid=003&aid=0008425451

추천 1 비추천 0

Pr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