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빠



본문

[간통죄 폐지] 배우자가 부정행위 저지르면 어떡하죠?

  • 작성자: 김정은갈치
  • 비추천 2
  • 추천 8
  • 조회 5374
  • 2015.02.26

 

헌법재판소의 위헌 결정으로 배우자가 간통을 저질러도 형사상 처벌을 받게 할 길은 사라졌다. 하지만 민사·가사 소송을 통해 정신적 손해에 대한 위자료와 배상금을 지급받는 방법은 여전히 열려 있다.
 
간통죄는 사라졌지만 배우자의 간통을 이유로 이혼소송을 제기할 수는 있다. 이혼소송 과정에서 배우자가 부정행위를 저질렀다는 사실이 입증되면 이에 대한 위자료를 지급받을 수 있다. 형사적 처벌은 사라졌지만 민사적으로는 여전히 부정한 행위의 책임을 묻고 있는 셈이다. 민사상 배우자의 부정한 행위는 간통죄로 형사처벌을 할 때보다 입증하기 수월하다. 

예를 들어, 남편이 다른 여성과 여관방에 함께 들어간 뒤 1시간30분 정도 후에 다시 나오는 장면을 사진으로 찍었다고 가정하자. 간통죄 재판에서는 이 사진만으로 남편의 간통을 입증하기에는 부족하다. 방 안에서 성관계를 가졌다는 증거가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민사 재판에서는 사진만으로도 남편이 성관계 여부를 떠나서 부정한 행위를 했다고 보기에 충분하다고 인정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 배우자의 간통 상대방에 대해서도 혼인파탄에 대한 책임을 물어 가정법원이나 민사법원에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대법원은 손해배상 책임과 관련해 멀쩡한 혼인관계를 파탄 낸 경우에는 손해배상 책임을 인정한다. 하지만 간통 이전에 이미 혼인관계가 파탄난 상태일 때는 책임을 묻지 않는다. 간통 행위로 인해 피해를 입을 혼인관계가 이미 존재하지 않는 셈이기 때문이다. 간통죄 폐지로 인한 위자료 액수의 변화는 현재로선 쉽게 예측하기 어렵다. 법무법인 지우 이현곤 변호사는 26일 “개별 사안마다 부정행위의 정도,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위자료를 책정하고 있기 때문에 일률적인 기준을 제시하기는 어려워 보인다”고 말했다.

이미 간통죄를 없앤 대부분의 국가들도 민사상 소송의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프랑스는 1791년 프랑스대혁명 때 간통죄 처벌 규정을 없앴고, 독일도 1969년 개정 형법에서 조항을 삭제했다. 미국에서도 일부 주에서만 명맥을 유지하고 있지만 처벌되는 경우가 거의 없어 사실상 사문화된 상태다. 중국은 간통죄가 존재하지만 협박의 수단을 동원해 현역 군인의 부인과 간통한 경우에만 처벌한다. 북한도 ‘비열한 동기에서 다른 사람의 가정을 파탄시킨 자’에 대해서만 2년 이하의 노동단련형에 처하고, 정도가 심한 경우에는 노동교화형에 처하도록 하고 있다. 
 

정현수 기자 jukebox@kmib.co.kr 

 

출처: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09181314&code=61121311&cp=du

 

 

 

간통죄가 있다해도 가정은 지켜지지 않는다.

개인의 자유를 가정의 보호 보다 우선시했다고 합니다.

간통죄 폐지국의 경우 민사의 기준이나 판례들이 많이 잡혀 있다고 하는데,

한국의 어떻게 갈런지 모르겠네요.

민사의 기준이 가장 걱정스럽긴 합니다.



 


추천 8 비추천 2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close]

댓글목록

리코님의 댓글

  • 쓰레빠  리코
  • SNS 보내기
  • 이걸 모르는 무지한 사람들이 많을텐데... 나중에 죄가 아닌데 왜 그러냐고 따지고 그러겠죠?
0

꾸정물님의 댓글

  • 쓰레빠  꾸정물
  • SNS 보내기
  • 민사가면 더 좋다는 건가요?
0

쾌아기님의 댓글

  • 쓰레빠  쾌아기
  • SNS 보내기
  • 민사로 가면 간접 증거도 채택이 될 수 있고 가정 소홀 문제로 위자료가 많이 청구 될 듯
0

뻑킹코리아님의 댓글

  • 쓰레빠  뻑킹코리아
  • SNS 보내기
  • 형사처벌의 경우 벌금이 작습니다. 물론 이혼시 해당하는 위자료 또한 적은 편이죠. 하지만 민사로 갔을경우(아직 시스템이 잘 되어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간통한 자는 거의 탕진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럼 돈이 무서워서라도 간통하는 자가 지금보다 없어질 것입니다.
0

곱창라면님의 댓글

  • 쓰레빠  곱창라면
  • SNS 보내기
  • 문제는 대한민국에 그런 민사 시스템이 없다는거죠. 완전 불륜의 천국이 될껍니다.
0

텃밭바디님의 댓글

  • 쓰레빠  텃밭바디
  • SNS 보내기
  • 글쵸 민사가 제대로 확립이 안돼있어써 첫 판결도 주목을 받을 거고 그걸 좀 지켜봐야 할걸요?
0

paradoxx님의 댓글

  • 쓰레빠  paradoxx
  • SNS 보내기
  • 맞습니다. 지켜봐야 알겠죠~
0

알바트로스님의 댓글

  • 쓰레빠  알바트로스
  • SNS 보내기
  • 전 오히려 돈 때문에 극단적인 선택을 할 것 같다는 불안감이 드네요...
0

짱나그네님의 댓글

  • 쓰레빠  짱나그네
  • SNS 보내기
  • 민사로 가면 위자료를 더 받을수 있죠 배신에 대한 응징이 더 가중될것입니다
0

발기찬하루님의 댓글

  • 쓰레빠  발기찬하루
  • SNS 보내기
  • ㅇㅇ바로그거임..형사처벌은없지만 대신에 민사로넘어가면 위자료뜯기가 더 세지죠
0

바람이려나님의 댓글

  • 쓰레빠  바람이려나
  • SNS 보내기
  • 간통죄가 있든 없든.....배우자의 바람은 용서나 이혼이 결론이겠죠.....용서를 하면 간통죄가 있던 시절엔 들어갈지도 몰라 조심하게 되고...이혼의 경우엔 복수의 차원이라든지...근데 이제 용서는 사라지는 겁니다.....용서를 하면 다시 같은 일이 생겼을때 묵시적 허락으로 간주 되어 위자료 청구에서 엄청난 손실을 초래 하게 됩니다.....이혼 하는 마당에 남는건 결국 돈이죠....이제 한번 바람은 바로 인혼이 될겁니다.
0

이슈빠



이슈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쓰레빠 슬리퍼
176245 뉴욕타임스, 신은미 강제출국 보도 - 미국 … 5 김정은갈치 01.11 6044 3 2
176244 [굿뉴스] 나는 꼼수다 김어준,주진우 항소심… 9 mr.kookie 01.16 4164 8 2
176243 사기당한 MB 자원 외교..석유보다 물 더 … 3 mr.kookie 01.20 6216 1 2
176242 한 네티즌 수사대의 새민련 전당대회 겨냥 여… 생삼겹살 01.21 4632 6 2
176241 내가 박근혜를 대통령으로 인정하기 싫은 이유… 8 꾸정물 01.22 8668 6 2
176240 구글에 칼 뽑은 새누리당, 구글세 입법 속도… 9 대단한크기 02.04 5926 7 2
176239 우리가 오바마를 원하는 이유 - 부자, 기업… 12 킨킨 02.04 5521 9 2
176238 김무성, 증세 없는 복지 불가능 발언. 쇼인… 9 김정은갈치 02.05 4831 6 2
176237 안희정 왈, 새누리당은 어떤 수준 국가 만들… 8 paradoxx 02.06 4763 4 2
176236 [만평] 테러에 대처하는 자세. 요르단 vs… 3 킨킨 02.06 7419 4 2
176235 조금 전 2·8전대 문재인 연설 전문 5 gto486 02.08 8479 4 2
176234 독일과 한국의 예산 규모와 복지 비율 비교 12 저격수다 02.13 11645 5 2
176233 김무성 참배와 문재인 참배에 대해서.. 6 싸루비 02.16 6788 4 2
176232 이완구 총리 됐네요.. 임명동의안 가결 14… 10 김정은갈치 02.16 3884 7 2
176231 대통령 모독 혐의 네티즌이 박근혜 증인신청을… 12 대단한크기 02.17 3859 6 2
176230 내가 좋아하는 기사, 박근혜는 장점 없는 박… 8 윈디피아 02.21 4195 6 2
176229 [간통죄 폐지] 배우자가 부정행위 저지르면 … 11 김정은갈치 02.26 5376 8 2
176228 장도리 그리는 박순찬이 진보라고 아시는 분들… 6 안리따움 02.26 3454 6 2
176227 [스압주의]한겨례 그림판으로 보는 박근혜 집… 4 mr.kookie 02.27 3209 6 2
176226 미친 웬디 셔먼, 과거사는 덮고가자며 한·중… 5 꾸정물 03.01 4347 8 2
176225 이상호기자가 말하는 새 비서실장 이병기 (총… 11 김정은갈치 03.02 9389 9 2
176224 박근혜 대통령과 노무현 전 대통령이 생각하는… 18 김정은갈치 03.02 4358 8 2
176223 故 장준하 선생 아들이 박근혜 대통령에게 보… 15 김정은갈치 03.03 5273 18 2
176222 박근혜 대통령 급히 오바마와 면담 7 킬미 03.06 9341 6 2
176221 호주 한인들, 박근혜 정권 퇴진 요구 나서.… 6 paradoxx 03.06 5107 5 2

 

 

컨텐츠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