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성인 절반이 하루 두끼 식사…삼시 세끼보다 나을까?

  • 미해결사건
  • 조회 1407
  • 2022.11.04 15:08
  • 문서주소 - https://threppa.com/bbs/board.php?bo_table=0208&wr_id=30017

게티이미지뱅크

하루 두끼만 식사하는 성인 남녀 비율이 삼시 세끼 식사하는 성인보다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20 ∼ 30 대에선 하루 두끼,  40 세 이상에선 하루 세끼 비율이 높았다.

유준현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교수팀이  2016 ∼ 2018 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19~49 세 7, 725 명(남 3, 270 명, 여 4, 455 명)을 대상으로 식사 규칙성을 분석한 결과다.

유 교수팀은 연구 대상을 하루 세끼 규칙적으로 식사(주 5회 이상)하는 그룹, 하루 두끼를 규칙적으로 식사(주 5회 이상)하는 그룹, 하루 한끼를 규칙적으로 식사(주 5회 이상)하는 그룹, 다이어트 등을 위해 매주 5회 이상 식사를 하지 않는 그룹 등 네 그룹으로 나눴다.

연구 결과, 하루 두끼 식사하는 비율이 전체의  48 %로, 거의 절반을 차지했다. 삼시 세끼 식사하는 비율( 37 %)보다 오히려 많았다. 한끼 식사 비율은 전체 성인의  13 %였다.

젊은 층일수록 하루 두끼 식사, 나이 들수록 하루 세끼 식사 비율이 높았다. 특히  20 대와  30 대 청년층의 하루 두끼 식사 비율은 높고, 하루 세끼 식사 비율은  40 세 이상에서 높게 나타났다.

여성은 불규칙한 다이어트와 하루 한끼 식사 비율이 높았다. 홀로 삶과 미혼에서 주 5회 이상 식사를 하지 않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현재 흡연자와 음주자는 하루 두끼 식사할 가능성이 컸다.

이번 연구에선 하루 세끼 섭취 그룹을 제외하고 어느 그룹도 1일 에너지 섭취 권장량을 채우지 못했다.

유준현 교수는 “하루 세끼 식사하는 사람의 체중·체질량지수( BMI )·허리둘레·혈압·공복 혈당·총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수치 등 건강 프로파일이 더 좋았다”며 “식사를 자주 거르면 배고픔 관련 호르몬을 높여 체중이 늘어날 수 있고, 심혈관 질환 위험을 높이는 대사 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고 했다.

연구 결과는 대한가정의학회지 최근호에 실렸다.

추천 0 비추천 0

Pr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