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빠



본문

[대한축구협회][심층인터뷰] 대한민국 축구 설계자를 꿈꾸는 김판곤

  • 작성자: romanson
  • 비추천 0
  • 추천 1
  • 조회 826
  • 국내기사
  • 2018.07.05




0601_김판곤1.JPG [대한축구협회][심층인터뷰] 대한민국 축구 설계자를 꿈꾸는 김판곤

김판곤 부회장은 취임 당시 '테크니컬 디렉터'로서의 역할을 강조해 신선한 충격을 줬다.


김판곤(49) 부회장 겸 국가대표감독선임위원장은 요즘 몸이 두 개라도 모자랄 정도로 바쁘다. 그는 올해 초 부임하자마자 한꺼번에 세 팀을 컨트롤 해야했다. 들어온 지 한 달 만에 아시안게임(U-23) 대표팀 감독으로 김학범을 선임하고 본격적인 지원에 돌입했다. 지난 4월에는 여자 아시안컵에 출전한 여자 대표팀의 단장 자격으로 요르단을 다녀왔다. 그리고 이제 러시아 월드컵에 나서는 남자 A대표팀 지원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대한축구협회][심층인터뷰] 대한민국 축구 설계자를 꿈꾸는 김판곤

신태용 감독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는 김 부회장의 모습.


- 지금까지 협회에서 일한 소감은.
내가 축구협회에 이 일을 하러 올 것이라는 예상을 못 했다. 전혀 예상치 못한 제안을 받았고, 고민도 많았다. 일에 대해선 자신이 있었는데 국내 축구 환경을 극복할 수 있을까 싶었다. 협회에 들어온 이후 선수 발전, 기술 발전을 위해 여러 가지 아이디어를 내고 추진하는데 있어 국내 환경과 문화 그리고 발전 구조적 어려움도 있지만 긍정적으로 생각하며 일하고 있다.
아직까지는 얼마나 잘할지 두고 보자는 시선이 있어서 불편함이 없지 않지만 존경은 내가 달라고 해서 받는 것이 아니라 그쪽에서 주어야 하기 때문에 이 위치에 합당한 능력을 검증 받고 나서 존경 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

[대한축구협회][심층인터뷰] 대한민국 축구 설계자를 꿈꾸는 김판곤

2014 인천아시안게임 당시 홍콩 대표팀 사령탑으로 한국을 방문한 김판곤. 당시 홍콩은 16강에서 한국과 만나 0-3으로 졌지만 선전했다.


- 올해 초 부임 당시 ‘테크니컬 디렉터’로서의 역할을 강조한 점이 신선했다. 테크니컬 디렉터는 아직까지 국내에는 생소한데 왜 이 점을 강조했나.
축구는 기술이 핵심이다. 그래야 경기가 발전하고, 경기를 통해 사람들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산업을 키우는 것이다. 기술 발전은 곧 선수가 발전하는 것이다. 최근 FIFA와 AFC도 기술 파트를 상당히 중요시한다. 각종 세미나도 여기에 집중돼있다. 이렇게 중요한 기술 파트의 수장이 바로 테크니컬 디렉터이다. 테크니컬 디렉터는 선수 경험, 지도자 경험, 지도자 강사 경험이 모두 필요한 동시에 기획력, 예측력, 결단력, 인사 능력, 사회성 등 다양한 자질을 골고루 갖춰야 한다. 한 마디로 ‘슈퍼맨’이 돼야 하는 것이다. 그래서 더 매력을 느끼게 된 것 같다.
홍콩에서 테크니컬 디렉터를 시작한 것은 2014년부터였다. 당시 연령별 대표팀과 국가대표팀 감독을 겸임하는 상황에서 홍콩축구협회의 영국인 CEO가 나에게 테크니컬 디렉터를 제안했다. 내가 감독을 하면서도 유소년 발전에 관심을 가지고, 각종 제안을 하는 것을 좋게 봐주신 것 같다.
사실 그 때만 해도 테크니컬 디렉터가 뭔지 잘 몰랐다. 그런데 AFC에서 일하고 있던 한 지인이 나에게 ‘앞으로는 테크니컬 디렉터가 대세가 되는 시대가 올 것’이라며 해보기를 권유했다. 그래서 한 번 해보자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게 참 쉽지 않더라. 일을 하면서도 열심히 세미나에 참석하며 공부했다. 내가 만든 구조와 정책을 통해 어린 선수들이 발전하는 모습을 보니 정말 뿌듯했다.


- 피닉스 프로젝트는 결실이 있었나.

물론이다. 특히 골든에이지(9~12세, 대한축구협회의 골든에이지는 12~16세)에 투자를 많이 했다. 골든 에이지 전문 코치를 스페인에서 데려와 아이들을 가르쳤다. 효과가 금방 나타나더라. 처음에는 아이들이 공에 대한 자신감이 없어서 잡으면 생각 없이 빨리 주려고만 했는데 해가 가면서 자신감이 붙는 모습이 보였다. 상황을 인식하고, 공간을 이해하고, 드리블로 상대를 제치고, 상황에 맞는 플레이를 하기 시작했다. 이 연령대 선수들이 자라면 성과가 나올 것이다. 하지만 팀이 좋은 성적을 내는 것보다는 좋은 선수가 나오면 더 좋겠다.

 [대한축구협회][심층인터뷰] 대한민국 축구 설계자를 꿈꾸는 김판곤

김판곤 부회장은 한국 축구의 뿌리를 튼튼하게 만드는 작업에 일조하고 싶다는 희망을 밝혔다.


- ‘긍정적이고 능동적인 축구’를 강조하셨는데 유소년 축구에서는 몰라도 당장 남자 A대표팀이 국제 무대에서 경쟁할 때도 이 철학이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고 보는가.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감독이 추구하는 축구 철학이 매우 중요하다. 선수는 감독의 철학을 따라간다. 물론 지금의 우리 성인 선수들은 어릴 때부터 연령별 맞춤 교육을 받지는 않았지만 유럽에서 능동적인 훈련과 플레잉 스타일을 요구 받고 있다. 잘 모르지만 K리그도 그런 철학을 바탕으로 훈련을 한다고 믿고 싶다. 선수들이 갖고 있는 기량을 봤을 때 충분히 능동적인 축구를 할 수 있다. 신태용 감독도 3월 평가전부터 현재까지 해온 것을 보면 능동적인 축구에 근접해가고 있다고 본다.

- 다시 한번 묻고 싶다. 남자 A대표팀이 국제 무대에서 능동적인 축구를 하면 성적이 날까. 아직까지 여기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이 있기 때문에 드리는 질문이다.
왜 안 된다고 생각하나. 세계적 레벨로 가려면 상대 실수를 기다리는 축구를 해서는 미래가 없다. 상대의 실수를 유발하고 경기를 지배하고, 능동적인 공격으로 공간을 이해하고 점령하지 않으면 이길 수 없다고 본다. 물론 수동적인 축구로 성공하는 케이스도 많다. 상대의 실수를 기다리고, 역습해서 득점하고, 실점하지 않고 성공할 수 있지만 그 성공은 지속적으로 오래 가기 힘들다. 그리고 발전이 전혀 없다. 나는 발전에 초점을 두고 싶다.
물론 한국 축구는 전통적으로 빠르고 역습에 강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 점을 혼합(Hybrid)할 필요는 있다. 수비에서 공격으로 전환할 때는 볼 점유보다 카운터어택이 우선순위다. 단 공간이 열려있을 때 그렇다. 그러나 공격, 수비 상황에서는 우리가 공간과 시간을 점령하는 축구를 하고 싶다.

- 유소년 레벨에서도 한국만의 독특한 구조와 문화 때문에 능동적인 축구를 하는데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보인다.
사실 걱정이 된다. 능동적인 축구를 하려면 적어도 9세 부터는 개인 전술을 익히면서 공간이해, 경기이해에 대한 기초를 다지고 좋은 지도자의 교육 아래에서 내가 생각하고 내가 판단하는 결단력을 갖춘 선수로 발전해 나가야 한다. 10대 후반부터는 피지컬 훈련, 전술 이해 능력을 심화시켜야 하고,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하는데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공부하는 선수를 육성한다는 것이 큰 흐름이지만 이 때문에 선수 능력이 하향 평준화됐다.
축구를 시작해서 중학교까지는 공부와 운동을 병행하고, 기숙사에 따로 떨어져 있지 않고 부모와 함께 지내며 감성을 기르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나 선수 성장 구조상 고등학교부터는 훈련시간이 많이 늘어나야 하고, 기술 보강훈련, 근력발전, 파워 훈련도 필요하다. 훈련 시간이 늘어난 만큼 휴식시간도 더 필요하다. 그런데 학교 수업을 모두 받으면서 나머지 시간에 이 모든 것을 다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대학교는 말할 것도 없다. 교육부에서도 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모두를 일률적으로 한 틀에 넣어서는 안 된다. 이젠 체력이나 기술이 아시아에서도 월등하지 않다.
정부 정책의 방향을 거슬러 올라가는 것은 힘들고, 그들을 이해시키는데 시간이 필요하다. 이해시키지 못 하면 우리가 다른 방법을 찾아내야 한다. 만약 그렇지 않으면 5년 안에 큰 위기를 맞게 될 것이다. 태국, 베트남에 지는 날이 올 수도 있다. 지금부터라도 여러 난관이 있지만 변화를 꾀하지 않으면 안 된다.

- 협회에 있으면서 임기 동안 이것만큼은 꼭 이루고 싶다는 목표가 있다면 무엇인가.
먼저 국민들이 자부심을 느낄만한 강력한 대표팀을 만들고 싶다. 좋은 지도자와 스태프가 우리의 대표 선수들을 최대한 지원해서 아시아와 세계 무대를 통해 국민들에게 자존감을 드릴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 또한 아까 말했던 선수 발전을 위한 구조, 기술 발전을 위한 구조, 축구 철학의 기본 틀을 만들고 싶다. 임기 안에 이룰 수 있을지는 모르겠다. 개인적으로 테크니컬 디렉터로서 역할을 수행하려면 최소한 월드컵이 열리는 주기인 4년은 주어져야 한다고 본다. 더 긴 안목으로 구조를 바꾸려면 10년은 주어져야 한다고 본다. 그래야 장기적 전략을 짜고 실행할 수 있다.

글 = 오명철
사진 = 대한축구협회

기사제공 대한축구협회



===

전문 : http://sports.news.naver.com/kfootball/news/read.nhn?oid=490&aid=0000001269


6.1에 나온 축협 자체기사인데 .. 되게웃긴게 이떄 베플들은 적폐취급 안함 .

월드컵 끝나니 귀신같이 네이버에서 적폐행 .

오늘 감독선임관련 인터뷰에서도 능동적인 공격축구를 국축 철학으로 삼고 이에 맞는 감독 선임할꺼라는데 이떄도 능동적인 공격축구 강조 .

추천 1 비추천 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close]

댓글목록

스포츠빠



스포츠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날짜 조회 쓰레빠 슬리퍼
82124 [공홈]더비 카운티, 매이슨 마운트&해리 윌슨 임대 영입 07.18 442 1 0
82123 [오피셜] 해리 윌슨, 더비카운트 임대 이적 07.18 902 1 0
82122 [디 마르지오] 유벤투스, 유망주 수미 Makoun의 메디컬 테스… 07.18 363 1 0
82121 [스포티비] 호날두 이어 지단도 유벤투스행?기술 이사 부임 임박 07.18 379 1 0
82120 [공홈] 데포르티보 라 코루냐, 디에고 롤란 영입 07.18 411 1 0
82119 [RMC]아자르 레알마드리드행 구두합의,쿠르트와는 곧 이적 07.18 442 1 0
82118 [공홈]뉴캐슬 유나이티드, 2018/2019 시즌 써드킷 발표 07.18 625 1 0
82117 [스카이스포츠] 리버풀은 알리송에 대해 70m의 비드를 넣었다는 … 07.18 1776 0 0
82116 (SPOX) 도르트문트, 자하 영입위해 쉬얼레 이용?? 07.18 849 1 0
82115 7월 18일 경기일정 07.18 439 1 0
82114 [Spotv]인시녜"호날두,이탈리아수비쉽지않을걸?] 07.18 356 0 0
82113 [마르카] 쿠르투아를 영입하게 된다면 케일러 나바스는 어떻게 해야… 07.18 685 1 0
82112 [리버풀 에코-이안 도일]리버풀, 알리송에 골키퍼 월드 레코드 비… 07.18 438 1 0
82111 [인터풋볼] 아이슬란드 감독, 대표팀 직책에서 물러난다. 07.18 386 0 0
82110 [공홈] 팀 케이힐, 호주 국가대표팀 은퇴 07.17 417 1 0
82109 [텔레그래프-크리스 바스콤] 리버풀은 알리송에 대해 월드 레코드 … 07.17 576 1 0
82108 [BBC]리버풀, 알리송에 62m파운드 오퍼 07.17 458 1 0
82107 진행아 내년 에프에이 하것냐? 07.17 384 1 0
82106 임창용이 호투로 승을 챙기네요 07.17 419 0 0
82105 [미러] 루크 쇼는 프리시즌 피트니스 테스트에서 1위를 차지해 무… 07.17 463 1 0
82104 [가디언-파브리지오 로마노]리버풀, 알리송에 70m유로 비드 07.17 356 1 0
82103 [스카이 이탈리아]리버풀, 알리송에 70m유로 오퍼 07.17 385 1 0
82102 [속보] 호날두 이어 지단도 유벤투스행?…기술 이사 부임 임박 07.17 513 0 0
82101 [ESPN] 호날두 母, "내가 아들의 맨유 복귀를 바랐다고? 거… 07.17 605 1 0
82100 [SI] 윌마르 바리오스는 토트넘의 관심에도 불구하고 보카에 1월… 07.17 558 0 0

 

 

컨텐츠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