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빠



본문

"한국 인재 모셔라" 日기업들, 한국 청년들 반기는 이유?

  • 작성자: 선진국은좌파
  • 비추천 0
  • 추천 0
  • 조회 1679
  • 2018.02.07

"한국 인재 모셔라" 日 기업들, 한국 청년들 반기는 이유?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20&aid=0003126798

●일본 기업 간부들, 한국 젊은이 ‘헝그리 정신’에 반색.


일본 정부가 아베노믹스(아베 신조 총리의 경제정책)의 성과를 내세우며 경기 부활과 일손 부족을 자랑하지만 ‘행복한 비명’ 속에는 그림자도 드리워져 있다. 특히 ‘귀하신 몸’ 취급을 받으면서도 도전의식도 동기도 없는 젊은이들이 고민거리다. 이들은 취직을 해도 직장일은 적당히 하고 개인생활을 중시하며 쉽게 전직을 반복한다. 최근 신입 직장인들의 3년 이내 이직률은 30%에 이른다. 과거 선배들처럼 출세(승진)를 위해 삶을 희생하지 않으며 ‘골치아픈’ 관리직은 아예 기피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일본 기업들이 한국의 젊은 인력에 반색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6년 전 일본 유수의 대기업에 지인의 아들(33)을 소개해준 한국인 경영인은 “지인과 회사 양쪽에서 은인 대접을 받았다”고 말했다. 지인의 아들은 한국에서라면 취업이 어려울 학벌이었지만 어려서 외국생활을 해 원어민 수준으로 영어를 구사했다. 그는 이 기업에 입사하자 곧바로 싱가포르 지사 근무를 자원했고 현지 근무 3년 만에 지사장으로 승진했다. 이 회사는 그 뒤 적극적으로 한국인 채용을 늘렸다. 한국 젊은이를 고용해본 일본 글로벌 기업들이 가장 높게 평가하는 것은 해외근무에 적극적이란 점이다. 일본인 직원 대부분이 해외근무를 꺼리고 발령을 내면 사표를 내 골머리를 싸매던 상황이기 때문이다.

일본의 기업 인사담당자들은 “해외근무는 급여도 많고 출세로 연결되지만 요즘 일본 젊은이들은 출세에 관심이 없다”며 한숨을 푹푹 쉰다. 한국 젊은이들에 대해선 “헝그리 정신이 살아 있고, 업무능력도 어학능력도 뛰어나다”며 엄지손가락을 치켜세운다. 한국인 사원들의 패기를 가장 반가워하는 이들은 일본인 임원들이라는 말도 들린다. 이들에게서 자신들의 젊은 시절 모습을 떠올리기 때문이다.

이같은 평가에 힘입어 지난해 일본에 취업한 한국인은 5만 5900여 명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년 대비 증가폭도 사상 최대였다. 일본 기업들은 한국 대졸자들을 모시기 위해 지방캠퍼스까지 찾아가 취업설명회를 여는 수고를 아끼지 않는다. 일본 젊은 세대가 해외 근무에 소극적인 이유는 무엇보다 모든 게 갖춰진 일본이 편하기 때문이다. 산교노리츠(産業能率)대가 2017년 신입사원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 따르면 ‘입사 뒤 해외에서 일하고 싶지 않다’는 응답이 60.4%에 달했다. 2001년 20.2%에서 크게 늘었다. 그 이유로는 ‘외국어 구사에 자신이 없다’(63.6%)로 가장 많았고 가족사정, 테러 등 안전문제 등이 뒤를 이었다.

같은 이유로 유학도 잘 안 간다. 2015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에 따르면 해외에서 공부하는 일본인 유학생은 5만 4676명으로, 고점을 찍은 2004년(8만 2945명)에 비해 30% 이상 격감했다. 특히 미국행 유학생이 격감했다. 미국 국제교육연구소에 따르면 2016년 일본인 유학생은 1만 9000여 명으로 국가별 8위에 머물렀다. 1994~1997년에는 일본인 유학생이 1위였다. 문부성은 2014년부터 장학기금 ‘도약하자 유학 재팬’을 설치하는 등 지원에 나섰지만 큰 효과는 보지 못하고 있다.

●“출세 싫어요,” 일은 적당히, 나만의 생활 중요


출세가 더 이상 직장에서의 ‘당근’이 되지 못하는 현상은 각종 조사 결과에서 잘 드러난다. 산교노리츠대 조사에서는 최종목표로 ‘사장’을 꼽은 신입사원은 버블경제기인 1990년에는 46.7%였지만 2017년에는 8.9%에 그쳤다. 같은 기간 ‘지위나 직책에 관심이 없다’는 응답은 20.0%에서 49.9%로 늘었다.

지난해 5월 미쓰비시UFJ 리서치 앤 컨설팅이 실시한 신입사원 1300명 대상 조사에서도 ‘출세하고 싶다’와 ‘출세하지 않고도 좋아하는 일을 즐겁게 하고 싶다’ 중 양자택일하라는 질문에 전자가 46.6%, 후자가 53.4%를 차지했다. 직장은 즐겁게 생활비를 벌기 위한 수단이라고 보는 젊은이가 늘어가는 가운데 기업들은 급여나 승진 대신 무엇으로 이들을 붙잡아놓을지 고민하는 형국이다.

이런 젊은이들을 상대해야 해서일까. 산교노리츠대가 지난해 12월 발표한 ‘상장기업 과장(課長)에 관한 실태조사’에 따르면 ‘더 이상 출세(승진)를 원하지 않는다’고 답한 과장이 49.5%로 약 절반을 차지했다. 일본 기업에서 과장은 부하들을 거느리고 실적을 내는 ‘허리’에 해당한다. 기업인사 전문 저널리스트인 미조우에 노리후미 씨(溝上憲文)는 업무량, 부하와의 관계에서의 중압감은 늘어난 반면 직책에 어울리는 보수와 권한, 재량은 없기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추천 0 비추천 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close]

댓글목록

이슈빠



이슈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쓰레빠 슬리퍼
58288 [단독]경희대 아이돌 특혜, 조권 인가.. … 4 뽀빠이 02.07 2485 1 0
58287 국내 최대 로펌 삼성 3 거래중지 02.07 2255 6 0
58286 안철수 "文대통령, 도대체 개헌에 대한 의지… 5 WhyWhyWhy 02.07 2270 5 0
58285 김빙삼옹의 三星論 계란후라이 02.07 1824 1 0
58284 추미애 대표 페북 - 법과 정의를 바로 세워… 1 도시정벌 02.07 1713 5 0
58283 삼성이 알바로 여론 장악하는 과정 6 달토끼 02.07 2792 11 0
58282 주한미국대사관의 '특별한' 성화봉송 릴레이!… shurimp 02.07 1867 3 0
58281 주진우의 다짐... 4 껄껄 02.07 3092 7 0
58280 일본의 국보1호 2 계란후라이 02.07 2941 4 0
58279 친구 맞을 때 부동자세…주먹질 어린이집 교사… 9 프리마 02.07 2162 12 0
58278 판사 재벌 1 ABCDE 02.07 2289 4 0
58277 무전유죄 유전무죄 장프로 02.07 1381 3 0
58276 어느 노동운동가님의 일침 1 skyseo 02.07 1551 11 0
58275 외신, 이재용 집행유예에 “한국은 여전히 삼… 7 shurimp 02.07 1974 10 0
58274 "한국보다 싸네".. 그래서 또 일본 갑니… 4 WhyWhyWhy 02.07 2316 0 0
58273 삼성 공화국 임원진 근황 9 마라톤 02.07 2339 13 0
58272 대만서 6.4 강진…호텔 등 일부 붕괴…"… 4 기자 02.07 1114 3 0
58271 뇌물 9천만원은 실형, 36억은 집행유예.… 마크주커버그 02.07 1769 2 0
58270 [장도리] 황금개의 해 1 뀰♡ 02.07 1794 5 0
58269 검찰 "도곡동 땅 진짜 주인은 MB"..잠… 김웅롱 02.07 1542 2 0
58268 동성 성추행 이현주 영화감독 2 쓰레기자 02.07 2408 3 0
58267 평창 자원봉사자를 한명한명 챙기는 우리나라 … 1 추천합니다 02.07 2880 1 0
58266 36억과 5900만원 최순시리out 02.07 1840 4 0
58265 대만 화롄 건물 붕괴사진(사진 계속 추가).… Marlboro 02.07 2431 7 0
58264 [속보] 실시간 대만 상황 10 Marlboro 02.07 2823 10 0

 

 

컨텐츠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