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빠



본문

[WELT]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광탈에 대해 인터뷰한 필립 람

  • 작성자: 15990011
  • 비추천 0
  • 추천 0
  • 조회 432
  • 번역기사
  • 2018.07.13

필립.jpg [WELT]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광탈에 대해 인터뷰한 필립 람


세줄요약 有


성공은 미묘한 문제입니다.

그것은 달콤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줍니다. 하지만 성공은 새로운 도전을 만들어냅니다.

 

저의 가장 중요한 경험 중 하나는 동일한 방법으로 두 번 성공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는 사실입니다.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의 예는 이를 매우 분명하게 보여줍니다.

2014년 브라질에서 세계 챔피언이 된 이래로 독일의 선수 중 그 누구도 축구하는 방법을 까먹지 않았습니다.

또한, 코치들은 여전히 ​​선수들의 능력을 최대로 발휘시키기 위해서 어떤 전술적 트릭을 사용해야 하는지, 어떻게 동기 부여 해야 하는지를 알고 있습니다.

 

브라질 월드컵과 러시아 월드컵에서의 차이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몇 개의 작지만 중요한 배경 상황을 살펴보아야 합니다.

 

2014년에 팀의 뼈대를 이루었던 선수들은 유스 센터에서 훈련받았지만, 여전히 가족과 함께 생활하였습니다.

, 유스 센터의 코치들에게서만 배우지 않고, 그들의 가족에게서 영향을 받았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가족들에게서 배우게 되는 것은 모두에 대한 생각입니다. 가족과 자신이 속해 있는 팀을 위한.

 

오늘날의 세대는 100% 유스 센터의 성과입니다.

청소년들은 유스 센터에서 훈련하고 경기하며 생활합니다. 그들의 야망은 분명하게 정해져있습니다

프로가 되는 것


그들은 자신의 유명한 롤모델들과 같은 커리어를 원합니다.

그들은 사회적으로 스타가 되기를 원하며, 돈을 벌고 싶어합니다.

바이언 유스 센터에 생활하는 15살의 선수는 가능한 한 빨리 프로계약에 서명하는 것 외에 다른 목표를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내 오랜 동료이자 팀원인 미로슬라브 클로제와 같은 경력은 오늘날 불가능합니다.

클로제는 목수를 직업으로 가진 채로 축구를 했습니다. 분데스리가에서 프로 선수로 뛰기 전까지는 카이저슬라우테른의 아마추어 팀에서 뛰었으며, 결국 23살에 국가대표팀 첫 경기를 가졌습니다스물셋에 데뷔한 선수가 독일 대표팀의 기록을 세운 공격수가 되는 것은 매우 희박한 성공 스토리 입니다.

 

오늘날의 프로 선수들은 완전히 다릅니다. 그 누구도 예전과 현재가 다르다는 사실에 놀라지 않을 것입니다.

이러한 변화에는 예전과 다른 가족들과 문화적 영향력 또한 영향을 끼쳤겠지만, 교육 시스템이 더 중요했다고 생각합니다.

오늘 날의 어린 선수들은 거의 필연적으로 자아가 강한 사람으로 성장하게 됩니다.

그들에게 가장 중요한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어떻게 '내가' 성장할 것인가?

 

- 무엇이 '나의' 커리어에 도움이 되는가?

 

- 어떤 상황이 '나에게' 최선인가?

 

이 상황에서 팀을 위한 개개인의 책임과 더 넓은 시야는 뒤로 물러나게 됩니다.

 

이것을 반드시 문제 삼아야하는 것은 아니지만, 적절하게 처리되어야 합니다.

이러한 선수들에게는 더욱 타이트한 리더십이 필요합니다.

 


또한, 축구는 팀 스포츠이기 때문에 항상 코치들은 팀의 요구 사항을 플레이어가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합니다.

 

여기에는 경기장 내에서의 행동뿐만 아니라 바깥에서의 행동도 포함됩니다.

코칭 스태프들은 개인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이끌어야합니다.

코치가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으면 그들에게 분명하게 메시지를 전달해야합니다.

 

이는 메수트 외질과 일카이 귄도간이 터키 대통령 에르도안과 사진을 촬영한 일에도 적용되는 일입니다.

외질(처음에는 귄도간 또한)은 이 일에 대하여 공개적으로 대중들에게 설명 할 필요를 느끼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부분은 팀의 화합을 위해 빠르고 분명하게 논의되었어야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명확한 이야기는 생략되었습니다.

코치진은 과거에 성공적이었던 리더십이 다시 한 번 성공하기에 충분하다고 생각한 것입니다.

 


충격적인 실패 이후 팀을 다시 궤도에 올리는 데 많은 노력이나 시간이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리더십이란 주어진 상황을 정면으로 대응하여, 자신의 방법을 재평가하고 테스트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요하임 뢰브는 새로운 세대와 함께 다시 성공하기를 원한다면 그가 몇 년간 보여온 리더십 스타일을 바꾸어야한다고 확신합니다이것은 약점의 신호가 아니라 더 큰 발전을 위한 신호입니다.

그는 각자 개개인이 팀 전체를 책임지고 있음을 보여주어야 합니다. 그는 또한 기존에 행했던 것보다 더 엄격하고 분명하게 결정하는 문화를 만들어야 합니다.

만약 그가 성공한다면, 저는 우리 팀의 미래에 대해 매우 낙관적입니다.



출처 : http://www.welt.de/sport/fussball/wm-2018/article179253696/WM-2018-Philipp-Lahm-kritisiert-Joachim-Loews-Fuehrungsstil.html



세줄 요약

1. 지금의 독일 국대는 조직지향적이었던 과거의 팀과 달리 자아가 강한 선수들이 많기에 더 타이트한 리더십이 필요했다.

2. 코치들은 항상 완성된 팀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했으나 실패했다.(외질과 귄도간의 사례)

3. 뢰브가 다시 성공하기를 바란다면 그의 리더십 스타일을 바꾸어야 할 것이다.



독일 국대뿐만이 아니라 최근의 축구 선수들을 보면서 공감하게 되는 부분이 많아서 길지만 전문을 번역해보았습니다.


추천 0 비추천 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close]

댓글목록

스포츠빠



스포츠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날짜 조회 쓰레빠 슬리퍼
82392 [하늘운동] 네이마르 음바페? 둘다 PSG에 있기를 원해 07.19 416 1 0
82391 [stn스포츠] 4위로 내려간 부산. 안산잡고 반등 노린다 07.19 265 1 0
82390 [AS] 네이마르 이적은 가능하다 07.19 426 1 0
82389 [공홈] OGC 니스, 유세프 아탈 영입 07.19 2153 1 0
82388 [OSEN/메트로/온다세로] 바르셀로나, '레알과 합의' 아자르 … 07.19 548 1 0
82387 마차도 LAD 트레이드 완료 07.19 440 0 0
82386 드로잔 이적은 좀 충격이네요 07.19 470 1 0
82385 [골] 세계에서 가장 비싼 유망주들 (97년 이후 출생자) 07.19 1015 0 0
82384 볼티모어 메디컬 테스트를 어떻게 하는거지? 07.19 590 0 0
82383 [단독] 클린스만, 한국 감독 제의 거절… 김판곤과 모스크바 회동 07.19 653 1 0
82382 2018 K리그1 클럽순위 (7월 18일, 18R) 07.19 527 0 0
82381 [스포탈코리아][단독]클린스만, 한국 감독 제의 거절 김판곤과 모… 07.19 517 0 0
82380 [풋볼 이탈리아] 한광성, 칼리아리 친선 경기에서 멀티골 기록 07.19 409 0 0
82379 카리우스는 결국 리버풀에서 퇴출신세나 다를 거 없네요 07.19 618 1 0
82378 [스포탈코리아]월드컵 베스트 11 떴다! 07.19 518 1 0
82377 [스포츠조선] [단독]전북, 러시아월드컵 국가대표 수비수 정승현과… 07.19 561 1 0
82376 [공홈] AS 모나코, 케빈 은도람 재계약 07.19 796 0 0
82375 [공홈] 우디네세, 다윈 마치스 영입 07.19 794 0 0
82374 [Mirror] 윌셔: 정직하게 말해준 에메리에게 감사의 인사를 … 07.19 543 1 0
82373 [스카이스포츠] 클롭 "리버풀 선수들은 영입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07.19 486 1 0
82372 [골닷컴] 무리뉴 "프리시즌꼬이고 방송사놈때문에 리그일정도..." 07.19 480 1 0
82371 [HITC] 에버튼을 떠나고 싶지 않은 야닉 볼라시에 07.19 539 0 0
82370 [공홈] 첼시, 프리시즌 투어 25인 명단 확정 07.19 431 0 0
82369 [공홈]지안프랑코 졸라, 첼시FC 복귀 07.19 563 1 0
82368 [스카이 스포츠] 알리송, 잉글랜드 도착/메디컬 받으러 리버풀로 … 07.19 538 0 0

 

 

컨텐츠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