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문제삼은 캐치올 수출통제 뜯어보니… 한국이 훨씬 엄격 | 이슈빠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이슈빠



본문

일본이 문제삼은 캐치올 수출통제 뜯어보니… 한국이 훨씬 엄격

  • 몽구뉴스
  • 조회 1311
  • 2019.07.17

출처: http://biz.khan.co.kr/khan_art_view.html?artid=201907171122011&code=920501

일본이 문제삼은 캐치올 수출통제 뜯어보니… 한국이 훨씬 엄격
남지원 기자 [email protected]

17일 산업통상자원부 설명과 일본 경제산업성 수출무역관리령 내용을 종합하면 한국과 일본은 모두 4대 국제수출통제체제 가이드라인에 따른 캐치올(Catch all) 수출통제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캐치올 제도란 수출통제 대상인 전략물자가 아니더라도 대량파괴무기(WMD) 등으로 전용될 가능성이 높은 물품을 수출할 때는 정부의 허가를 받도록 돼 있는 제도다. 걸프전 등에서 전략물자가 아닌 품목이 무기 제조에 사용된 사실이 적발됨에 따라 전략물자 수출통제 제도의 보완조치로 도입됐다. 한국도 2001년 4대 수출통제체제에 가입한 뒤 2003년부터 캐치올 통제 제도를 도입했다.

일본은 지난 12일 한일 실무자급 양자협의에서 한국을 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하기로 한 이유에 대해 “한국의 재래식 무기 관련 캐치올 제도가 불충분하다”고 설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양국의 캐치올 제도 관련 제도를 살펴보면 오히려 한국의 통제범위가 더 넓고, 재래식 무기 관련 물품에 대해서도 더 엄격한 요건이 적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경우 2007년부터 법률에 캐치올 제도 근거 규정을 마련했지만, 일본은 법률에는 “국제평화와 안전유지를 위해 정령에 따라 수출 허가가 가능하다”고만 명시한 채 시행령에 포괄해 위임하고 있다.

통제 대상 품목은 유사하지만, 적용 요건을 비교해보면 한국이 일본에 비해 더 엄격하다. 일본의 경우 화이트리스트에 올라온 27개국에는 캐치올 규제를 적용하지 않지만 한국은 화이트국가에 수출할 때도 재래식 무기 전용 가능성을 알았거나(인지) 정부로부터 고지받았을 경우(통보) 등 두 가지 요건에 해당할 경우 수출 전에 허가를 받아야 한다. 북한, 아프가니스탄, 이라크 등 유엔 무기금수국에 수출할 경우에 일본은 인지, 통보 요건에 해당할 경우에만 수출허가를 받아야 하지만, 한국은 무기 전용 가능성이 있다고 의심될 만한 근거(의심)만 있어도 정부 허가를 받아야 한다. 유엔 무기금수국이 아닌 비화이트국가에 수출할 경우에도 일본은 통보 요건만 적용되지만 한국은 인지, 통보, 의심 요건이 모두 적용된다.

한국 정부는 일본에 캐치올 제도에 문제가 있다면 협의를 통해 증거를 제시해달라는 입장을 지속적으로 전달했지만 사실상 거부당했다. 산업부는 전날 국장급 협의회를 조속히 개최하자는 내용의 서한을 공식적으로 일본에 전달했지만 아직까지 답변이 없는 상태다. 산업부 관계자는 “우리의 재래식 무기 캐치올 제도에 대해 일본이 문제를 제기하고 싶다면 언제든지 양자협의에 응할 준비가 돼 있다”며 “일본이 조속히 국장급 양자협의를 수용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의 전략물자 무역관리가 일본보다 우수하다는 미국 연구기관의 분석도 나왔다. 미국의 비영리 연구기관인 과학국제안보연구소(ISIS)가 최근 세계 200개 국가의 전략물자 무역관리 제도를 평가해 순위를 매긴 ‘위험행상지수(PPI:Peddling Peril Index)’를 보면 한국의 전략물자 무역관리 제도는 17위였고 일본은 한국보다 19단계 낮은 36위였다. 제도를 가장 잘 운용하는 나라는 미국이며 영국, 스웨덴, 독일, 호주, 싱가포르, 포르투갈 등이 뒤를 이었다. 한국은 비확산 조약 체결 등 국제사회와의 약속, 전략물자 무역을 규제·감시하고 불법 거래를 방지하기 위한 법규 분야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추천 3 비추천 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댓글목록

이슈빠



이슈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날짜
88545 "토착 왜구"와 "기레기"가 … 07.17
88544 빤스목사가 청와대 진격하자더니 07.17
88543 ‘위기론’ 앞세운 삼성전자, … 07.17
88542 봉숭아 학당은 아는데 이 학당… 07.17
88541 조국 민정수석 "조선·중앙 일… 07.17
88540 정두언 자살... 사람들이 당… 07.17
88539 가짜뉴스가 가장 왕성하게 퍼지… 07.17
88538 [단독] 日제품 불매운동 이후… 07.17
88537 일본이 문제삼은 캐치올 수출통… 07.17
88536 분당선 근황.jpg 07.17
88535 중보기도로 문재인정권 보내버리… 07.17
88534 인류 역사 통틀어 가장 잔인했… 07.17
88533 롯데직원이 하는일 07.17
88532 일본 불매운동은 단 한번도 성… 07.17
88531 일본 상황.jpg 07.17
88530 일본 기업 리스트 07.17
88529 축가 부르러 갔다 전두환 소리… 07.17
88528 행정대집행 러쉬에 본진 띄운 … 07.17
88527 ( 정두언 전의원) 영정 옆에… 07.17
88526 '헌금 연 400억' 명성교회… 07.17
88525 김무성 트윗에 달린 댓글 07.17
88524 역사학자 전우용 '조선일보가 … 07.17
88523 [펌]외신 '한국은 아무 문제… 07.17
88522 자국민 걱정하시는 형님 07.17
88521 촛불집회를 본 BBC의 반응과… 07.17

 

 



서비스 이용약관 개인정보 처리방침
Copyright © threppa.com. All rights reserved.
광고 및 제휴, 게시물 삭제, 기타 문의 : threppa@gmail.com
Supported by itsBK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