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이든, 인플레 대응 못한다”…물가상승 불만 치솟는 미국

  • 리미티드
  • 조회 455
  • 2021.11.22 08:23
  • 문서주소 - https://threppa.com/bbs/board.php?bo_table=0202&wr_id=345044

http://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4&oid=005&aid=0001485920


인플레이션 확대로 인한 미국인들의 불만이 치솟고 있다. 경제가 좋다고 여긴 미국인은 10명 중 3명에 불과했다. 코로나19 충격이 컸던 지난해 여름 이후 최저치다. 10명 중 7명은 조 바이든 대통령이 이런 문제를 제대로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고 봤다. 인프라법안 통과에 대한 긍정 여론은 과반을 넘어섰지만, 피부에 와 닿는 생활 물가 상승이 지지율 발목을 잡았다.


미 CBS방송은 여론조사기관 유고브와 공동으로 진행한 설문(지난 15~19일 성인 2058명 대상, 오차범위 ±3%포인트)에서 ‘경제가 좋다’는 응답이 30%에 불과했다고 21일 밝혔다. 이 같은 수치는 바이든 정부 출범 직후인 지난 3월 33%에서 지난 7월 45%까지 상승했다.


백신이 광범위하게 보급되면서 경제 회복이 본격화됐을 때다. 그러나 델타 변이에 의한 코로나19 재확산, 그로 인한 공급망 병목 문제 확대가 시작되면서 불과 넉 달 만에 15% 포인트가 쪼그라들었다.


미국인들은 대체로 인플레이션 발생 원인을 잘 이해하고 있었다. 응답자들은 팬데믹 이후 발생한 공급 및 제조 문제(84%), 전염병 확산 이후 노동력 부족과 임금 증가(59%), 경기 회복으로 인한 수요 증가(58%), 코로나19 구제 법안 등 정부의 부양책(50%) 등을 꼽았다.


그런데도 바이든 대통령이 인플레이션을 잘 처리하고 있는지 묻자 67%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바이든 행정부의 경제문제 해결 능력을 낮게 판단한 것이다.


특히 물가상승으로 재정적 곤경에 처했다는 응답은 24%, 그만큼은 아니지만 재정적으로 어려워졌다는 응답은 37%나 됐다. 응답자 61%가 인플레이션으로 가정 경제에 직접적 타격을 받았다고 답한 셈이다.

이들은 물건 구매 연기(80%), 여행(79%) 및 외식(75%) 축소 등의 방법으로 인플레이션에 대응하고 있다고 했다.

추천 0 비추천 0

Pr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