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딴지투고]아프면 약사먹어? | 이슈빠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이슈빠



본문

[딴지투고]아프면 약사먹어?

  • 펜로스
  • 조회 1480
  • 2018.08.08

알고 계십니까 ? 빛은 입자이며 파동입니다 .

그리고 , 어쩌면 당신은 가장이며 아들 . 혹은 엄마이며 직장상사 .

혹은 썸녀이며 취준생 , 학생이자 알바생 , 딴게이이며 .... 아닙니다 .

이처럼 하나의 개체에는 두 가지 이상의 속성이 있습니다 . 양자역학까지 갈 것도 없습니다 .

구도자이며 국회의원 , 대령숙수이며 정당인 , 야바위이며 대통령 , 용팔이며 대법관 , 행동대원이며 판사 .

 

 

그럼 은 무엇일까요 ?

약은 상품 이며 공공재 입니다 .

 

 

예컨대 , 저희 약국에는 매 달 의원에 들러 이렇게 생긴 가글액을 타가시는 할머님이 있습니다 .

가글.jpg

 

기초생활수급자인 당신 형편상 제대로 된 치과 치료를 할 수 없어 저렴한 가글로 최소한의 조처만을 하십니다 .

 

그런데 , 저렴한 가글 이 얼마 전 제법 유명해진 사건이 있었습니다 .

가정사가 불우한 어느 여성 대통령이 2014 4 16 일 사용한 의료용 가글 이 바로 이 제품입니다 .

 

 

물론 이 가글은 기본적으로 화폐와 교환되는 제품 . 상품 입니다 .

하지만 , 동시에 ,

부자든 가난하든 , 서울이든 지방이든 , 청와대든 고시원이든 , 아빠가 없든 자식을 잃든 ,

누구나 아프면 똑같은 가글을 씁니다 . 백옥 가글 , 신데렐라 가글 그런 거 없습니다 .

수요자의 경제적 , 사회적 상황과 무관하게 일정하게 제공되는 재화 및 서비스를 우리는 공공재 라 부릅니다 .

그러므로 다른 의약품들과 마찬가지로 , 이 가글은 상품 인 동시에 일종의  공공재 의 성격을 띠는 것입니다 .

 

 

이처럼 의약품 의 속성이 상품이며 공공재 인 이유로 약사 라는 직능 역시 두 가지 속성을 갖게 됩니다 .

상인 이며 보건의료인 이 바로 그것입니다 .

 

 

약사를 비판하는 분들의 요지는 지금의 약사들이 지나치게 상인 의 모습이라는 것입니다 .

사실 , 저도 그러한 일면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 이러한 인식은 앞으로 약사들이 해결할 숙제입니다 .

하지만 , 동시에 이 말씀을 드립니다 .

 

 

저는 지난 약 10 년간 약사로서 일을 하면서 적게 잡아 10 명 이상의 환자들의 죽음을 겪었습니다 .

그중에는 매달 혈압약을 타가시던 금술 좋은 노부부가 어느 날 할머니 혼자가 되어 오신 경우도 있었고 ,

축 쳐진 채 엄마에게 들쳐 업혀 약국에 왔다가 , 즉시 대학병원으로 보내진 뒤 영영 보지 못하게 된 돌배기 아이도 있었습니다 .

물론 , 이런 경우에 제가 모종의 법적이든 , 도덕적이든 책임을 져야 할 일은 없었습니다 .

애초에 그런 상황을 맞닥뜨렸을 경우 , 제가 할 수 있는 역할과 책임의 범위는 매우 제한적입니다 .

하지만 , 그런 경험들은 저에게 내가 누구를 상대하고 있는지 ’, ‘ 무엇을 건내 주고 있는지 를 상기시킵니다 .

내가 주는 이 약은 환자에게 닿으며 , 때로는 약으로 , 때로는 독으로 변한다 .’ 는 점을 일깨웁니다 .

이런 경험을 피할 수 없는 약사들이 약을 단지 상품 으로만 볼 수 있을까요 ?

 

 

상인 이며 보건의료인 ’.

그 두 가지 중 어느 쪽에 비중을 둘지 , 환자를 대할 때 어떤 속성을 우선할지는 개별 약사들의 몫이 됩니다 .

하지만 , 분명한 것은 , 세상 모든 일이 외줄타기이듯 ,

약사들은 늘 두 가지 속성을 함께 발휘하며 , 때로는 갈등하고 , 때로는 타협하기도 하지만 ,

결코 한 가지를 완전히 포기할 수는 없다는 것입니다 .

 

 

지금 화제가 되고 있는 편의점 의약품 판매 를 주장하는 측은 근거로 심야 의료 공백 을 들고 나옵니다 .

이는 의약품 공공재 로서의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

저도 그 문제의식에는 동의할 수 있습니다 . 부디 앞으로  의약 정책의 공공성이 확대되길 저도 바랍니다 .

하지만 , 의약품을 편의점에 풀어 상품화 하면 공공성이 강화된다는 주장은 넌센스에 가깝습니다 .

이는 근거와 결론의 상호모순입니다 .

 

 

그럼 그 주장의 진정한 이유는 무엇이며 , 의약품 공공성 취약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

제가 좋아하는 작가를 소개합니다 .

 

 

유시민의 따뜻한 라디오.jpg

 

 

이 사람은 요즘 잘나가는 방송인이자 , 작가입니다 . 아시는 분들도 좀 계실 겁니다 .

 

이 낚시꾼은 노통때 보건복지부 장관을 지냈습니다 .

그래서 2012 MB 시절 편의점 의약품 판매 정책이 대두되던 당시 자신의 의견을 내놨습니다 .

9 분가량의 방송입니다 .

 

 

http://usiminradio.tistory.com/72

( 유시민의 따뜻한 라디오 2011.7.19.)

 

 

이 방송에서 유시민은 이 정책이 자신의 재임 시절에도 이 정책을 입안해 달라는 압박을 받았으며 ,

그 주체는 야간 의료 공백을 책임지는 보건복지부 측이 아니라 ,

경제 단위 , 기업 혹은 재정경제부 쪽이었다고 밝힙니다 .

그러니까 , 이 정책의 본질이자 추진 동력은 기업의 시장 진출입니다 .

의료공백 , 공공성강화 이런 건 그냥 허름한 포장지에 불과합니다 .

 

 

이 정책을 전격 시행한 MB 정부는 도덕적으로 완벽한 정부이며 , 도덕의 완성은 개평에 있습니다 .

그래서 당시 민영화 라는 이름으로 여기 저기 개평을 줬는데 , 이 정책이 그 중 하나입니다 .

 

 

또한 , 유시민은 야간 의료 공백을 해결하는 방안으로서 편의점에 의약품을 푸는 정책에 반대하며 ,

대신 기초 자치 단체별로 정부가 예산을 투입한 공공약국 의 개념을 제안합니다 .

 

 

사실 , 이러한 공공약국 은 완전히 낯선 정책이 아닙니다 .

예컨대 , 호주의 빅토리아주에서는 공적 자금을 투입해 정확히 유시민이 제안한 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

영국의 경우는 더 적극적으로 , 심야시간대에는 심야약국 약사가 제한적으로 전문의약품까지 투약합니다 .

물론 , 한국이 그들 국가의 제도를 그대로 따라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

각 국가마다 정책의 예산과 사정이 다르고 , 복지 정책을 체감해 온 역사도 다르고 , 약국에 대한 인식과 정책의 공감대도 다릅니다 .

 

 

다만 , 한 가지 . 문제를 보는 시각 , 접근하는 방식은 똑같습니다 .

정책의 목적이 의약품의 공공성 강화 라면 이는 정부의 복지 정책의 대상이며 ,

그렇다면 기업에게 의약품을 넘겨 상품화할 것이 아니라 , 정부 정책 안에서 해결을 찾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

그러므로 , 저는 이러한 선례까지 있는 마당에 , 구체적인 방안이나 정책은 앞으로 토론의 대상이 되겠지만 ,

이 문제에 대한 전반적인 접근방식에 있어서는 유시민의 의견을 따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한 가지만 더 말씀 드리겠습니다 .

어차피 그래봐야 편의점 판매 의약품 몇 푼 하지도 않는 걸 뭘 호들갑이냐는 말씀에 대한 대답입니다 .

어쩌면 저 자신에 대한 이야기이며 , 어느 정도는 부탁의 말씀입니다 .

혹시 여러분은 아파트에 사십니까 ? 왜 아파트에 사시죠 ?

어쩌면 편리하다거나 관리하기 편하다거나 하실지 모르지만 , 그건 진정한 이유가 아닙니다 .

얼마 전 뉴스공장에서도 다루어졌지만 , 그것은 정책의 결과입니다 .

과거 군사 정권 시절부터 이어져 온 부동산 정책이 지금의 주거환경을 결정했습니다 .

우리는 정책이 결정한 모습으로 살아갑니다 .

개인의 욕망 , 삶의 목표 , 이상적인 가정의 모습 . 이 모든 것들이 사실은 정책의 영향을 받습니다 .

 

 

의약품 시장을 유통대기업에 열어주는 이 정책을 통해 의약품은 상품화 됩니다 .

그리고 , 할 수 없이 약사는 상인화 됩니다 .

저는 상인으로 살고 싶지 않습니다 .

 

 

그래서 저는 불안감을 느낍니다 . 몇 푼 하지도 않는 의약품 때문이 아니라 ,

이 정책이 저를 제가 원하는 모습으로 살 수 없게 만들지 모른다는 생각에 큰 불안감을 느낍니다 .

그러므로 약사들의 이 호들갑에 대해 , 널리 이해를 구합니다 .

추천 1 비추천 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댓글목록

이슈빠



이슈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날짜
81170 놀라운 구미의 상 01.10
81169 빨간 기름장어 1 01.15
81168 문재인 전 대표 기자회견 .j… 1 01.18
81167 최순실 변호사도 아줌마가 잡는… 01.26
81166 제가 몇번을 말했습니까? 아가… 03.10
81165 "그들도 누군가의 아들, 그리… 1 03.20
81164 민주당 호남경선 문재인 60.… 03.27
81163 CNN "북한, 지난주 또 미… 03.28
81162 지금의 문재인이 있기까지 가장… 05.03
81161 주변 사람들이 말하는 인간 문… 05.12
81160 협조도 견제도 못하는 '따로국… 06.16
81159 국정원 댓글 팀장 대부분 ‘M… 08.21
81158 홍준표 “김해국제에어시티 건… 02.27
81157 디자이너 지방시 타계 03.13
81156 ‘재산국외도피 혐의’ 대한항공… 05.17
81155 작심삼일 07.13
81154 使측"최저임금 8350원 영세… 07.14
81153 거머리 피 빠는 모기 발견 07.18
81152 기무사 이명박 박근혜 선거 지… 08.01
81151 "목사가 조카·신도에 성폭력"… 1 08.22
81150 [장도리] 8월 30일자 08.30
81149 메갈=탈코르셋 & 이토=탈결혼 10.02
81148 유튜브 가짜뉴스 수익 끊어 버… 10.03
81147 러시아 소유스호 발사 3분도 … 10.13
81146 등기부등본 믿고 집을 샀는데.… 11.05

 

 



서비스 이용약관 개인정보 처리방침
Copyright © threppa.com. All rights reserved.
광고 및 제휴, 게시물 삭제, 기타 문의 : threppa@gmail.com
Supported by itsBK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