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빠



본문

'최저임금 인상→물가상승' 주장하던 경제학자들, 지금 뭐하나

  • 작성자: 법대로
  • 비추천 0
  • 추천 3
  • 조회 690
  • 2019.05.21

  2018년 물가상승률 1.5% 그치고 올해 들어 0%대 유지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이 물가상승을 유발할 것이란 목소리가 지난해 내내 높았다. 소비자물가상승률(전년 동월 대비)이 지난해 1월 0.8%에서 9월 2.1%까지 올랐고 기록적인 더위 때문에 여름 이후 시금치, 배추 등 채소값과 석유류 가격까지 오르자 이런 주장에 힘이 실렸다.

박정수 서강대 경제학부 교수는 지난해 초 한 언론 기고를 통해 “한 해에 16.4%의 급격한 최저임금인상은 고용의 87%를 담당하는 영세자영업자와 중소기업에 직격탄이 되며 일자리 감소, 투자 감소, 수출경쟁력 약화, 해외생산 확대, 물가상승 등의 부정적 효과와 성장 저하를 초래할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실제 나타난 모습은 주장했던 바와 전혀 달랐다. 최저임금 인상률이 큰 폭으로 올랐지만 오히려 물가는 내리고 고용률은 높게 유지됐다.

지난해 소비자물가상승률은 1.5%로 전년 대비 0.4%p 낮았으며 올해 들어와서는 0%대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1~4월까지 전년 누계 대비 0.5% 상승에 그쳤다. 결국 편의점 등의 알바생 최저임금이 월 20만원 가량 높아져 물가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란 예상은 추측으로 끝났다.

올 초에도 숙박, 식음료 가격 등이 5~10% 가량 오르면서 물가상승률이 높은 것처럼 보였지만 실제 물가지수는 상당히 낮게 측정됐다. 이처럼 체감과 다른 것은 소비자물가지수를 산정하는 품목이 460개인데 반해 개인들은 일상생활과 밀접한 항목에 집중하기 때문이다.

통계청은 구입빈도나 지출비중이 높아 가격변동을 민감하게 느끼는 141개 품목을 집계한 ‘생활물가지수’와 계절에 따라 변동이 큰 생선류, 채소, 과일류 50개 품목을 집계한 ‘신선식품지수’를 같이 발표하고 있다. 그러나 이마저도 1~4월 전년 누계 대비 생활물가지수는 0.2% 상승에 그쳤고 신선식품지수는 –2.5% 하락했다. 여기에 석유류 가격 인하까지 겹쳐 전체적인 물가상승폭이 크게 줄었다.

실제로 국내 소비자물가상승률은 2000년 이후 지속적으로 높았던 적이 없었다. 2000~2012년 연평균 3.1%였으나 박근혜 정부 들어와서는 1.1%로 더 크게 낮아졌다. 심지어 2015년에 0.7% 수준까지 떨어져 디플레이션이라는 주장이 나왔지만 2016년 1.0%, 2017년 1.9%로 증가하면서 이런 논란이 수그러들었다.

일각의 주장대로라면 지난 4년의 짧은 기간 동안 디플레이션→인플레이션→디플레이션이 반복됐다는 우스꽝스런 결론이 나온다. 인플레이션이나 디플레이션 여부는 물가가 ‘지속적’으로 ‘크게’ 변하는가를 살펴봐야 하는데도 일시적인 작은 변동에 설레발을 쳤던 것이다.

또한 논란이 많던 고용수준도 예년에 비해 나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5~64세 고용률(66.6%), 65세 이상 고용률(31.3%) 모두 역대 1위였고 청년고용률(42.7%)은 2007년 이후 최고 수준이었다. 전체 실업률(3.8%)이 전년에 비해 0.1%p 올랐지만 청년실업률(9.5%)은 0.3%p 줄었다.

그런데도 각종 경제학회, 연구소 등에서는 고용률, 실업률로 설명하지 않고 인구감소로 줄어든 취업자증가수를 가지고 고용참사로 몰았다. 또한 지난해 청년실업률이 감소세로 전환됐고 올해도 낮아졌는데도 취업자와 비경제활동인구 일부를 추가 설명하는 고용보조지표3로 청년 체감실업률이 높다고 지적했다.

이런 보도들로 인해 많은 사람들은 물가상승률이 높다고 생각하고 있다. 설령 나중에 사실이 밝혀져도 체감은 그렇지 않다고 반박한다. 너무나 당연한 듯 음식점, 커피점 등에서는 물가를 핑계로 사전 공고 없이 가격을 올리는 일이 흔해졌다. 그나마 가격 인상으로 물가상승률이 더 낮아지는 걸 막았다는 데 위안을 삼아야할 지경이다.




경제 망했다고 헛소리하던 사람들 어디 갔니~



추천 3 비추천 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close]

댓글목록

이슈빠



이슈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쓰레빠 슬리퍼
86068 대학가 축제, YG 가수 보이콧 "등록금, … 1 러키 05.21 1162 4 0
86067 이낙연 총리...검경에게 일침 삼성국민카드 05.21 677 3 0
86066 윤총경...청와대 반응 인텔리전스 05.21 1068 1 0
86065 검찰과거사위 vs 진상조사단 쉬고싶어 05.21 613 2 0
86064 민갑룡 경찰청장 "대림동 여경 나무랄 데 없… Lens 05.21 517 1 0
86063 경찰청장 "대림동 여경에 감사…힘내시라".j… 세포융합 05.21 597 0 0
86062 인천 구청 공무원 집단 성매매, 결제는 도시… 민족고대 05.21 904 0 0
86061 노무현 대통령, 언론 관련 메모 피아제트Z 05.21 797 3 0
86060 한빛원전 1호기 사용중지 모닥불소년 05.21 617 3 0
86059 대림동 출동경찰 "내 명예 건다, 여경이 취… 네이놈 05.21 669 1 0
86058 '문XX, 달X' 봉하마을 게시판 테러범 추… 1 젊은베르테르 05.21 1084 5 0
86057 경찰출신 의원의 내부고발 거래중지 05.21 1106 0 0
86056 대림동사건 영상 촬영자의 의견 (cctv포함… 뜨악 05.21 1447 1 0
86055 '김성태 딸' 검찰 조사받아..김성태 소환임… 힘들고짜증나 05.21 1157 3 0
86054 금녀의 벽을 깬 첫 여성소방서장은 선동자료임 1 SBS안본다 05.21 1230 4 0
86053 KFC도 롯데문구 따라하기 시작했나... plzzz 05.21 1242 0 0
86052 부메랑 된 '치킨값 2만원'…치킨업계 일제히… 6 몇가지질문 05.21 1327 11 0
86051 대림동 사건, 남성들의 패배감 때문.News 6 heaven 05.21 869 10 0
86050 자유한국당 충견이었던 견찰 온리2G폰 05.21 1150 3 0
86049 노무현 대통령 친필메모 266건 4 note 05.21 819 10 0
86048 "황교안씨 생쇼하고 앉아있네"..항의 받은 … 장프로 05.21 1185 2 0
86047 왜 경찰 남녀체력기준 동일채용 청원 없애버린… 1 최순시리out 05.21 992 1 0
86046 中國 조심 - VidMate 앱이 개인정보 … 판피린 05.21 1330 0 0
86045 CCTV없는곳에서 성범죄는 어떻게 용의자가 … 1 gami 05.21 1050 2 0
86044 금녀의 벽을 깬 중랑구 소방서장 탄생 2 Ted77 05.21 940 0 3

 

 

컨텐츠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