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여성 생식 관련 이력, 치매 위험과 연관있다"

  • 도시정벌
  • 조회 1549
  • 2022.04.06 10:23
  • 문서주소 - https://threppa.com/bbs/board.php?bo_table=0208&wr_id=28933
생략

평균 11.8년의 추적 기간에 이들 중 여성 1천866명, 남성 2천202명이 치매 진단을 받았다.

전체적으로 초경과 폐경 시점이 평균 연령보다 늦거나 자궁절제 수술 등으로 체내에서 자연 분비되는 여성 호르몬인 내인성 에스트로겐(endogenous estrogen)에 노출되는 전체적인 기간이 짧으면 치매 위험이 최대 40%까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그러나 임신(임신중절 포함) 이력이 있고 생식 수명(reproductive lifespan)이 비교적 길고 폐경이 늦고 피임약을 사용한 여성은 치매 위험의 최대 20%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 결과는 여성의 생식과 호르몬 관련 요인들이 치매 위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폐경기에 호르몬 치료를 받는 여성은 노화에 따른 인지기능 저하 위험이 낮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그러나 자녀의 수와 치매 사이의 연관성은 남녀가 비슷했다.

이는 임신이라는 신체적인 경험이 인지기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연구팀은 해석했다.

생식 관련 이력과 치매 위험 사이의 연관성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12세 이전 초경: 치매 위험 20%↑ (13세 초경 대비)

▲14세 이후 초경: 치매 위험 34%↑ (13세 초경 대비)

▲임신 이력 있으면 치매 위험 15%↓

▲21세 이전 첫 출산 치매 위험 43%↑ (25~26세 첫 출산 대비)

▲임신중절 1회 마다 치매 위험 18%↓

▲47세 이전 자연 폐경 치매 위험 32%↑ (50세 폐경 대비)

▲자궁절제 수술 치매 위험 12%↑

▲난소절제 수술 후 자궁절제 수술 치매 위험 2.35배↑

▲경구피임약 복용 치매 위험 20%↓

▲자녀가 없으면 치매 위험 여성 18%↑ 남성 10%↑ (자녀가 2명 있는 남녀 대비)

이 연구 결과는 온라인 과학 포털 '공공 과학도서관-의학'(PLoS Medicine)에 실렸다.

http://news.v.daum.net/v/20220406092153207

추천 0 비추천 0

Pr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