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빠



본문

직장인 64.7% 저축액 평균852만8000원

  • 작성자: Z4가이
  • 비추천 0
  • 추천 0
  • 조회 846
  • 2020.11.19

잡코리아 조사...연령별 저축 비중 20대 75.3% >30대 62.8% > 40대 60.5% 순



[서울=뉴시스] 김종민 기자 = 직장인 5명 중 3명이 ‘작년에 저축했다’고 밝혔으며, 이들이 지난 한 해 동안 저축한 금액은 평균 852만8000원으로 집계됐다. 특히 저축을 했다고 밝힌 직장인 중 절반을 웃도는 52.2%가 ‘매달 일정금액을 꾸준히 저축했다’고 답했다.

취업포털 잡코리아(대표 윤병준)가 최근 아르바이트 대표포털 알바몬과 함께 직장인 2112명을 대상으로 ‘2019년 저축 현황’을 주제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2일 밝혔다.

잡코리아가 알바몬과의 공동 설문조사에서 ‘지난 해 저축을 했는지’를 물은 결과 응답자의 64.7%가 ‘저축을 했다’고 답했다. 지난 해 저축을 했다는 응답은 연령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잡코리아에 따르면 30대 직장인의 62.8%, 40대 이상 직장인은 60.5%가 ‘작년에 저축을 했다’고 답한 반면, 20대 직장인은 이보다 최대 15% 포인트가 높은 75.3%가 ‘저축했다’고 답했다.

하지만 지난 해 총 저축금액에 있어서는 20대의 저축액이 가장 낮았다. 지난 해 저축을 했다고 밝힌 20대 직장인의 저축 총액은 평균 776만9000원으로 집계됐다. 40대 이상 직장인은 평균 818만1000원을 저축했다. 특히 30대 직장인의 저축액은 평균 906만8000원으로 20대 저축액보다 130만원 가량 높게 집계됐다.

지난 해 저축을 했다는 직장인들에게 그 전과 지난 해의 저축액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를 질문한 결과 40.1%의 직장인이 ‘별 변화가 없었다’고 답했다. ‘저축을 늘렸다’는 응답은 31.5%로 ‘줄였다(28.4%)’보다 소폭 높았다. 눈에 띄는 점은 20대의 경우 ‘저축을 늘렸다’가 39.2%로 ‘줄였다(17.6%)’보다 2배 이상 높았던 반면, 40대 이상 직장인은 ‘줄였다’는 응답이 34.5%로 ‘늘였다(19.8%)’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 직장인들이 지난 한 해 저축한 방식을 살펴 보면 ‘매달 일정 금액을 꾸준히 저축했다(52.2%)’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금액은 들쭉날쭉했지만 매달 꾸준히 저축했다’는 응답은 28.8%, ‘비정기적으로 상황에 따라 저축했다’는 응답은 19.0%로 나타났다.

한편 ‘지난 해 저축을 전혀 하지 못했다’고 답한 직장인은 746명, 35.3%였다. 이들은 지난 해 저축하지 못했던 가장 결정적인 이유로 ‘대출금’을 꼽았다. ‘갚아야 할 대출금이 많아서 현금을 저축할 여유가 없다’는 응답이 42.5%로 1위를 차지한 가운데 ‘카드값, 생활비를 쓰고 나면 남는 돈이 없다(40.8%)’는 응답이 바짝 그 뒤를 쫓았다. 연령별로 저축하지 않은 이유를 살펴 보면 40대 이상(54.4%) 및 30대(44.6%) 직장인은 ‘대출금 압박’을 가장 많이 꼽은 반면 20대는 ‘카드값, 생활비’를 꼽는 응답이 63.2%로 가장 높았다.

추천 0 비추천 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close]

댓글목록

이슈빠



이슈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쓰레빠 슬리퍼
56172 요즘 현역 헤어스타일 1 newskorea 11.19 1161 0 0
56171 어린이집에서 매일 의자에 갇혀 있던 3살 ABCDE 11.19 834 0 0
56170 일본해 대신 번호로 표기 한라산 11.19 571 0 0
56169 미국 텍사스 근황 숄크로 11.19 1267 1 0
56168 통영 화장장 사건 2 시사 11.19 1339 2 0
56167 전세난에 빌라라도 사자 1682483257 11.19 987 0 0
56166 중국 비판한 마윈 근황 매국누리당 11.19 1180 1 0
56165 한국을 방문한 요식업계의 대가들 Lens 11.19 1381 1 0
56164 신규 코로나 확진 343명…국내 293명·해… 모닥불소년 11.19 444 0 0
56163 직장인 64.7% 저축액 평균852만8000… Z4가이 11.19 849 0 0
56162 홍남기 "향후 2년간 전국 11.4만호,수도… 애니콜 11.19 808 0 0
56161 중국 택하면 처참한 미래? global 11.19 1203 0 0
56160 화제의 절벽 아파트 온리2G폰 11.19 1668 0 0
56159 "요즘 65세가 노인인가요?" 세대갈등 도화… 추천합니다 11.19 1181 0 0
56158 현재 난리난 고려대학교 기숙사 퇴출 8 생활법률상식 11.19 1554 10 0
56157 김치는 중국이 원조라는 바이두 백과사전 1 Mobile 11.19 1235 0 0
56156 판검사 월급표 2 도시정벌 11.19 1842 1 0
56155 이유가 뭘까…WSJ "백신 계약 서두르지 않… TOBACCO 11.19 944 0 0
56154 김장할 때 '빨간 고무대야' 사용 금물 하건 11.19 1046 0 0
56153 진해서 초등생 가족 등 12명, 하동서 중학… 뽀샤시 11.19 929 0 0
56152 '경주 고분 주차' 20대 "친구들과 놀러왔… 8 라이온스 11.19 1203 10 0
56151 음주운전 잡은 택시 운전사 꼭미남 11.19 860 0 0
56150 전남대병원 확산 "방역 허술·전파 뒤늦게 파… 스미노프 11.19 528 0 0
56149 '복면가왕', 노르웨이에 스위스까지...전 … 리미티드 11.19 1109 0 0
56148 AI에게 지시받는 배달원 dimension 11.19 993 0 0

 

 

컨텐츠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