甲오브쓰레빠



본문

그리스가 우리에게 주는 진정한 교훈

  • 작성자: 뻑킹코리아
  • 비추천 0
  • 추천 41
  • 조회 14238
  • 정치/경제빠
  • 2015.07.04

근거 없는 복지 포퓰리즘을 운운하는 글이 아니라 퍼 왔습니다.

 

출처 : http://www.huffingtonpost.kr/joseph-e-stiglitz/story_b_6619468.html

 

 

5년 전 유로 위기가 시작됐을 때 케인스주의 경제학자들은 그리스를 비롯해 위기에 처한 여러 유럽 국가에 강요된 긴축 정책이 실패할 거라고 예측했다. 즉, 성장을 억누를 것이고 실업률을 악화시킬 것이며 더 나아가 GDP 대비 부채 비율을 낮추는 데도 실패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반면 유럽위원회(EU의 집행기관), 유럽 중앙은행(ECB), 또 몇 개 대학들은 '(성장을 촉진하는) 확장적 재정긴축(expansionary contractions)'을 주장했다. IMF 같은 기관조차도 정부 재정지출 삭감 같은 것들은 무슨 말로 표현해도 긴축정책이 아닐 수 없다고 지적했는데도 말이다.

우리에게 또 한 번의 실험은 필요하지 않았다. 긴축정책은 주식 시장 폭락을 대공황(the Great Depression)으로 이어지게 만든 허버트 후버 대통령의 그 유명한 사례에서부터, 90년대 동아시아와 남미에 강요됐던 'IMF 프로그램'에 이르기까지 계속해서 실패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리스에 문제가 생기자 또다시 긴축정책이 시도됐다.

그리스는 유럽 연합 집행 기관, 유럽 중앙은행, IMF로 형성된 '트로이카'가 요구하는 사항을 상당 수준 성공적으로 이행했다. 정부의 재적 적자를 흑자로 바꿨다. 그러나 그에 따른 정부 지출 감소는 예고했던 것처럼 파괴적인 결과를 낳았다. 실업률이 25%로 치솟았고, 2009년 이후 GDP가 22%나 감소했으며, GDP 대비 부채 비율도 35% 증가했다. 긴축 반대를 외친 시리자가 최근 선거에서 크게 승리한 건 '이제 겪을 만큼 겪었다'는 그리스 유권자들의 선언과도 같다.

그렇다면 이제 뭘 해야 하는가? 우선 한 가지 분명히 해둘 게 있다. 만약 트로이카의 치료제가 투여된 국가 중 비참한 실패를 맞본 게 그리스뿐이라면 그리스를 탓할 수 있다. 그러나 위기가 닥치기 전에 흑자였고 부채 비율도 낮았던 스페인은 오히려 지금 불황을 겪고 있다. 따라서 지금 필요한 건 그리스나 스페인 내부의 구조 개혁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유럽 통화동맹의 크나큰 실패를 자초한 유로존(eurozone)의 기획에 대한 구조적 개혁과 정책 체계에 대한 근본적 재고다.

또 그리스는 전 세계적인 채무 구조조정이 얼마나 필요한지를 상기시켜주는 사례다. 과도한 채무는 2008년 금융위기는 물론 1990년대 동아시아 외환위기, 또 1980년대 중남미 위기를 야기했다. 겉으로 드러나지는 않고 있지만 미국에서는 자신들의 집을 잃은 수백만명의 고통이 계속되고 있으며, 스위스프랑 채무를 안고 있는 폴란드를 비롯한 여러 국가의 수백만 인구도 위기에 몰아넣고 있다.

과도한 부채로 인한 빈곤이 얼마나 심각한지를 생각해볼 때, 누군가는 왜 개인과 국가가 스스로 그런 상황으로 자신들을 몰아넣고 있는 건지 의아해할 수 있다. 결국 그런 부채도 일종의 계약, 자발적인 계약이다. 채무자만큼이나 채권자에게도 그만한 책임이 있다. 사실 어떻게 생각하면 채권자의 책임이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채권자는 일반적으로 전문성이 높은 기관인 반면 채무자는 시장 변화와 자신들이 맺고 있는 계약에 대한 위험성에 대해 잘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사실 우리는 미국 은행들이 그런 채무자의 무지를 악용해 자기 이익을 챙겼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모든 (선진)국은 새롭게 출발할 수 있는 기회가 개인에게 지속적으로 부여될 때 자본주의가 작동한다는 사실을 깨닫고 있다. 채무자를 감옥에 가뒀던 19세기의 제도는 실패했다. 비윤리적인 것은 물론, 돈을 갚도록 하는 데도 별로 효과가 없었다. 효과적인 방법은 따로 있었다. 채권자들이 (돈을 빌려주기로 한) 자신들의 결정에 더 큰 책임을 지도록 함으로써 건전한 대출에 더 많은 인센티브를 부여한 것이다.

국제적인 차원에서 보면, 우리는 국가 차원에서 새로운 출발의 기회를 부여하는 체계적인 절차를 아직 마련하지 못했다. 2008년 경제 위기 이전부터 유엔은 이미 거의 모든 개발도상국과 신흥국들의 지지를 바탕으로 이런 정책 틀을 만드는 방안을 추진해왔다. 그러나 미국은 단호하게 반대해왔다. 채무국 관리들을 위한 '채무자 감옥'을 다시 만들어 보려고 하는 게 아닐까 싶다 (만약 그렇다면 관타나모에 자리가 조만간에 빌 것 같다).

'채무자 감옥'이라는 표현이 터무니없는 과장처럼 들릴지 모르지만, 요즘 자주 언급되는 도덕적 해이니 도덕적 책임이니 하는 말에 비추어 보면 꼭 그렇다고 할 수도 없다. 즉, 만약 그리스에게 채무 재조정을 허락하면 그리스는 또다시 스스로 위기에 빠지게 될 것이고, 다른 국가도 마찬가지일 것이라고 우려하는 이들 말이다.

그건 완벽한 헛소리다. 정신이 제대로 박힌 사람이라면 이 세상의 어느 국가가 오로지 채권자들에게 돈을 갚지 않으려고 그리스가 겪은 그런 사태를 일부러 자초할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을까? 도덕적 해이 같은 게 존재한다면, 그건 채권자들의 몫이다. 특히 매번 정부의 구제금융을 받고 있는 은행들을 생각해보라. 만약 유럽에도 기업(은행)의 과실로 생긴 민간부채가 (정부 구제금융에 따른) 공공부채로 탈바꿈하도록 허용됐다면 - 이건 지난 반세기 동안 꾸준히 반복되어 온 패턴이다 - 그리스가 아니라 유럽이 그 책임을 져야 했을 거다. 사실 엄청난 부채율 증가를 포함해 지금 그리스가 겪고 있는 문제들 중 대부분은 트로이카가 강요한 엉뚱한 프로그램이 실패한 결과에 훨씬 더 가깝다.

따라서 채무 재조정 요구가 '부도덕'한 게 아니라 채무 재조정이 없다는 게 부도덕한 일이다. 그리스가 현재 겪고 있는 어려움은 그리 특별한 일이 아니다. 다른 여러 국가도 비슷한 상황에 닥쳤었다. 다만 그리스의 문제를 다루기 더 어렵게 만드는 건 유로존의 구조다. 통화 동맹의 일부로 묶여 있기 때문에 위기에 처한 회원국들은 화폐 평가 절하라는 수단을 사용할 수 없으며, 사태 해결에 필요한 정책적 유연성을 위한 최소한의 결속도 유럽 국가들이 전혀 보이지 못하고 있다.

70년 전 제2차 세계 대전 직후, 연합국들은 독일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난 이후 독일에 더 많은 부채를 안긴 결과 실업률(인플레이션이 아니라)이 치솟았고 그런 상황에서 히틀러가 등장했다는 사실을 깨달았던 것이다. 연합국은 독일의 무책임한 부채 증가나 독일이 다른 국가에 얼마나 큰 손실을 입힐 것인지는 문제 삼지 않았다. 오히려 독일의 모든 부채를 탕감했을 뿐만 아니라, 독일에 주둔한 연합국들은 재정 부양책을 제공하며 독일 경제의 회생을 도왔다.

기업이 파산할 경우, 출자전환(debt-equity swap)은 매우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방안으로 이용된다. 이와 비슷한 방법을 그리스에 적용한다면, 기존의 채권을 GDP와 연결된 채권(GDP-linked bonds)으로 바꾸는 방안이 있을 수 있다. 그리스 (경제)가 잘 되면 채권자들도 더 많은 돈을 돌려받을 수 있게 된다. 그렇지 않다면 채권자들도 그만큼 손해를 입게 된다. 이렇게 되면 양쪽 다 성장 회복 정책을 시행할 강력한 유인을 갖게 된다.

민주주의 선거가 이번 그리스에서처럼 확실한 민중의 목소리를 전하는 역할을 하는 경우는 드물다. 변화를 추구하는 그리스의 목소리를 유럽이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그건 적어도 경제적인 차원에서는 민주주의가 중요하지 않다고 하는 것과 다름없다. 그런 자세를 고수하려면, 2차 세계 대전 바로 전에 뉴펀들랜드가 파산하면서 아예 민주주의를 폐쇄하는 것처럼 하는 게 나을지도 모른다.

부채와 긴축정책의 경제학을 이해하면서 또 민주주의와 인도적인 사회를 지향하는 사람들이 승리하기를 바란다. 그렇게 될지 안 될지는 두고 봐야 하겠지만 말이다.




추천 41 비추천 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close]

댓글목록

김정은갈치님의 댓글

  • 쓰레빠  김정은갈치
  • SNS 보내기
  • 우린 복지없이 세금만 인상되면서 망할걸요?
0

Ted77님의 댓글

  • 쓰레빠  Ted77
  • SNS 보내기
  • 상류층의 탈세와 부정부패, 부자감세 서민증세
0

다비실바님의 댓글

  • 쓰레빠  다비실바
  • SNS 보내기
  • 유로화로 인한 환율 조정 기능 상실이 원인이란 건 유치원생도 아는 사실
0

킬미님의 댓글

  • 쓰레빠  킬미
  • SNS 보내기
  • 부패한 상위 1%때문에 무너졌죠.
0

와이지메일님의 댓글

  • 쓰레빠  와이지메일
  • SNS 보내기
  • 분명 경제 규모와 성장에 맞지 않는 복지도 한몫하기는 했지만, 그리스 부도의 가장 큰 이유는 유럽연합으로 인한 유로화 사용과 정부와 고위급들의 부정부패입니다.
0

끼륵님의 댓글

  • 쓰레빠  끼륵
  • SNS 보내기
  • 썩은정권과 부정부패 공무원비리 때문. 이말인즉 한국도 그리스가 보인다는 점.
0

EmpireDevil님의 댓글

  • 쓰레빠  EmpireDevil
  • SNS 보내기
  • IMF 교훈을 잃어버린 한국
0

킴뷸리가너님의 댓글

  • 쓰레빠  킴뷸리가너
  • SNS 보내기
  • 한국도 부정부패당이 연속으로 정권을 잡고 있으니 남의 얘기가 아니다.
0

정찰기님의 댓글

  • 쓰레빠  정찰기
  • SNS 보내기
  • 한국이 망하면 그리스랑 같은 이유로 망할 듯
0

Llllllll님의 댓글

  • 쓰레빠  Llllllll
  • SNS 보내기
  • 우리나라도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함.
0

Cjmedia님의 댓글

  • 쓰레빠  Cjmedia
  • SNS 보내기
  • 1.탈세 때문
    2.과도한 복지 때문
0

쿠헬헬님의 댓글

  • 쓰레빠  쿠헬헬
  • SNS 보내기
  • 중요한건 한국도 이대로 가면 그리스 꼴 난다는 사실.
0

쓰레빠관리자님의 댓글

  • 쓰레빠  쓰레빠관리자
  • SNS 보내기
  • 언제나 좋은 글 감사합니다. 해당 글은 쓰레빠 공지 기준에 근거하여, 甲오브쓰레빠에도 복사되었습니다!
0

psyplay님의 댓글

  • 쓰레빠  psyplay
  • SNS 보내기
  • 하얀건 바탕이요
    까만건 글인건가?
    꽤 어렵게 써놓았네요
    결국은 긴축은 불타 망해가는 그리스에 기름을 붓는격이고
    이것은 그리스는 물론이요..
    채권자에게도 유리할것이 없다..
    그러니 채권자도 받을 돈을 생각하기보다 그리스의 재건을 도와야한다
    이건가요?
0

甲오브쓰레빠



甲오브쓰레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쓰레빠 슬리퍼
8873 이슈빠 유세 중 고충 4 장프로 04.22 14179 30 0
8872 유머빠 30대까지 체력 비교 12 폭폭 10.12 14179 14 0
8871 유머빠 서울은 치킨시키면 젓가락 안주나요?? 7 면세 09.21 14178 10 0
8870 사회빠 어이상실! 조리 안된 양파는 식품일까? … 27 Charming 12.21 14177 51 0
8869 사회빠 자식 교육의 문제가 심각한 수준이다. 27 10JQKA 09.11 14176 88 3
8868 유머빠 빅뱅이 예상하는 5년 후 빅뱅 8 펜톡 03.15 14175 18 0
8867 정치/경제빠 [그때그뉴스] 조훈현 9단 VS 전두환 … 12 뻑킹코리아 07.04 14173 30 0
8866 이슈빠 외로운 젊은 우파 9 온리2G폰 11.28 14172 19 0
8865 유머빠 F받은 게 너무 억울한 에타녀 8 이령 06.24 14168 17 0
8864 유머빠 미국 법정 서기들이 직접 듣고 기록한 실… 6 8Seconds 04.02 14167 14 0
8863 이슈빠 그알 마지막 ooo .jpg 14 never 12.18 14166 35 0
8862 이슈빠 한겨레 기자 트윗 .jpg 9 blueblood 04.26 14165 31 0
8861 이슈빠 미국인의 기증 6 아아 01.16 14165 34 0
8860 유머빠 31살에 2000억 벌고 잠정 은퇴한 사… 7 ALL가이드 06.12 14163 14 0
8859 이슈빠 박은혜 집 CCTV에 찍힌 상습 택배 절… 13 썩을 01.15 14162 16 0
8858 유머빠 태풍의 힘 5 패턴을그리세요 07.13 14161 22 0
8857 유머빠 중앙일보 기자 3대독자 설 차례상 도전기… 15 이히힝 02.06 14160 28 0
8856 사회빠 '갑질 논란' 몽고식품, 직원 2명 복직… 26 힙합의신발 01.05 14158 42 0
8855 유머빠 밥그릇이 작아진 이유 4 웅그래 11.12 14158 26 0
8854 유머빠 내부자들 보러 가신 김건모 어머니.jpg 7 난기류 02.08 14157 17 0
8853 유머빠 라이터 몰카 오해녀 10 폭폭 05.28 14157 18 0
8852 유머빠 역전 만루홈런 치고도 무시당한 타자 6 쥐며느리 09.24 14156 15 0
8851 유머빠 의외로 몸에 좋은행위 9 흑련 04.17 14156 13 0
8850 유머빠 누나가 보내준 귤 6 꼬깔콘 12.05 14155 17 0
8849 이슈빠 기레기 뼈를 때리는 기자 페북 6 협객 05.28 14153 39 0

 

 

컨텐츠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