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갑생의 바퀴와 날개] 시속 300㎞ 달리는 KTX에 왜 안전벨트 없을까? [기사] | 이슈빠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이슈빠



본문

[강갑생의 바퀴와 날개] 시속 300㎞ 달리는 KTX에 왜 안전벨트 없을까? [기사]

  • 모닥불소년
  • 조회 1261
  • 2018.10.10

생각 못했던 부분이네요!!

대부분 열차 안전벨트 없어
급제동거리 길어 충격 감소
충돌· 탈선 때 압사 더 많아
벨트 매면 사망자 6배 증가

KTX 는 급정거하더라도 제동거리가 최대 3㎞를 넘는 데다 정차까지 시간도 1분 10초가량이나 걸려 승객들이 느끼는 충격은 별로 크지 않다. [중앙포토]

“자동차, 항공기에도 다 있는데 열차에는 왜 안전벨트가 없는 거죠?”

최근 지인들로부터 몇 차례 들은 질문인데요. 그러고 보니 고속버스나 항공기를 탈 때는 안전벨트를 신경 쓰지만, 시속 300㎞로 달리는 KTX (고속열차)를 타면서는 안전벨트를 찾아본 적이 없었습니다. 그저 원래 없는 것에 익숙한 탓인 듯도 하구요. 사실 우리나라는 물론 외국 열차에도 안전벨트는 대부분 없습니다. 물론 대형 열차사고가 나면 안전벨트 설치를 놓고 논란이 일기도 하는데요.

미국에선 2015년 5월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200여명의 승객을 태운 뉴욕행 열차가 탈선하면서 140명이 넘는 사상자가 발생한 적이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2014년 7월 강원도 태백역 인근에서 무궁화호 열차와 관광 열차가 정면충돌해 1명이 숨지고 80여 명이 다친 사고가 있었는데요. 이런 대형 사고를 전후해 열차의 안전벨트가 실제 효과가 있을지에 논의들이 있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아직 열차 안전벨트는 도입되지 않았는데요.

전문가들은 이유를 이렇게 설명합니다. 우선 열차의 제동거리는 자동차에 비해 무척 깁니다. 도로가 마른 상태를 기준으로 승용차는 시속 50㎞ 때 브레이크를 밟으면 제동거리가 10m가량 됩니다. 버스는 17m로 좀 더 나간 뒤 섭니다. 타이어 마모 상태도 영향을 미쳐서 새 타이어냐 오래된 타이어냐에 따라서 시속 100㎞ 주행 시 제동거리는 47~70m가량으로 차이가 나는데요. 어쨌거나 이 정도로 급제동하면 승객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상당합니다. 안전벨트를 안 하고 있을 경우 몸이 붕 뜨거나 앞 좌석에 머리를 세게 부딪히는 등 심한 물리적 충격을 받아 숨지거나 크게 다칠 수 있다는 건데요.

국내뿐 아니라 외국에서도 대부분 장애인석을 제외하곤 열차에 안전벨트를 설치하지 않는다.

반면 자체 무게만 400톤이 넘는 KTX 는 급정거하더라도 워낙 무거운 탓에 제동거리가 최대 3㎞가 넘고 시간도 1분 10초가량 걸립니다. 급브레이크를 밟아도 1분여가 지난 뒤에야 멈춘다는 얘기인데요. 그만큼 열차 승객들로서는 급제동 자체로 인해 느끼는 변화가 상대적으로 크지 않다는 겁니다. 자동차처럼 좌석에서 갑자기 튕겨 나가거나 하는 일이 드물다는 의미이기도 하구요.

또 한 가지는 탈선 및 화재사고 때 안전벨트 착용이 오히려 더 큰 피해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겁니다. 열차는 충돌하거나 탈선할 때 승객이 열차 밖으로 튕겨 나가는 사례보다 차체가 찌그러지면서 압사하는 경우가 더 많다는 건데요. 이때 안전벨트를 하고 있다면 신속하게 탈출하는 데 어려움이 크다는 설명입니다.

이와 관련해 미국과 영국에서 실제로 열차의 안전벨트가 승객 안전에 도움이 되는지를 실험한 적이 있는데요. 먼저 2002년 미국의 연방철도국( FRA · Federal Railroad Administration )에선 정지한 기관차에 여객 차량이 시속 48㎞로 충돌할 때 안전벨트를 착용한 인형과 착용하지 않은 인형의 부위별 부상 위험도를 분석했습니다. 그런데 결과는 안전벨트를 착용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가 전반적으로 차이가 크지 않았다고 합니다. 특히 두 경우 모두 상해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았고, 오히려 안전벨트를 맨 경우 목 부위에 가해지는 충격이 더 컸다고 하네요.

버스는 제동거리가 짧아 급정거하면 안전벨트를 하지 않은 승객은 큰 타격을 받게 된다.

2007년 영국 철도안전표준위원회( RSSB · Rail Safety and Standards Board )에서는 실물 크기의 모형열차를 사용해 2점식과 3점식 안전벨트를 모두 실험했는데요. 2점식 안전벨트를 착용한 경우 안전벨트를 하지 않은 것에 비해 목 부상 위험이 더 크게 나왔다고 합니다. 또 3점식 안전벨트는 목과 머리 부상 위험이 상대적으로 적었지만, 전반적으로 안전벨트를 매지 않은 경우도 부상 기준치보다 낮게 나타나서 안전벨트가 큰 역할을 하지는 못한다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RSSB 에서는 이 충돌 실험 외에도 1996년~2004년 사망자가 발생한 영국 내 중대철도 사고 6건에 대한 분석도 했는데요. 사고 시 승객이 열차 밖으로 튕겨 나가는 걸 방지하는 목적으로 안전벨트가 어떤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였습니다. 이 6건의 사고에서 열차 밖으로 튕겨 나가 사망한 사람은 11명이었고, 열차 내부 손상으로 인한 사망자는 14명이었습니다. 그런데 열차가 찌그러지고 부서지면서 유사시 승객이 몸을 피해 살 수 있는 공간이 아예 없어진 좌석이 220석이었다고 하는데요.

이런 요소를 넣어서 계산해보면 만약 모든 차량에서 모든 승객이 안전벨트를 착용했다고 가정할 경우 사망자는 무려 88명으로 늘어난다는 결론이 나왔다고 합니다. 안전벨트를 했다면 열차 밖으로 튕겨 나가 숨지는 경우는 줄일 수 있겠지만 반대로 제때 탈출하지 못해 열차 내에서 압사하는 승객이 6배 이상 증가할 거란 의미입니다.

이 같은 이유로 전 세계적으로 열차에는 안전벨트를 설치하지 않는다는 건데요. 어찌 보면 더 큰 피해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상대적으로 적은 피해는 감수하겠다는 걸로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유사시 단 한 명의 소중한 생명이라도 더 보호하려는 노력은 계속돼야 할 텐데요. 그래서 전문가들은 효과가 모호한 안전벨트보다는 열차 내 충격완화 설비를 보강하고, 비상탈출을 위한 구조 개선에 더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권고합니다. 이런 연구와 노력이 합쳐져 보다 안전한 철도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강갑생 교통전문기자 kkskk @ joongang . co . kr

바퀴와 날개

추천 0 비추천 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댓글목록

이슈빠



이슈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날짜
77753 수영선수 금메달리스트 출신 최… 12.19
77752 여상규 불출마선언 01.02
77751 2019 게임판 이슈 총정리 01.03
77750 특정 직업군의 성비가 안맞는건… 01.11
77749 미래한국당 로고표절 02.15
77748 노점상 근황 02.22
77747 "제 정신이냐" 신천지, 이번… 02.27
77746 신천지, 새누리 .. 이 정도… 03.03
77745 코로나19 확진자 정보 유포한… 03.13
77744 도쿄 올림픽 연기 전후 확진율… 04.02
77743 선거관련 이런거 써도돼나 모… 04.04
77742 대구 방역업체 돈 한푼도 못받… 04.09
77741 [기획 21대 총선 당선자 공… 04.20
77740 양천구 은혜교회서 26번째 확… 05.21
77739 인도, 한국어 제2외국어로 채… 08.05
77738 푸틴이 홍차에 약 풀은 듯 합… 7 08.21
77737 26일 밤과 27일 새벽 사이… 08.24
77736 의대생들이 ‘의사 국시 거부’… 09.09
77735 여전한 돈까스집 09.13
77734 '잠자는 아기 깨우지 마세요'… 09.19
77733 나를 능가하려구...만평.jp… 09.28
77732 신호위반 사고내는 버스 10.02
77731 브라질 메로나 인기의 진실 10.04
77730 울산화재 이후 투기장 오픈 1 10.10
77729 경희대 여성전용 열람실 신설 10.12

 

 



서비스 이용약관 개인정보 처리방침
Copyright © threppa.com. All rights reserved.
광고 및 제휴, 게시물 삭제, 기타 문의 : threppa@gmail.com
Supported by itsBK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