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미궁 빠진 ‘소각장-집단 암 발병’ 원인 규명…비공개 회의 자료에는?

  • 0101
  • 조회 833
  • 2021.07.03 22:23
  • 문서주소 - https://threppa.com/bbs/board.php?bo_table=0202&wr_id=329282

■ "소각장에 면죄부" 지역 사회 발칵…비공개 회의 자료 봤더니

환경부는 충북 청주시 북이면 일대 건강영향조사 결과를 발표한 뒤 지난달 21일, 외부 전문가 등이 참석하는 환경보건위원회를 열었습니다. 환경부 차관을 위원장으로 한 환경보건위원회는 환경성 질환 지정과 환경 보건 증진, 건강영향조사 청원 처리 등의 업무를 맡고 있습니다.

비공개로 이뤄진 이 회의에서는 어떤 이야기가 오갔을까요? KBS는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강은미 의원실을 통해 한 달 가까이 걸려 충북 청주 소각장 일대 건강영향조사와 관련된 환경보건위원회의 회의록과 동영상을 모두 입수해 분석했습니다.

처음 입수한 문건 형태의 회의록에는 "소각장과 집단 암 발병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어렵다는 환경부의 결론에 전문가 등 대부분 동의했다"고 나와 있습니다.

환경보건위원들의 자문 의견 주요 내용으로 "충북 청주 소각장에서 배출된 유해물질과 주민 암 발생간 역학적 관련성을 확인할 과학적 근거가 제한적이고, 명확하게 입증하기 어렵다는 환경부의 결론에 동의한다"는 점을 부각했습니다.

(...)


이 회의에서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교수인 김 헌 환경보건위원회 위원은 "(충북 청주시 북이면) 남성들은 담낭암, 여성들은 신장암이 증가하는 부분이 있고, 체내 카드뮴 농도가 높은 편"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다른 전문가들도 "유해물질에 의한 유전자 손상 지표 등도 소각장에서 거리가 멀수록 농도가 낮아졌고, 암 발생률도 감소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주민 유입 상태 등을 보고 판단해야 한다", "독성이 강한 카드뮴 노출 농도와 건강 영향 수준도 상당히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크롬 등 발암 물질 노출 가능성도 있다"고 언급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건강영향조사 결과에 대한 이런 지적과 우려에 대해 환경부 관계자들은 어떤 반응을 보였을까요?

피해 주민과 지역 사회가 요구하는 '재조사'와 관련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재조사' 대신, 주민들의 건강 상태가 어떤지 살피는 '모니터링(환경건강조사)'에 무게를 뒀습니다. "자료와 시간 제약으로 건강영향조사에 한계가 있었다"면서 "사후 관리와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고 했습니다.

위원장인 홍정기 환경부 차관은 "전문가 위원들의 말씀을 들어보면 이게 단정적으로, 소각장이 (집단 암 사망에) 영향을 준 것이 아니라고 하는 것은 아닌 거고…"라고 말합니다. '소각장'과 '집단 암'의 연관성을 간과해선 안 된다는 전문가들의 주장을 헤아리는 발언이었습니다.

회의는 차관이 회의장으로 들어선 뒤 1시간 남짓 이어지다 마무리됩니다. 외부 전문가 화상 연결이 종료되고, 회의장에는 환경부 공무원들만 남아 자리를 정돈하는 상황. 갑자기 홍 차관은 이런 말을 남깁니다.

"수고들 하셨어요. (그런데) 모니터링을 한다는 게 무슨 의미인지 모르겠어."


http://n.news.naver.com/article/056/0011073797

추천 0 비추천 0

Pr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