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빠



본문

죽어가는 낙동강..바닥 썩고, 산소 없고, 수질 악화 3중고

  • 작성자: 아브라타카
  • 비추천 0
  • 추천 1
  • 조회 3805
  • 2016.07.29

뉴스 > 라이프

[취재파일] 죽어가는 낙동강…바닥 썩고, 산소 없고, 수질 악화 3중고

  •  4,803

입력 : 2016.07.29 11:12|수정 : 2016.07.29 11:13


낙동강. 영남권 1천만 명의 식수원입니다. 그런데 4대강 공사 이후 낙동강은 심각한 수준으로 썩어 들어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표층에서는 독성 녹조가 갈수록 기승을 부리고 있고, 저층에서는 물 속 생명체에게 꼭 필요한 산소도 없었습니다.

바닥은 모래 대신 시커먼 펄 층이 두텁게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수심이 깊은 곳은 음용수로 사용할 수 없는 농업용수 수준으로 오염돼 있습니다. 

낙동강을 터전으로 생활하고 있는 어민들은 "물고기가 잡히지 않는다."고 하소연합니다. 그물을 놓아도 죽거나 피부병이 걸린 물고기들이 올라오고 시커먼 펄이 그물 한가득 함께 올라온다고 말합니다.

고기가 잡혀도 붕어나 잉어, 민물장어, 메기 등 토종 어종은 씨가 말랐다고 말합니다. 대신 블루길, 베스 등 외래어종이나 강준치 등 육식어종이 확산해 토종 어종의 씨를 말리고 있다고 증언합니다.  
낙동강이 썩어들어가고 있다는 사실은 (사)대한하천학회와 환경운동연합 녹색연합 등 학계와 환경 시민단체로 구성된 '4대강 조사위원회'가 지난달 9~11일까지 낙동강 상류에서 하류까지 조사한 결과 밝혀졌습니다.
 
4대강 조사위원회는 우선 급한 대로 "보의 수문을 열어 물이 흐르도록 해야 한다."고 대안을 제시합니다. 그러나 수자원공사는 "관리수위를 유지해야 한다."는 기존 입장만 되풀이하고 있습니다.
 
낙동강은 이제 물고기가 제대로 살 수 없는 죽음의 강으로 전락하고 있습니다. 만약 수도권 시민들의 젖줄인 한강이 이 정도로 오염됐다면 정부는 어떻게 했을까요? 주무부서인 국토부와 환경부, 수자원공사가 머리를 맞대고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할 때라고 봅니다.
 
● 낙동강 수질 2급수? 저층은 농업용수 수준 오염돼 있어
한강의 평균 수질은 BOD(생물학적 산소요구량) 기준 1등급 수준(1.12 ppm) 입니다. 그러나 낙동강은 BOD가 한강보다 두 배 이상 높은 2등급 수준(2.45ppm)입니다.

이번 조사 결과 주목할 만한 사실은 4대강 사업 이후 수심이 깊어지고 체류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수심별 수질 차이가 커지고 있으며, 특히 수심이 깊을수록 수질이 크게 악화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표1 : 낙동강 수질오염 조사 결과
표1 : 낙동강 수질오염 조사 결과
표 1에서 보듯 함안보의 경우 수심 11m에서 수심 7m에서 즉정한 것 보다 BOD는 1.9배, COD(생화학적 산소요구량)는 3.1배가 높게 나왔습니다. 달성보에서는 BOD 4.4배, COD는 3.9배나 높게 나왔습니다. 그리고 부영양화의 원인물질인 총 인(T-P), 총 질소(T-N), 클로로필-a도 모두 높게 나왔습니다.

함안보(11m)와 합천보(11m), 달성보(9m)의 깊은 수심에서 수질을 평가한 결과 수질환경기준상 BOD는 함안보와 합천보는 3등급, 달성보는 5등급으로 음용수로 사용할 수 없는 농업용수 수준이었습니다. 표층수의 수질이 2등급 수준이었지만 심층수는 훨씬 더 오염되어 있었던 겁니다.

COD는 더 심각합니다. 합천보 4등급, 함안보와 달성보는 5등급 수준으로 나빴습니다. 총인 농도도 달성보만 2등급을 유지했을 뿐 함안보는 5등급, 합천보는 4등급으로 나타났습니다.
 
● 수심 깊은 곳, 용존 산소(DO) 고갈…생물 살 수 없어
 표2 : 수심별 용존 산소량
표2 : 수심별 용존 산소량
표 2는 물속 생명체에게 꼭 필요한 산소량의 분포를 측정한 겁니다. 수심 7M를 넘어서면서 산소량이 급격히 떨어지면서 합천보의 경우 9~11M 구간에서는 용존산소가 고갈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함안보의 경우도 수심 10M에서 용존산소가 없음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물고기조차 살 수 없는 강으로 변해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표3 : 수심별 수온 차이
표3 : 수심별 수온 차이

이번 조사에서 표층과 심층 간에 수온 차이도 극심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달성보의 경우 5도 이상, 합천보는 4.8도, 함안보는 7.5도 차이를 보였습니다.

이처럼 용존산소가 거의 고갈되거나 수온 차이가 극심한 것은 "댐 건설 이후 낙동강이 호소화 되면서 강물의 흐름이 막혀 표층과 심층 간에 물이 상하로 서로 섞이지 않는 성층 현상이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라고 인제대 박재현 교수(환경공학과)는 설명했습니다.
 
● 낙동강 바닥은 거대한 뻘층 형성…"썩어 가고 있다"
4대강 조사위원회가 수자원공사의 협조를 얻어 지난 달 강 바닥 모래층에 대한 조사를 벌였습니다. 수심 10여 M에서 건져 올린 모래는 모래가 아니었습니다. 시커멓게 썩은 오니 범벅이었습니다. 심한 악취까지 풍겼습니다. 보가 들어 서기 전에 있었던 굵은 모래층이 펄 층으로 변한 겁니다.

박재현 교수는 "강 전역에서 1~2M에 육박할 정도로 오니토가 강바닥에 코팅돼 있었고, 유속이 비교적 빠른 곳에서 조차 10~40Cm 정도의 오니가 쌓여 있었다“고 전합니다.
표4 : 낙동강 퇴적물 오염도 조사
표4 : 낙동강 퇴적물 오염도 조사
퇴적물 오염 분석을 한 결과도 총 인의 경우 함안보와 달성보, 안동댐이 ‘한강하류 퇴적토 오염 제거 기준(1000mg/kg)' 보다 기준치를 더 많이 초과했습니다.
 
이러한 펄 층의 광범위한 형성 이유는 결국 댐 건설 이후 유속의 감소와 체류시간이 늘어나면서 조류 량이 증대하고, 이 조류가 죽으면서 바닥에 가라앉고 여러 종류의 미세 유기물질도 침전되면서 펄 층이 두텁게 형성되고 있는 과정이라고 조사위는 밝혔습니다.

또 퇴적토가 썩어 가면서 산소 고갈도 심화되고 조류 생성은 더 강화되면서 악순환이 가중되고 있다는 겁니다. 보로 인해 아랫물과 윗물이 서로 교류되지 않는 성층현상까지 겹쳐 강 심층부는 심각하게 썩어 들어가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 물고기가 잡히지 않는 죽은 강…어민들의 하소연은 진행형
"어민들을 살려 주십시오. 우리가 뭘 잘못했습니까?"

낙동강을 생활의 터전으로 살고 있는 어민들의 분노는 극에 달했습니다. 4대강 조사위가 어민들과 함께 실시한 어류 서식 실태 조사결과도 그랬고, 취재진이 여러 차례 동행 취재한 결과도 마찬가지지만 낙동강 상류에서부터 하류까지 토종 물고기는 씨가 마르고 있습니다.

붕어나 잉어, 민물장어, 메기 등 토종 물고기는 거의 잡히지 않습니다. 그물에 잡혀 올라온 고기도 죽어 있거나 피부병에 걸린 고기이기 일쑵니다. 한 때 블루길이나 베스 등 외래어종이 판을 쳤던 낙동강에 이제 이 외래종마저 별로 없다고 어민들은 말합니다. 대신 최상위 포식자인 강준치만 대부분 올라오고 있다고 합니다.

 

 

 

강을 이렇게 만든 사람에게 책임을 묻고 그에 합당한 처벌을 하는게 당연한데 이 당연한 것이 지켜지지 않네요.

추천 1 비추천 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close]

댓글목록

붉은날개찌니님의 댓글

  • 쓰레빠  붉은날개찌니
  • SNS 보내기
  • 경제살린답시고 보 설치하고, 운하만든다고 뻘짓하는 것 숨기면서 만들다가 그꼴난거죠. 그분들에게 이야기해봐야겟죠.

    처음 만들때는 좋아라했겠죠. 환경단체가 다 반대하더라도.. 그런데 이꼴나니...
    처음부터 반대했다면 5년만에 만들어졌을까요...?

    경상도는 시끄럽네요. 권력있는 사람들이 이것저것 해줄려고하다보니 사고친것이긴하지만..
0

이슈빠



이슈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쓰레빠 슬리퍼
107067 이건희 '성매매 의혹' 동영상 제보 여성과 … 1 봉사기록 07.22 8799 1 0
107066 '냉장고에 여친 시신 보관' 40대 살인 혐… 선진국은좌파 07.23 1782 1 0
107065 낳자마자 두 아기 내다버린 '비정한 엄마' … 1 바람속으로 07.22 1887 1 0
107064 본격적인 휴가철 '음주 성범죄' 조심해야 공공칠빵 07.23 1519 1 0
107063 세월호 서명. 성주 일부 주민들 항의 1 좌스민978 07.23 2343 1 0
107062 환경부, 검증 없이 독성 필터 발표…이틀 만… 늙은보이 07.23 1997 1 0
107061 '포켓몬 고' 하려고 대형건물 GPS 조작?… 1 저팔겨드랑이 07.23 2860 1 0
107060 "돗자리 펴려면 파라솔 빌려야" 돗자리인가 … 3 newskorea 07.23 2567 1 0
107059 부산 해운대해수욕장에 삐라 운반용 대형 풍선… 1 이뻔한나라 07.23 2038 1 0
107058 음주운전 3진 아웃됐는데 대형 면허를?…솜방… 찌니거니쪼니 07.23 3857 1 0
107057 한국 여성부호 TOP 25 2 PaulKingKong 07.24 3619 1 0
107056 이런건 아니더라도 염려해야하는 사안 훔훔 07.24 2332 1 0
107055 경찰관이 대포폰으로 유흥업소 단속정보 흘려 Charming 07.24 3088 1 0
107054 어제자 그것이 알고 싶다 소름 + 개빡침 1 등푸른꽁치 07.24 5272 1 0
107053 伊정치인 보신탕 먹는 한국 평창올림픽 보이콧… 1 쿠쿠다수 07.24 2364 1 0
107052 '포켓몬 출현' 울산 간절곶 방문객 하루 새… 고도리빠 07.25 2778 1 0
107051 ‘더운데 왜 반바지 못입어’ 치마입고 등교한… 1 뛸뚜 07.25 4318 1 0
107050 경찰 간부, 심야 버스서 20대 여성 보며 … 2 살의최후통첩 07.25 2320 1 0
107049 검찰 '필리핀 살인기업' 韓관광객 2명 살해… RedKnight 07.25 3274 1 0
107048 여혐기업이라 매도당하는 있는 넥슨의 진실 1 dsfo 07.25 2578 1 0
107047 '눈대중'으로 1억명이라니…해수욕장 방문객 … 1 전린맘 07.25 4092 1 0
107046 잠깐...불고기버거의 가격상태가...? 맑은바다 07.25 4645 1 0
107045 '공수처 신설' 정치권 공감대.. 이번엔 탄… 2 더더더더더 07.26 2272 1 0
107044 기린 작가가 올린 그림 하이에나1818 07.26 3409 1 0
107043 정의당 몰락 패러디 나도 07.26 3871 1 1

 

 

컨텐츠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