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울시의 반지하를 없애는 정책이 현실성 없는 이유

  • 안중근
  • 조회 859
  • 2022.08.11 21:23
  • 문서주소 - https://threppa.com/bbs/board.php?bo_table=0202&wr_id=363944

“지금 우리가 반지하에 살고 싶어서 사는 줄 안대요?”

11일 오후 침수 피해를 본 서울시 관악구 신림동 반지하 주택 앞에서 젖은 집기를 씻던 50대 윤모씨는 전날 서울시의 ‘반지하 가구 안전대책’에 분통을 터뜨렸다.

▶지하·반지하를 주거 목적으로 짓지 못하도록 법을 바꾸고▶10~20년의 유예기간을 준 뒤 기존 반지하 주택을 없애도록 하며▶상습 침수 지역 지하·반지하 주택 거주자에겐 공공임대주택 입주를 지원하거나 주거 바우처를 준다는 게 서울시 대책의 골자다.


그러나 침수 지역 반지하 세입자와 집주인들 서울시 대책에 물음표를 달고 있다. 윤씨는 “공공임대주택 입주가 쉬운 것도 아니고 우리 같은 사람들이 그나마 살만한 반지하를 떠나라면 어떡하라는 거냐”고 말했다. 가사도우미로 월 200만원 안팎을 번다는 윤씨의 물에 잠긴 집은 보증금 1000만원에 월세 40만원 짜리다. 신림동의 60대 주민 A씨는 “월세 20만~40만원에 방 두 칸을 구할 수 있는 동네는 사실상 서울에 여기밖에 없다”고 말했다.

신림동 반지하 주택 건물주 60대 권모씨는 “반지하에 어쩔 수 없이 사는 사람들이 대부분이고 쉽게 떠나지 않을 것”이라며 “집주인 입장에서도 용적률을 1층 더 올려주지 않는 이상 반지하에 세를 안 받을 이유가 없지 않느냐”고 반문했다. 일용직이나 비정규직 노동자인 경우가 많은 세입자들은 일자리가 몰려 있는 강남 등 도심과 멀어질수록 통근 비용이 치솟는다는 점도 도심과 가까운 반지하를 떠나기 힘든 이유로 작용한다. 이날 신림동 일대에는 물이 들어찬 집을 그대로 두고 일터로 나간 이들이 적잖았다. 빈집을 가리킨 한 이웃 주민은 “무릎까지 올라온 흙탕물을 그냥 두고 옆집이 오늘도 출근했다. 복구보다 먹고 사는 게 더 급한 사람들이 모여 사는 동네”라고 말했다.


(중략)


한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도심에서 저렴하게 직주근접하기 위한 거처로 반지하가 만들어졌는데 다짜고짜 없앨 경우 거주민들이 더 열악한 곳으로 내몰릴 수 있다”고 말했다. 최은영 한국도시연구소 소장은 “2010~2015년 재개발을 통해 반지하를 없앴더니 고시원의 거주자가 늘어났다”며 “현실적 이주 대책을 설계하는 게 정책 우선순위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서울시는 상습 수해지역이던 중랑구 중화동 일대를 2009년부터 재개발해 반지하 가구를 대폭 줄였지만, 이들의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데는 실패했다. 중화동에서 채소가게를 운영하는 60대 김모씨는 “예전에 살던 지인 중에 경기도 안양 등지의 셋집으로 옮기거나 아예 지방으로 낙향한 사람들이 많다”고 말했다. 70대 여성 주민도 “대부분 경기도 외곽으로 이사한 것으로 안다”며 “임대주택 얻어 갔다는 사람은 들어보지 못했다”고 말했다.

(후략)

http://news.v.daum.net/v/20220811194221172

반지하를 없앤다는 정책은 뒷받침이 될만한 정책을 보강한 뒤 천천히 시행해야 할듯해


추천 0 비추천 0

Print

select count(*) as cnt from g5_login where lo_ip = '3.141.193.158'

145 : Table './dbyeungab/g5_login' is marked as crashed and should be repaired

error file : /amina/print.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