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샤넬백 오픈런에 "흔해져서 싫다"…진짜 부자들이 택한 명품은

  • 몽구뉴스
  • 조회 728
  • 2022.07.19 15:23
  • 문서주소 - https://threppa.com/bbs/board.php?bo_table=0202&wr_id=362390
최고 부자는 가방→시계·보석에 관심…매출비중 ‘UP’
샤넬백 대중화…‘나만의 명품’ 보여주는 주얼리 선호


0003210608_001_20220719104802428.jpg?typ
지난해 12월 한 서울 시내 백화점을 찾은 시민들이 매장에 들어가기 위해 줄 서 있던 모습. [뉴시스]


서울의 A백화점 VIP고객인 안모(39)씨는 최근 지인 모임에 나가면서 이전에 즐겨 들고 다니던 샤넬 백을 매지 않았다. 안씨는 “최근 ‘샤넬 오픈런’(영업 시작 전부터 줄지어 대기하는 행위)으로 샤넬 백이 대중화되니 나만의 명품을 보여줄 수 있는 주얼리로 눈을 돌렸다”고 말했다. 안씨는 2000만원 상당의 반클리프앤아펠 목걸이를 착용하고 모임에 나갔다고 한다.

백화점 VIP(우수), VVIP(최우수) 고객 사이에서 명품 시계·보석의 성장 속도가 명품 가방보다 빠르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명품 가방을 사기 위해 ‘오픈런’을 넘어서 텐트를 치고 밤새 대기하는 ‘노숙런’이 벌어지고, 리셀러(되팔이)들이 마진을 얹어 일반인에게 되팔고 있는 가운데 차별화를 원하는 고객층이 이전보다 시계와 보석 구매에 관심을 더 보인다는 분석이다.


명품 시계·보석, 가방보다 성장 속도 빨라

19일 갤러리아백화점에 따르면 올 상반기(1~6월) 동안 연 2000만원 이상 구매한 VIP 고객의 전체 매출에서 명품 시계·보석 매출 비중은 22%였다. 전체 고객의 명품 시계·보석 매출 비중(16%)보다 6%포인트 높았다.

VIP 고객의 시계와 보석 매출 비중은 2020년 14%에서 2년 새 8%포인트 상승했다. 같은 기간 명품 잡화는 22%에서 27%로 5%포인트 늘었다.

이런 추세는 연간 1억원 이상을 구매하는 VVIP 고객에게서 더 두드러졌다. 올 상반기 명품 시계·보석 매출이 전년 대비 76% 이상 고신장했다. 해당 등급의 전체 구매 금액 가운데 명품 시계와 보석 매출 비중이 약 31%를 차지했다. 전체 고객의 명품 시계·보석 매출 비중(16%)의 두 배에 이른다. 2020년과 비교해도 명품 시계와 보석 매출 비중이 13%포인트 늘었다. 같은 기간 4%포인트 증가한 명품 잡화보다 비중이 큰 폭으로 늘었다.

0003210608_002_20220719104802506.jpg?typ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갤러리아 관계자는 이같은 명품 시계·보석 신장세에 대해 “차별화된 VIP서비스 등이 견인했다”고 말했다. VIP 고객의 자택에 방문해 주요 시계·보석 상품을 일대일로 컨설팅해주는 서비스(PS to Door)가 효과를 봤다는 설명이다. 갤러리아 관계자는 “고가 보석은 보안상 위험으로 백화점 반출이 어렵지만 최상위 VIP 등급인 PSR 등급(연 1억원 이상 구매)에 한해 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후략

기사출처 http://n.news.naver.com/article/025/0003210608


추천 0 비추천 0

Pr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