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유튜브는 잠을 방해하고, TV는 잠을 돕는다?

  • 이슈탐험가
  • 조회 980
  • 2022.09.14 22:23
  • 문서주소 - https://threppa.com/bbs/board.php?bo_table=0208&wr_id=29727
휴대전화, 유튜브, 넷플릭스, TV, 게임…. 각종 디지털 기기와 앱들은 수면의 적이다. 그런데 호주의 연구팀이 수면에 미치는 디지털 기기와 앱들의 영향을 개별적으로 분석해봤더니 ‘수면의 적’ 1위는 단연 유튜브였다. 전통 매체에 해당하는 TV는 오히려 수면 시간을 앞당긴다는 조사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십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다.
호주 플린더스대와 수면 전문가 그룹 ‘윙크 슬립(WINK Sleep)’의 연구진은 십대의 수면과 디지털 기기 및 앱 사용 간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711명의 12~18세 청소년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진은 참가자가 ▶자기 전 1시간과 ▶취침 전 침대에서 디지털 기기와 앱을 사용한 시간을 파악했다. 휴대전화, 게임, TV는 물론 스트리밍 서비스인 넷플릭스, 유튜브 등이 평가 요소에 포함됐다. 참가자들은 디지털 기기와 앱을 사용한 밤의 수면과 다음 날 졸음에 대한 설문지를 추가로 작성했다.

휴대폰의 경우, 자기 전 30분 사용만으로도 잠에 드는 시간을 9분 늦췄다. 유튜브의 경우 수면에 미치는 악영향이 일관됐다. 잠에 드는 시간을 늦췄고, 수면 시간을 줄게 했고, 다음날엔 유튜브 사용자를 졸게 만들었다. 침대에서 30분간의 유튜브 시청은 소등 시간을 최대 13분 정도 지연시킨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에 참여한 십대들이 유튜브 시청에 15분을 할애할 때마다 7시간 미만으로 잠을 자게 될 가능성은 24% 높아졌다. 반면 침실 바깥에 놓인 TV를 시청할 경우 수면을 위한 소등 시간이 9분 빨라진 것으로 조사됐다.


생략

http://v.daum.net/v/20220914220020200


TV 보고 자라

추천 0 비추천 0

Pr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