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순 자산 32억8000만원 있으면 ‘상위 1%’···부동산이 81.4%

  • 안중근
  • 조회 1019
  • 2023.03.15 10:23
  • 문서주소 - https://threppa.com/bbs/board.php?bo_table=0202&wr_id=375074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서울스카이에서 내려다본 아파트 단지. 강윤중 기자

지난해 국내 순자산 상위 1% 기준은 32억8000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들 가구 자산 중 80% 이상은 부동산이었으며, 주식 등 직접 투자비율이 전체 가구 평균의 2배가 넘었다.

15일 통계청의 ‘2022년 가계금융복지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 기준 상위 1% 가구의 기준선은 32억7920만원이었다. 이는 표본 가구를 순자산 상위 순으로 나열한 뒤, 각 가구의 가중치를 고려해 상위 1%에 해당하는 가구의 순자산을 산출한 결과다. 2021년(29억원)과 비교하면 순자산 상위 1%의 기준선은 3억7920만원 상승했다.

지난해 상위 1% 안에 드는 가구의 평균 자산은 53억6882만원이었다. 이중 부동산 자산이 43억7249만원으로 전체 자산의 81.4%를 차지했다. 이는 전체 가구의 평균 부동산 자산 비중(73.7%)보다 높은 수준이다.

금융 자산은 9억91만원(16.8%)으로, 금융자산의 84.8%가 저축액(7억6376만원)이었다. 상위 1% 가구의 부채는 평균 5억1666만원이었다.

상위 1% 안에 드는 가구의 소득은 연평균 2억1632만원으로, 전체 가구 평균 소득(6414만원)의 3.4배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 중 근로소득이 9328만원, 사업소득이 3985만원, 재산소득이 7247만원이었다. 사업소득은 사업체를 운영하면서 얻는 순수입을, 재산소득은 임대·이자·배당 등으로부터 얻는 소득을 각각 말한다.

상위 1%의 근로소득은 전체 가구(4125만원)의 2.3배, 사업소득은 전체 가구(1160만원)의 3.4배였다. 전체 가구의 재산소득은 평균 426만원에 그쳐, 상위 1%와의 격차는 17배에 달했다.

http://v.daum.net/v/20230315072941448

추천 0 비추천 0

Pr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