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남북, 과학·통신 분야 기술 표준화 논의 '급물살' 전망

  • HotTaco
  • 조회 1193
  • 2018.04.29 17:41
  • 문서주소 - https://threppa.com/bbs/board.php?bo_table=0202&wr_id=211850
한국공동사진기자단
4.27 남북정상회담에서 4차 산업혁명 시대 표준화 문제가 언급되면서 남북 간 과학·통신 분야 교류가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청와대 관계자에 따르면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27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에게 “북측도 과학기술 강국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안다”면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북한도 통신 산업을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할 텐데, 이러한 분야에서 남북 표준을 맞춰나가자”고 말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정상회담 전부터 '천연물' 분야를 협력 유망 분야로 점찍었다. '한반도 천연물 혁신성장 전략'을 세우고 남북 공동연구를 주요 과제로 제시했다. 북한에 1000여종 이상 천연물이 존재할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이 중 상당 수는 과학적 연구가 이뤄지지 않았다.

정부는 이들 천연물을 과학·표준화하하면 부가 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했다. 북한의 자원과 남한의 기술을 합치는 게 중요하다. 천연물 분야 협력 연구가 본격화되면 수입에 의존하는 소재를 자체 확보하는 시나리오도 가능하다.

북한은 고려링크와 국영기업인 강성네트, 별 등 3개 이통사가 3G WCDMA 서비스를 제공한다. 가입자는 500만명 수준으로 주파수는 우리나라와 같은 2.1㎓ 대역을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기초 수준의 음성로밍 조건은 갖춰져 있다는 평가다. 북한 자체단말기 기술표준 문제를 해소한다 남북 로밍이 가능하다.

LTE와 5G 분야는 협력 가능성이 더 높다. 사회발전정도와 재래식 무기체계 등을 고려하면 북한에는 우리에 비해 개척되지 않은 주파수 영역이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LTE와 5G 망 구축 초기부터 표준을 맞춰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의미다.

우리나라는 세계 최고 통신강국이다. 이를 기반으로 북한에 차별화된 인프라를 제공한다면 북한과 협력 기회가 많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5&oid=030&aid=0002703484

추천 2 비추천 0

Pr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