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이수지 작가 한국 첫 ‘아동문학 노벨상’ 안데르센상 수상…“너무 큰 상, 얼떨떨”

  • 온리2G폰
  • 조회 660
  • 2022.03.22 11:23
  • 문서주소 - https://threppa.com/bbs/board.php?bo_table=0208&wr_id=28820
http://n.news.naver.com/mnews/article/016/0001966725?sid=103





“그림책 세계로 들어오도록 한 작가분들 이름 옆에 설 수 있다는 게 영광이죠. 너무 큰 상이어서 얼떨떨 합니다.”

그림책 ‘여름이 온다’의 이수지(48) 작가가 ‘아동문학계 노벨상’이라 불리는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상을 수상했다. 국제아동청소년도서협의회(IBBY)는 21일(현지시간) 이탈리아 볼로냐 국제아동도서전 개막 기자회견에서, 안데르센상 일러스트레이터 부문 수상자로 이수지 작가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한국 작가가 안데르센상을 받은 것은 처음이며, 아시아에서는 1984년 일본 작가 미쓰마사 아노 이후 38년 만의 수상이다.

안데르센을 기려 1956년 제정된 상은 앤서니 브라운,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등 세계적인 작가들이 수상했으며, 책 한 권이 아니라 작가의 아동문학에 대한 그간의 공헌을 평가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 작가는 ‘여름이 온다’로 지난 달 이탈리아 볼로냐 라가치상 픽션 부문 ‘스페셜 멘션’(우수상에 해당)에 선정, 겹경사를 맞았다. 지난해 중국 작가 차오원쉬엔(曺文軒)의 글에 그림을 그린 ‘우로마’로 이 상을 받은 데 이어 2년 연속 수상이다.


이 밖에도 이 작가는 ‘이 작은 책을 펼쳐봐’로 보스턴글로브 혼 북 명예상을 수상하고, ‘파도야 놀자’와 ‘그림자놀이’는 뉴욕 타임스 우수 그림책에 선정되기도 했다.

이 작가는 1996년 서울대 서양화과를 졸업, 2001년 영국 캠버웰예술대에서 북아트 석사를 마친 뒤 본격적인 그림책 작가의 길로 들어섰다.

그는 “그림책은 여러 장르를 매개하기 좋은 매체”라며, 실험적인 형식을 시도하는 게 즐겁다고 밝혔다.

‘여름이 온다’는 작가가 비발디의 ‘사계’ 중 ‘여름’에서 영감을 받아 작업한 것으로, 색종이 콜라주, 연필 드로잉, 수채, 아크릴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해 계절의 역동성과 아이들의 활기를 표현한 작품이다. 책 날개에 QR코드를 담아 비발디의 ‘사계’를 들으며 책을 읽을 수 있도록 했다.

올해 6월께 출간할 신작에도 미국 작가가 쓴 글에 새로운 시도를 했다. 멀리 떨어져 있는 할머니와 손자가 서로 그리워하는 모습을 표현하기 위해 종이에 구멍을 뚫어 창으로 내다보는 것 같은 느낌을 구현한 것이다.

그림책 작가이지만 그 역시 열렬한 독자이기도 하다. “좋은 그림책을 보면 '나도 이런 걸 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집에 그림책이 무척 많고 늘 곁에 두는데 두 아이보다도 제가 보기 위한 것이다. 좋은 그림책을 보면 애들을 앉혀놓고 읽어주곤 했다”고 그림책 사랑을 표현했다.

그는 그림책을 “들고 다닐 수 있는 예술, 한번 보고 책장에 꽂아놨다가 언제든지 다시 펼쳐볼 수 있는 예술”로 정의했다.

“그림책은 0세부터 100세까지 보는 책이에요. 아이들이 어렸을 때부터 그런 예술을 접할 수 있으면 그보다 더 좋은 건 없을 것 같아요.”

이윤미 기자/meelee@heraldcorp.com

추천 0 비추천 0

Pr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