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천외한 이탈리아 문화재 절도범 클라스 | 이슈빠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이슈빠



본문

기상천외한 이탈리아 문화재 절도범 클라스

  • 후달려
  • 조회 1581
  • 2019.10.20

기원전 450년 제작 추정…사건 발생 2년 4개월 만에 일당 17명 체포

기상천외한 이탈리아 문화재 절도범 클라스

도난당했다 되찾은 청동 전차상. [ANSA 통신]

(로마=연합뉴스) 전성훈 특파원 = 2017년 6월 기상천외한 방식을 이용한 도난 사건이 발생해 이탈리아 시칠리아섬 전체가 발칵 뒤집혔다.

시칠리아 동부 카타니아 기념묘지의 예배당 꼭대기에 세워져 있던 무게 1t짜리 청동 전차상 '비가 디 모르간티나'(Biga di Morgantina)가 통째로 사라진 것이다.

두 마리의 말이 전차를 끄는 모습을 형상화한 이 청동상은 제작 시기가 기원전 450년으로 추정되는 국보급 문화재다.

1800년대 말 카타니아에서 서쪽으로 90㎞ 떨어진 엔나 지역의 한 고고학 유적지에서 발굴됐다.

당시 절도범들은 헬기까지 동원해 쇠사슬로 청동상을 통째로 들어 올린 뒤 트럭에 싣고 달아났다고 한다.

묘지 관리인이 절도범들과 한통속이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다행히 사건을 수사하던 경찰은 이듬해 이 청동상을 극적으로 되찾았다. 당시 청동상은 말과 전차가 분리된 채 따로따로 발견됐다. 절도범들이 훔친 청동상을 분해하고서 두 부분으로 나누어 보관했다는 게 경찰의 설명이다.

기상천외한 이탈리아 문화재 절도범 클라스
청동 전차상이 사라진 당시 모습. [ANSA 통신]


청동상 뒷부분인 전차는 카타니아에서 15㎞가량 북쪽에 위치한 아치 카테나의 한 주차장 안에서, 앞부분인 말 두 마리는 카타니아 서쪽 82㎞ 지역에 있는 피아차 아르메리나의 한 가옥 밀실에서 각각 수습됐다.

이 가옥은 유명 골동품상이 사용하던 곳이었으며, 청동상은 눈에 띄지 않게 벽 속에 완벽히 숨겨져 있었다고 한다.

뒤이어 청동상이 도난된 시점으로부터 2년 4개월여가 지난 최근 절도 용의자 일당 17명이 경찰에 체포됐다고 18일(현지시간) 코리에레 델라 세라 등 현지 언론이 보도했다.

추천 1 비추천 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댓글목록

이슈빠



이슈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날짜
80870 '벌새' 전세계 영화제 28관… 10.20
80869 유니클로 세일 대란, 불매운동… 1 10.20
80868 팀 쿡, 애플의 양면성 10.20
80867 러시아 시베리아서 댐 붕괴로 … 10.20
80866 유니클로는 망하지 않습니다. 2 10.20
80865 현재 일본산 반도체 핵심소재 … 10.20
80864 기상천외한 이탈리아 문화재 절… 10.20
80863 기획사대표, 걸그룹 멤버에 성… 4 10.20
80862 시위에서 본 잼난 피켓 10.20
80861 당대표 아드님의 평범한 군생활 2 10.20
80860 한국민속촌 최신근황 10.20
80859 박근혜 정부 당시 한일관계의 … 10.20
80858 군대 영창 폐지... 영창 역… 10.20
80857 아내 성폭행범 성기 자른 남성… 10.20
80856 꼭대기에서 멈춰선 놀이기구..… 10.20
80855 윤석렬은 스스로의 함정에 빠져… 10.21
80854 올인...만평.jpg 10.20
80853 유시민 "김경록, JTBC 접… 10.20
80852 포천서 남선생이 9살 여아폭행… 7 10.20
80851 차라리 시청료를 마봉춘으로 보… 10.20
80850 윤김지영 교수 "설리가 악플 … 1 10.20
80849 美언론 일본 소도시 피해 심각… 10.20
80848 "1인 가구 남성은 잠재적 범… 10.20
80847 윤춘장아! 표창장 말고 이걸 … 10.21
80846 [단독] 유니클로 ‘위안부 폄… 3 10.20

 

 



서비스 이용약관 개인정보 처리방침
Copyright © threppa.com. All rights reserved.
광고 및 제휴, 게시물 삭제, 기타 문의 : threppa@gmail.com
Supported by itsBK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