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빠



본문

직장인 64.7% 저축액 평균852만8000원

  • 작성자: Z4가이
  • 비추천 0
  • 추천 0
  • 조회 849
  • 2020.11.19

잡코리아 조사...연령별 저축 비중 20대 75.3% >30대 62.8% > 40대 60.5% 순



[서울=뉴시스] 김종민 기자 = 직장인 5명 중 3명이 ‘작년에 저축했다’고 밝혔으며, 이들이 지난 한 해 동안 저축한 금액은 평균 852만8000원으로 집계됐다. 특히 저축을 했다고 밝힌 직장인 중 절반을 웃도는 52.2%가 ‘매달 일정금액을 꾸준히 저축했다’고 답했다.

취업포털 잡코리아(대표 윤병준)가 최근 아르바이트 대표포털 알바몬과 함께 직장인 2112명을 대상으로 ‘2019년 저축 현황’을 주제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2일 밝혔다.

잡코리아가 알바몬과의 공동 설문조사에서 ‘지난 해 저축을 했는지’를 물은 결과 응답자의 64.7%가 ‘저축을 했다’고 답했다. 지난 해 저축을 했다는 응답은 연령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잡코리아에 따르면 30대 직장인의 62.8%, 40대 이상 직장인은 60.5%가 ‘작년에 저축을 했다’고 답한 반면, 20대 직장인은 이보다 최대 15% 포인트가 높은 75.3%가 ‘저축했다’고 답했다.

하지만 지난 해 총 저축금액에 있어서는 20대의 저축액이 가장 낮았다. 지난 해 저축을 했다고 밝힌 20대 직장인의 저축 총액은 평균 776만9000원으로 집계됐다. 40대 이상 직장인은 평균 818만1000원을 저축했다. 특히 30대 직장인의 저축액은 평균 906만8000원으로 20대 저축액보다 130만원 가량 높게 집계됐다.

지난 해 저축을 했다는 직장인들에게 그 전과 지난 해의 저축액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를 질문한 결과 40.1%의 직장인이 ‘별 변화가 없었다’고 답했다. ‘저축을 늘렸다’는 응답은 31.5%로 ‘줄였다(28.4%)’보다 소폭 높았다. 눈에 띄는 점은 20대의 경우 ‘저축을 늘렸다’가 39.2%로 ‘줄였다(17.6%)’보다 2배 이상 높았던 반면, 40대 이상 직장인은 ‘줄였다’는 응답이 34.5%로 ‘늘였다(19.8%)’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 직장인들이 지난 한 해 저축한 방식을 살펴 보면 ‘매달 일정 금액을 꾸준히 저축했다(52.2%)’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금액은 들쭉날쭉했지만 매달 꾸준히 저축했다’는 응답은 28.8%, ‘비정기적으로 상황에 따라 저축했다’는 응답은 19.0%로 나타났다.

한편 ‘지난 해 저축을 전혀 하지 못했다’고 답한 직장인은 746명, 35.3%였다. 이들은 지난 해 저축하지 못했던 가장 결정적인 이유로 ‘대출금’을 꼽았다. ‘갚아야 할 대출금이 많아서 현금을 저축할 여유가 없다’는 응답이 42.5%로 1위를 차지한 가운데 ‘카드값, 생활비를 쓰고 나면 남는 돈이 없다(40.8%)’는 응답이 바짝 그 뒤를 쫓았다. 연령별로 저축하지 않은 이유를 살펴 보면 40대 이상(54.4%) 및 30대(44.6%) 직장인은 ‘대출금 압박’을 가장 많이 꼽은 반면 20대는 ‘카드값, 생활비’를 꼽는 응답이 63.2%로 가장 높았다.

추천 0 비추천 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close]

댓글목록

이슈빠



이슈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쓰레빠 슬리퍼
120553 주요 코로나 백신 가격 인생은한방 11.20 905 0 0
120552 일본 초등학교 수학여행단 62명 탄 여객선 … 1 로우가 11.20 1104 0 0
120551 한국 군대 보상 1 hangover 11.20 1239 0 0
120550 오늘자 역대급 배민 리뷰 쿠르릉 11.20 1128 0 0
120549 아이유한테 고소 당하신 분들 8 캡틴 11.20 1313 10 0
120548 경남 하동·창원·진주서 11명 추가 확진…하… never 11.20 628 0 0
120547 "바이든 쫓아낼 수도 있다"..미 정치 신세… 무서븐세상 11.20 956 0 0
120546 중국에 팔릴 뻔한 서해의 독도 당귀선생 11.20 1060 1 0
120545 급발진 사고 처음으로 인정.jpg 7 123eee 11.20 1429 10 0
120544 윤짜장근황 1 ABCDE 11.20 1536 1 0
120543 20대 안산 경비원 이야기 1 아냐모르냐 11.19 1073 0 0
120542 "믿기지 않았다" 코로나19 혼수상태서 쌍둥… 면죄부 11.19 1458 1 0
120541 英 런던 고급주택 구매 2위가 홍콩인…'홍콩… 보스턴콜리지 11.19 1342 0 0
120540 오늘부터 ‘수능 특별 방역 기간’...서울 … 뭣이중헌디 11.19 687 0 0
120539 코로나가 몰고 온 '빚 쓰나미'…전세계 부채… ZALMAN 11.19 1241 0 0
120538 주요 코로나 백신 가격.jpg 손님일뿐 11.19 905 0 0
120537 “최근 확진자 급증, 8·15 집회 때문 아… 레저보이 11.19 707 0 0
120536 법조인 전관예우 하나 사라질 예정 잘모르겠는데요 11.19 1330 0 0
120535 '2분에 1명씩 사망' 이탈리아 산소통까지 … ZALMAN 11.19 866 0 0
120534 중국 정부 비판한 마윈 근황 dic11s 11.19 1028 1 0
120533 창원 5명·하동 5명·진주 1명 등 11명 … 1 울지않는새 11.19 780 0 0
120532 벤투호 덮친 코로나19...검사 결과 기다리… 정사쓰레빠 11.19 755 0 0
120531 조두순 출소 후 창업 예정 5 숄크로 11.19 1161 0 0
120530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한국만 가지고있는 인공위… 1 GTX1070 11.19 1649 0 0
120529 드라이브 스루 검사 비웃던 일본 법대로 11.19 1248 0 0

 

 

컨텐츠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