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옐런 부정하지만… 美 경제학자들 “1년 내 경기침체 온다” 경고

  • 면죄부
  • 조회 364
  • 2022.06.21 06:23
  • 문서주소 - https://threppa.com/bbs/board.php?bo_table=0202&wr_id=360035

http://n.news.naver.com/mnews/article/081/0003281384?sid=104


미국 고위 경제관료들이 잇달아 ‘경기침체 불가피론’을 부정하고 있지만 미 경제학자들은 경기침체를 기정사실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의 ‘자이언트스텝’(기준금리 0.75% 포인트 인상) 직후인 지난 16~17일(현지시간) 이코노미스트 53명에게 ‘향후 1년 안에 경기침체가 올 확률’을 물은 결과 평균 44%로 집계됐다고 19일 보도했다.


이는 과거 경기침체를 맞기 직전과 비교할 때 크게 높은 수치다.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인 2007년 12월에는 38%, 코로나19 직전인 2020년 2월에는 26%였다. 약 1년 전인 지난해 7월(12%)과 비교하면 3배가 훌쩍 넘는다.


각종 경제지표에 나타난 경제 여건도 팍팍하다. 지난달 물가상승률은 8.6%로 2007년 12월(4.1%)과 2020년 2월(2.3%)에 비해 크게 높았다. 소비심리도 역대 최악으로 얼어붙은 상태다. 지난달 실업률은 3.6%로 다소 안정적이나 2020년 2월 실업률도 3.5%에 불과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원자재 가격 쇼크 및 글로벌 공급망 혼란 등으로 초래된 인플레이션 심화, 이를 막기 위한 가파른 긴축으로 인해 급등하는 대출금리 등 악재가 꼬리를 물고 이어지는 상황이다.


반면 조 바이든 미 행정부는 경기침체를 막을 수단이 아직 남았다는 입장이다. 재닛 옐런 미 재무부 장관은 이날 ABC방송에 “경기침체가 불가피한 것은 아니다”라며 “미 노동시장은 2차 대전 이후 가장 강력하다. 조만간 인플레이션의 속도가 둔화할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수입 물가를 잡기 위해 중국산 일부 제품의 관세를 재검토할 가능성도 재차 시사했다. 제니퍼 그랜홈 미 에너지부 장관은 CNN에 “유류세 면제가 테이블 위에 놓여 있다”고 말했다.


고위 경제관료들의 이런 언급은 오는 11월 중간선거를 앞두고 스태그플레이션(고물가·저성장)이 정치적 악재로 부상하자 바이든 책임론을 떨어내려는 취지로 읽힌다. 옐런 장관은 이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식량과 에너지 가격이 오르고 있다”며 외부 요인으로 돌렸다.


추천 0 비추천 0

Pr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