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혼부부들 살기 싫대요"..헛물켠 '빈집 임대주택' 정책 | 이슈빠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이슈빠



본문

"신혼부부들 살기 싫대요"..헛물켠 '빈집 임대주택' 정책

  • dimension
  • 조회 935
  • 2021.07.18
서울시가 박원순 전 시장이 2018년 여름 강북구 삼양동 옥탑방에서 한달 간 여름나기 체험을 한 뒤 그해 연말 발표한 '빈집 재생 임대주택' 정책을 통한 목표 공급량을 당초 계획보다 60% 이상 줄인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시 현장 실태조사 결과 예상보다 빈집이 적었고, 리모델링을 해도 세입자를 구하기 어려운 불량 노후 건축물이 많았기 때문이다.

빈집 임대주택 공급 4000호→1500호로 대폭 축소

18일 서울시에 따르면 2022년까지 시내 빈집 1000필지를 매입해 청년과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한 임대주택 4000호를 공급하겠다는 '빈집 재생' 사업 목표가 올해 초 전면 수정됐다. 구체적으로 부지 매입 목표는 500필지로, 임대주택 공급량은 1500호로 기존 계획 대비 각각 50%, 62.5% 축소했다.

계획이 바뀐 이유는 정책을 구상할 당시의 통계와 실제 현장 상황이 매우 달랐기 때문이다. 예상과 달리 임대주택으로 활용할 만한 상태의 빈집이 많지 않았다.

서울시는 2018년 11월부터 2019년 9월까지 약 10개월 간 시내 빈집 실태 파악에 나섰다. 전기와 물이 1년 이상 끊긴 주택과 무허가주택, 관내 경찰서와 소방서가 범죄와 화재 예방을 위해 관리 중인 공폐가 주택 등 총 1만8836호를 전수 조사했다. 그 결과 빈집 재생에 활용할 수 있는 주택은 전체 16%인 2940호에 불과했다.

아예 멸실된 곳도 많았고, 거주자가 지방이나 해외로 장기 출장한 주택도 있었다. 전기를 일시적으로 끌어다 쓴 작업실과 가정용 계량기를 설치한 근린생활시설, 창고, 교회 등 비주택 건물도 적지 않았다는 게 서울시의 설명이다.

이런 결과에도 일단 서울시는 공급 목표를 유지했다. 필지를 사들인 뒤 기존 빈집 건물 층고를 높이거나, 헐고 새 건물을 지으면 더 많은 주택 수를 확보할 수 있다는 계산이 깔렸다.

서울시가 빈집 필지를 매입해 청년주택으로 공급한 삼양동 주택 조감도. /사진제공=서울시

산기슭 무허가주택도 상당 수…열악한 입지 환경에 임대 수요도 적어

하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았다. 현장 조사결과 장기간 빈집으로 방치된 이유가 분명히 나타났다. 일단 산중턱이나 산기슭에 '움막' 형태로 방치된 무허가주택이 357호나 있었다. 보통 이런 곳은 맹지에 매우 좁고 수도와 전기를 끌어올리기 어렵다. 사실상 주택을 고치거나 새로 짓기 불가능하다는 의미다.

이런 극단적인 곳을 제외하더라도 빈집이 위치한 지역은 기본적으로 주거 환경이 열악하다. 대중교통이 멀고, 편의시설을 이용하기 어렵다. 그래서 빈집을 새단장해도 찾는 사람이 많지 않다. SH공사는 올해 1월 빈집을 리모델링한 강북구 삼양동 행복주택 입주자를 모집했지만 4개 타입 중 2개 타입(전용 47㎡·52㎡)은 수요자가 1명도 없었다.

일부 다세대 건물은 그 안에 1~2호 정도만 빈집이어서 부지 매입이 녹록치 않았다. 주변 사유지를 추가로 매입해야 건물 증축이 가능한 곳도 있었다. 실제 주택공급으로 이어질 만한 땅이 예상보다 매우 적었다는 얘기다.

애초 현실과 동떨어진 설익은 정책이었다는 지적이 나온다. 서진형 경인여대 교수(대한부동산학회장)은 "단순히 빈집 숫자를 주택 공급량과 연결짓지 말고 실제 현장을 찾아 정말 사람이 거주할 수 있는 환경인지 해당 부지에 주택을 지으면 입주 수요가 있을지 면밀히 따졌어야 했다"고 말했다.

http://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4617895?sid=101

추천 0 비추천 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댓글목록

이슈빠



이슈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날짜
50131 여가부, 인수위서 배제됐다 03.21
50130 "코로나 3년차 맞은 미국, … 04.11
50129 '지하철서 아버지뻘 60대 휴… 1 05.25
50128 유럽은 '불가마' 중국은 '물… 06.19
50127 물 막고 있는 청주 시민들.j… 5 08.11
50126 한국인의 일본 인식.. "일본… 08.13
50125 목에 탯줄 감겨 숨진 채 태… 09.04
50124 전 여자친구 불법촬영에 성폭행… 02.20
50123 일제강점기 탱화 속 태극기 1… 02.21
50122 "왜 술마시고 운전해" 운전대… 02.23
50121 조선·동아일보가 실어준 '사이… 03.10
50120 현대카드 '애플페이' 편애에 … 05.14
50119 "반려견이 구해줄까" 궁금해서… 07.01
50118 [단독] 발표 전 받은 '44… 10.24
50117 직접 민주주의 혁명 12.04
50116 국내 도입이 시급한 법 12.09
50115 새해엔 '잃어버린 부끄러움' … 12.31
50114 문재인 페북 - 다시 촛불로 … 02.18
50113 "잊혀지는 역사, 제대로 된… 03.18
50112 美 하원의장 정계은퇴… 중간선… 04.13
50111 문대통령 지지 83%..역대… 05.05
50110 나경원 "정당개혁위 간담회 '… 09.22
50109 드루킹 "특검이 시켜 노회찬에… 11.29
50108 김정란 상지대 교수 "18세 … 11.30
50107 '불편한 용기' 올해 마지막 … 12.22

 

 



서비스 이용약관 개인정보 처리방침
Copyright © threppa.com. All rights reserved.
광고 및 제휴, 게시물 삭제, 기타 문의 : threppa@gmail.com
Supported by itsBK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