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익 "조선은 석쇠가 없어서 대나무 꼬챙이를 썼다" | 이슈빠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이슈빠



본문

황교익 "조선은 석쇠가 없어서 대나무 꼬챙이를 썼다"

  • 피로엔박카스
  • 조회 1744
  • 2018.10.23




1.jpg

석-쇠1 발음 [ 석쐬 ] [ 석쒜 ] 듣기 반복재생어원<섯쇠<역해유해(1690)>←섯+쇠고기나 굳은 떡 조각 따위를 굽는 기구. 네모지거나 둥근 쇠 테두리에 철사나 구리 선 따위로 잘게 그물처럼 엮어 만든다. ≒ 자철3 (炙鐵)ㆍ 작철 (灼鐵)ㆍ 적철 (炙鐵)ㆍ 철구2 (鐵灸).


1690년에 편찬된 [역해유해]라는 책에서 이미 석쇠를 '섯쇠'라고 쓰고 있다고 나옵니다.
찾아보니, [역해유해]라는 책은 없고 [역어유해]를 잘못 표기한 것 같습니다. [역어유해]가 1690년에 간행된 것이  맞으니, 아마 이 책 맞는 것 같습니다. 
(국립국어원은 이런 표기마져 엉터리로 표기하네요. 황교익 씨 또
흥분해서 거품 물고 말하시겠죠. 일본 같으면 상상도 못할 일이라고...)

어쨌든, 저 석쇠의 한자 표기를 보니, 자철, 작철, 적철, 철구라고 되어 있네요. 
저 단어로 검색해 보겠습니다.



炙鐵(적철)로 검색해 봤습니다. 

1. 조선왕조실록 태종실록에 기사가 나오네요. 보시죠.
朴抵生 于泗州。  抵生 居父喪, 除護軍起復, 旋拜知三陟郡事, 居官而淫于妓, 憲府劾聞罷之。 到京又私其婢, 其妻妬,  抵生 以炙鐵擊之。 其妻, 宰臣 李舒原 之女也。  舒原 告于憲府, 憲府劾聞, 流 抵生 于泗州, 其妻于金堤。

박저생(朴抵生)을 사주(泗州)로 귀양보내었다. 박저생은 부상(父喪)을 당했을 때 호군(護軍)에 임명되어  기복(起復)060)  되었고, 지삼척군사(知三陟郡事)로 임명을 받았는데, 관(官)에 있으면서 기생에게 빠지매 사헌부에서 탄핵하여 임금에게 아뢰어 그를 파면하였다. 서울에 당도하자, 또 그 계집종[婢]을 가까이하여 그 아내가 질투하므로 박저생이 적쇠[炙鐵]로 아내를 때렸다. 그 아내는 재신(宰臣) 이서원(李舒原)의 딸이었다. 이서원이 사헌부에 고발하니 사헌부에서 탄핵하여 아뢰어서 저생은 사주(泗州)로, 그 아내는 김제(金堤)로 귀양보내었다.

저 박저생이라는 사람이 계집종하고 간통을 했는데, 아내가 질투를 하자 석쇠로 아내를 때렸다는 내용이 나오네요. 예나 지금이나 부부싸움이란 참...아무튼 조선 초기인 태종 무려 15세기에 석쇠를 사용하고 있다고 나옵니다. 저건 아내를 때리는 데 사용한 도구였으니, 틀림없이 요리기구가 아니고 흉기였을 것이 틀림없다고 주장할 지도 모르겠네요. ㅎㅎ





2. 성호 이익(李瀷, 1681-1763)의 성호전서에 나오는 글입니다.

다구(茶具)는 처음부터 사용하지 않은 까닭에 진설하지 않았고, 탕병(湯甁)은 차를 따르는 것이니 또한 마땅히 사용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지금 숙수(熟水)를 담는 까닭에 두었습니다. 안과 밖의 뜰을 청소하고 우물을 쳐내며 아울러 횃불, 돗자리, 병장(屛帳), 행보석(行步席), 석쇠〔炙鐵〕, 축문 등의 물건은 비록 분명한 조문이 없더라도 상황에 따라서 준비해야 할 것입니다. 무릇 제기는 민간에서는 쉽게 평상시 사용하는 그릇과 섞어서 사용하며 또 쉽게 잃어버립니다. 

[가례]에 관한 예절을 설명하면서 제사때 갖춰둬야 할 물건들로 석쇠를 들고 있습니다.



3. 19세기 학자 이규경(李圭景, 1788-1863)이 쓴 [오주연문장전산고]의 기록입니다.


丳 [炙肉器。炙鐵]
꼬챙이 '찬( 丳)'자를 설명하면서 고기를 굽는 기구로, 요즘은 '적철'로 부른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한자가 처음 만들어진 시기는 중국 상고시대 은대이므로, 그 시대에는 석쇠가 없었으므로 석쇠를 한 글자로 설명할 글자가 없었겠죠. 그래서 저 꼬챙이에서 후대에는 '적철'로 발전하지 않았을까 싶네요.




[추가]
찾다 보니,  _ xml_:lang="utf-8" lang="zh"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154, 154, 154); font-family: "굴림", Gulim; font-size: 13px' href="http://link.fmkorea.com/link.php?url=https%3A%2F%2Fhanja.dict.naver.com%2Fsearch%3Fquery%3D%25E3%2590%25A5%26direct%3Dfalse" target="_blank"> 㐥 _ xml_:lang="utf-8" lang="zh"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154, 154, 154); font-family: "굴림", Gulim; font-size: 13px' href="http://link.fmkorea.com/link.php?url=https%3A%2F%2Fhanja.dict.naver.com%2Fsearch%3Fquery%3D%25E9%2587%2591%26direct%3Dfalse" target="_blank"> 金 (설쇠)라는 단어가 있네요.
설쇠를 국어사전에서 찾아보면, 석쇠의 강원도, 평안도 방언이라고 나옵니다. 국어사전에는 한자 표기는 없는 것을 보면 원래 석쇠의 순우리말로 보입니다. 

그런데 [가례도감의궤]에 보면 저 단어가 나옵니다. 번역자는 저 한자 단어 '㐥金'을 그냥 '석쇠'라고 했네요.
'㐥'자가 특이해서 사전을 찾아보니, 우리나라에서 만든 한자로 나옵니다.  즉, 중국에는 없는 한자라는 말씀이죠.

그런 글자 왜 있죠. 예전 영어 문법책 쓰신 분 중에 이장돌 선생이란 분 계셨습니다. 
구한말 의병인가요? 신돌석 선생도 있고요. 
이분들 돌자를 한자로 乭이라고 쓰죠. 역시 우리나라에서 만든 한자입니다.
돌을 뜻하는 石에 乙자를 써서 우리 발음을 나타내는 식이죠. 그래서 '돌'이라고 발음합니다.


'㐥'자 역시 金+助+乙을 합쳐 만든 글자입니다.
이 글자를 파자해서 그 의미를 짐작해 보시죠.
金이란 부분은 쇠로 만든 것임을 뜻하고요. 助자를 써서 요리를 '돕는' 도구라는 것을 알 수 있고요.
金과 助자만 합하면 호미 서(鋤)자 입니다. 여기에 설쇠, 즉 석쇠를 뜻하는 글자를 만들기 위해서
乙자를 써서 받침에 'ㄹ'이 들어간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글자가 '설'입니다.


이 '설'자 자체가 석쇠를 뜻하는 글자입니다. 작철, 적철 등으로 표기하다가 

고기를 많이 먹는 평안도 사람들 사이에서 '설쇠'라고 이름이 퍼지자, 

그 단어를 표기하기 위해 한자 㐥자가 만들어진 거라고 봐야겠지요. 
저 설쇠를 한자로    _ xml_:lang="utf-8" lang="zh"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154, 154, 154); font-family: "굴림", Gulim; font-size: 13px' href="http://link.fmkorea.com/link.php?url=https%3A%2F%2Fhanja.dict.naver.com%2Fsearch%3Fquery%3D%25E3%2590%25A5%26direct%3Dfalse" target="_blank"> 㐥 _ xml_:lang="utf-8" lang="zh"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154, 154, 154); font-family: "굴림", Gulim; font-size: 13px' href="http://link.fmkorea.com/link.php?url=https%3A%2F%2Fhanja.dict.naver.com%2Fsearch%3Fquery%3D%25E9%2587%2591%26direct%3Dfalse" target="_blank"> 金 이라고 표기한 건 아마 한자를 차용한 이두식 표기일 겁니다.
17세기 영조대 의궤에 이미 저 글자가 사용되었으니,
실제 한자는 더 이전에 만들어졌을 것이고, 저 석쇠는 단어가 만들어지기 한참 전 부터 사용되었겠죠.



황교익 씨? 철사가 없어서 석쇠를 못 만들었다고요? 정신 차리십시오.

무쇠 숟가락, 젓가락에 온갖 무기를 다 철기로 만든게 수천 년전 일인데,

고작 고기 구으려고 얼기설기 엮기만 하면 되는 석쇠가 조선에 없었다고요? 정말 정신 차리세요.




출처 :  http://mlbpark.donga.com/mp/b.php?m=search&p=1&b=bullpen&id=201810220024533672&select=sct&query=%ED%99%A9%EA%B5%90%EC%9D%B5&user=&site=donga.com&reply=&source=&[email protected]



+ 추가





5.png

6.jpg

7.png

응 1300년대 갑옷을 철사로 만들었어


추천 3 비추천 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댓글목록

이슈빠



이슈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날짜
75256 자유 한국당 "이 말하기를" 10.24
75255 황교익 "백종원 뚱뚱하다고 한… 10.24
75254 강용석 법정 구속 1 10.24
75253 6억달러 짜리 명예박사 학위 … 10.24
75252 나경원 “유럽서 한 방 먹은 … 10.24
75251 '잘못하고도 변명만..' 뻔뻔… 10.24
75250 이게 미개하다는 조선의 과거시… 2 10.24
75249 경제 폭망이라면서 왜 아무 말… 10.24
75248 심재철 의원실 쳐들어간 백은종… 2 10.24
75247 K-9 자주포 폭발 사고 당한… 10.24
75246 이런 판사가 법원에 가득하다고… 10.24
75245 강민구 판사의 뼈를 부러뜨리는… 10.24
75244 결국 우려했던 방향으로가는 살… 1 10.24
75243 일잘하는 애국보수 조원진.jp… 1 10.24
75242 전 세계가 성 다양성 골머리…… 10.24
75241 동덕여대 29일부터 ‘금남구역… 10.24
75240 지금은 페미니스트 시대라는분 3 10.24
75239 우리나라에 돼지농장 때문에 이… 10.24
75238 상대를 잘못 건드린 중국 1 10.24
75237 이언주 보소.... 10.24
75236 환승 시스템 만든건 MB 가 … 1 10.24
75235 평택 미군기지..jpg 10.24
75234 [장도리] 10월 24일자 10.24
75233 도둑적으로 완벽한 다쓰 진짜 … 10.24
75232 역사학자 전우용 페이스북...… 10.24

 

 



서비스 이용약관 개인정보 처리방침
Copyright © threppa.com. All rights reserved.
광고 및 제휴, 게시물 삭제, 기타 문의 : threppa@gmail.com
Supported by itsBK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