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빠



본문

악정 재고가 심가하나 봅니다

  • 작성자: TAXI
  • 비추천 0
  • 추천 0
  • 조회 2068
  • 2016.12.14

정부, 1400원대에 산 쌀을 208원 '헐값 떨이'

[오늘의 세상]
52만t을 사료용으로… 쌀값 폭락 막으려 7000억 손해 '고육策'
- 얼마나 남아돌기에…
정부가 창고 쌓아둔 쌀 170만t… 적정 재고량 80만t의 2배 넘어
- 21년 만에 '한 가마 13만원' 깨져
쌀생산 그대로, 소비는 매년 감소
쌀값 이 추세로 계속 떨어지면 정부, 농가 쌀보조금 다 못 줄 판
52만t을 사료용으로… 쌀값 폭락 막으려 7000억 손해 '고육策'
- 얼마나 남아돌기에…
정부가 창고 쌓아둔 쌀 170만t… 적정 재고량 80만t의 2배 넘어
- 21년 만에 '한 가마 13만원' 깨져
쌀생산 그대로, 소비는 매년 감소
쌀값 이 추세로 계속 떨어지면 정부, 농가 쌀보조금 다 못 줄 판
 
내년에 정부가 올해보다 5배나 많은 쌀을 가축 사료용으로 풀겠다고 결정한 것은 쌀값 폭락세를 막기 위한 고육지책이다. 사료용으로 내놓겠다고 한 52만t은 올해 햅쌀 중 식량용으로 유통될 물량의 17%에 해당하는 양이다. 재고 쌀 52만t의 구입 가격은 8119억원이었다. 사료용으로 파는 가격은 1082억원이다. 7000여억원의 손실을 떠안는 셈이다. ㎏당 1400원대에 사서 208원에 파는 것이다.
이번 조치는 사람이 먹을 귀중한 식량을 동물에게 먹인다는 여론의 비판도 감수하겠다는 정책 선택이다. 그만큼 쌀값 추가 하락을 막기 위해 정부는 필사적이다. 정부는 지난 2010년과 2014년에도 재고 쌀을 사료용으로 넘기려다가 '동물에게 사람 식량을 주면 안 된다'는 반대에 밀려 포기했었다.
 
◇넘치는 쌀 재고, 추락하는 쌀값
정부는 가축 사료용으로라도 재고 쌀을 해소하지 않으면 쌀값 하락세를 막을 수 없다고 본다. 정부의 쌀 재고는 170만t으로 올해 쌀 생산량 420만t의 절반에 가깝다. 적정 재고량(80만t)의 배가 넘는다. 공공 비축미와 쌀 가격이 내려갔을 때 정부가 사들인 물량이 대부분이다. 워낙 정부 창고에 쌓아둔 물량이 많다 보니 '정부가 언젠가는 재고 쌀을 팔기 위해 내놓을 수 있고, 그러면 쌀값은 더 떨어진다'는 불안감이 시장에 퍼져 있다. 그래서 불안감 해소를 위해 재고를 줄이는 특단의 조치를 취하지 않을 수 없는 실정이다.
이미 쌀 가격은 끝없이 추락하고 있다. 정부는 올해 수요 초과분을 매입하겠다는 발표를 예년보다 보름가량 앞당기는 등 쌀값 방어에 나섰지만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했다. 지난 10월 25일 산지 쌀값은 80㎏당 12만9628원으로 21년 만에 13만원대가 깨졌다.
워낙 가격이 내려가다 보니 세계무역기구(WTO)가 정해놓은 변동직불금 한도를 처음으로 초과할 가능성이 커졌다는 점에서도 정부는 비상이 걸렸다. 변동직불금이란 정부의 목표 가격(18만8000원·80㎏당)을 정해놓고 실제 가격과의 차액 일부를 현금으로 농가에 보전해주는 제도다. 그런데 현재 가격대로라면 변동직불금 총량이 1조5024억원으로 WTO 한도(1조4900억원)를 초과한다. 따라서 가격을 끌어올리지 않으면 변동직불금을 정부가 약속한 대로 지급하지 못하고 덜 지급할 수밖에 없게 된다. 이럴 경우 농민들이 강력히 반발할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고 해서 WTO 한도를 초과해서 변동직불금을 주면 우리 정부가 WTO 제재를 받아 국제적인 논란이 벌어질 수 있다. 정부로서는 비상수단을 강구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게다가 정부가 직불금으로 지출하는 돈이 워낙 많아 다른 농축산 사업에는 예산을 줄이는 실정이다. 정부는 내년에 쌀 직불금으로 2조3140억원을 책정해놓고 있다. 내년 농식품부 예산 14조4887억원의 16%에 이른다.
 
◇정부 "해법 찾기 어렵다"며 한숨
하지만 가축용으로 사료를 대량 방출하는 것은 근본적 처방이 아니다. 매년 30만t씩 과잉 생산되는 쌀 생산 자체를 줄이지 않으면 해결될 수 없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농민들은 쌀농사에 따른 손실을 보전해주는 제도(직불금제)가 있고, 기계화율이 90%가 넘어 농사짓기가 편하다는 이유로 쌀 생산을 줄이지 않고 있다. 최근 5년간 쌀 생산량은 400만~432만t 사이에서 유지되며 줄어들 기미가 없다. 반면 식습관 변화로 쌀 소비량은 크게 줄어들고 있다. 1인당 쌀 소비량은 2006년 78.8㎏이었지만, 2015년 62.9㎏으로 꾸준히 줄고 있다.
따라서 생산을 줄여 수급을 적절하게 맞추는 방향으로 정부 쌀 정책을 근본적으로 수정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한호 서울대 농경제사회학부 교수는 "직불금 제도를 손보거나 다른 작물을 재배하도록 정책적으로 유도해서 농민들의 쌀 생산 자체를 줄이지 않으면 안 된다"며 "정치권에서도 해결에 힘써야 한다"고 했다.
정부는 대안을 다각도로 모색하고 있지만 아직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 농업진흥지역(일명 절대농지)을 줄여 쌀 생산용 농토 자체를 줄이는 시도를 하고 있지만 성과가 나오지 않고 있다. 식량 자급률이 20%대에 그치기 때문에 식량 안보상 불안하다는 비판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일단 급한 대로 가축용으로라도 쌀 재고를 덜어내는 수밖에 없다"며 "국회가 쌀 문제 해결에 협조해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추천 0 비추천 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close]

댓글목록

솔로몬님의 댓글

  • 쓰레빠  솔로몬
  • SNS 보내기
  • 앞으로 점점 더 줄거라 생각합니다.
0

이슈빠



이슈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쓰레빠 슬리퍼
66003 부대마크가 거북선인 미군부대 1 Lens 12.13 1870 0 0
66002 군대밥 뜰 줄도 모르는 '軍통수권자'라니요? 난기류 12.13 1462 0 0
66001 전기요금 누진제 개편 CJmedia 12.13 1136 0 1
66000 [ 한겨레 그림판 ] 12월 14일 김부장 12.13 1289 0 0
65999 담뱃갑 속 '몰카'로 이웃집 비번 알아낸 3… 그것이알고싶다 07.30 2447 0 0
65998 지난 11년간 대한민국의 대학 진학률 추이 인텔리전스 12.13 1415 0 0
65997 용서할 수가 없는 이정현.jpg 1 Ted77 12.14 1990 0 0
65996 헌재가 근로기준법 각하결정을 하기 위해 청구… 일로드 12.14 1587 0 0
65995 주진우 "최순실, 록히드마틴 직접 만나..7… 임시정부 12.14 1799 0 0
65994 박근혜는 세종대왕과 같다.jpg 인생무상무상 12.14 1638 0 0
65993 대통령 된 듯한 황교안, 국회 출석 버티고 … 2 뽀샤시 12.14 1804 0 0
65992 이재명 시장, 최근 인터뷰 난기류 12.14 1557 0 0
65991 기춘이가 개정한 법 닥터 12.14 1331 0 0
65990 악정 재고가 심가하나 봅니다 1 TAXI 12.14 2069 0 0
65989 치삼만화로 이미지세탁 중인 조선일보 근황 휴렛팩커드 12.14 1970 0 0
65988 대통령이 런던 호텔에서 10시간동안 한 일들… 살인의추억 12.15 1753 0 0
65987 [ 미디어오늘 만평 ] 조중동 몇가지질문 12.14 1251 0 0
65986 [단독] 김영재 의원, 프로포폴 등 관리대장… 암행어사 12.14 2188 0 0
65985 소시오패스 특징 스콧트 12.14 1536 0 0
65984 유시민 질문에 눈알 굴리기 시전 WhyWhyWhy 12.14 2256 0 0
65983 잠시후 8시 폭탄 던질 준비하고 있는 JTB… kakaotalk 12.14 1929 0 0
65982 박근혜 의료용 가글 전달 82쿡 회원들이 밝… majuang 12.14 2743 0 0
65981 닭대가리가 런던 갔을때 매국누리당 12.14 1708 0 0
65980 분노의 일침 .jpg 모닥불소년 12.14 1417 0 0
65979 [ 김용민의 그림마당 ] 2016년 12월 … 다크페이지 12.14 1109 0 0

 

 

컨텐츠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