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총선보다 살벌한 아파트 회장 선거

  • ABCDE
  • 조회 2813
  • 2016.04.15 10:03

 

지난달 31일 새벽 서울 강동구의 한 아파트단지에서 주민들끼리 말다툼이 벌어졌다. 욕설과 삿대질도 이어졌다. 이어 갑자기 비명이 터져 나왔다. 화를 참지 못한 이모(75)씨가 주변에 있던 흉기를 벽에 던진 것이다. 다행히 다친 사람은 없었지만 자칫 인명사고로 이어질 뻔한 아찔한 순간이었다. 
 
이 아파트단지는 전날 동대표 16명 가운데 한 명을 회장(입주자대표)으로 뽑는 선거를 치렀다. 투표가 끝나고 개표를 하려는데 일부 주민이 문제를 제기했다. ‘몇 명이 돌아가면서 동대표와 감사를 맡는 게 수상하다’고 반발했다. 개표가 미뤄졌고, 주민 20∼30명은 오후 8시쯤 동대표 회의실에 모여 회의를 했다. 시간이 흐르면서 회의는 비방과 폭로로 얼룩졌다. 다른 후보를 지지하는 주민들끼리 고성을 주고받았다. 
 
선거에서 참관인이었던 이씨의 아내도 다른 주민과 시비가 붙었다. 이 과정에서 격분한 이씨가 흉기를 던졌다. 즉결심판에 넘겨진 이씨에게 서울동부지법은 지난 8일 벌금 5만원을 선고했다. 이씨는 법정에서 “아내가 15명에게 언어폭력을 당하는 것을 참을 수가 없었다. 괴성이 들렸고 흥분을 참지 못했다”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아파트 입주자대표 선거는 ‘작은 선거판’이다. 정치권의 선거를 방불케 한다. 흑색선전, 상대후보 비방과 폭로, 부정선거 논란은 예삿일이 됐다. 폭력과 흉기도 종종 등장한다. 각종 이권이 걸려 있고, 입주자대표회의는 만만찮은 액수의 돈을 관리하지만 상대적으로 감시는 소홀하다. 지켜보는 눈이 없으니 비리가 뿌리내리고, 이 때문에 이웃끼리 고소·고발을 하는 악순환이 연출된다. 

지난달 25일 서울 성동구에선 입주자대표가 주민에게 막말하는 일이 벌어졌다. 동대표 11명이 모여 회의하던 중에 최모(72·여)씨가 ‘입주자 대표를 뽑는 선거의 선거관리위원 선출을 의결했는데 왜 빨리 진행하지 않느냐’고 말한 게 발단이었다. 입주자대표 신모(68)씨는 “감히 어디서 나한테 말대꾸를 하느냐. 죽여 버리겠다. 퇴장하라”고 말했다고 한다. 최씨는 명예훼손을 당했다며 신씨를 상대로 경찰에 고소장을 제출했다.

모든 분란의 출발은 무관심이다. 주민들이 입주자대표회의 운영과정이나 결산보고서, 선거 등에 관심을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흉기를 던지는 일이 빚어졌던 강동구 아파트단지의 경우 주민 대부분이 그런 사건이 있었다는 걸 알지 못했다. 지난 11일 만난 아파트 입주민 40여명 가운데 ‘그 일’을 아는 사람은 3명뿐이었다. 

아파트 비리는 지방자치단체에서 관리할 수 있지만 주민 다툼까지 개입하기는 쉽지 않다. 서울의 한 구청 관계자는 14일 “아파트 비리와 관련해 민원이 들어오면 실태조사로 회계 등 감사를 할 수 있다. 하지만 주민 간 다툼은 자체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일”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자정(自淨) 노력’을 강조한다.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중앙정부나 지자체에서 아파트 입주자대표회의는 물론 아파트 일에 적극 참여하는 주민에게 인센티브를 주는 방식을 도입하거나 모든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도록 해야 한다”며 “입주자 대표 등의 잘못으로 바라보기보다는 주민 자치나 아파트공동체를 활성화하는 방향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 

 

 

 

국회의원이나 다를게 없네. 

 

대표로써 봉사한다는마음보다는 돈만밝히니... 

 

국내 모든 아파트의 동대표는 특별세무조사를 착수해야한다. 

 

금액 단위가 장난이 아니다.

추천 10 비추천 0

Pr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