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빠



본문

日 9명 받을 때 '0'명 굴욕…"한국 건축 멀었다" 쏟아진 탄식

  • 작성자: 밤을걷는선비
  • 비추천 0
  • 추천 0
  • 조회 320
  • 2024.03.09
‘건축계 노벨상’으로 불리는 프리츠커상의 올해 수상자로 일본의 야마모토 리켄(79)이 5일(현지시간) 선정됐다. 미국 하얏트재단이 1979년 제정한 이 상은 세계에서 가장 유명하고 실력 있는 건축가만 받을 수 있는 최고 권위의 상이다. 일본인이 이 상을 받은 건 아홉 번째. 이로써 일본은 미국(8명)을 제치고 가장 많은 수상자를 배출한 국가가 됐다.

이 소식을 들은 한국 건축계에서는 탄식이 나왔다. 이번 수상으로 일본과 한국의 격차가 9 대 0까지 벌어졌기 때문이다. 야마모토가 누구길래 이 상을 받은 걸까. 일본은 왜 이렇게 프리츠커상을 많이 받을 수 있었나. 한국에서는 왜 수상자가 나오지 않는 걸까.

(생략)

이런 추세를 감안하면 한국인 건축가의 프리츠커상 수상은 한참 멀었다는 평가다. 사회적으로 의미 있는 건축물 대부분은 공공 건축인데, 한국의 공공 건축 관행은 엉망이라는 게 국내외의 일관된 평가다. 한 건축가는 “서울 한 구청의 건축 공모전에 설계가 당선된 적이 있는데, 담당 과장이 ‘구청장 취향대로 설계를 바꿔 달라’고 해서 황당했다”며 “정치인이나 지방자치단체장의 치적이 될 수 있도록 겉보기에 멋지면서도 무조건 싸고 빠르게 지어달라는 요구가 많다”고 토로했다.

근본적인 원인은 “한·일 양국 간 건축을 바라보는 철학의 차이”(정진국 한양대 건축학부 명예교수)에 있다는 분석이 많다. 화려한 건축물은 사치로 여겼던 유교 전통, 빨리 많이 짓는 게 목표였던 고도 성장기 등의 영향으로 아직도 건축을 예술로 보지 않는 사회적 분위기가 첫 번째다. 두 번째는 한국 건축계 특유의 폐쇄적인 분위기다. 정진국 교수는 “일본 건축가들은 글로벌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데 적극적이고, 서로 밀어주고 끌어주는 분위기가 강하다”며 “반면 한국 건축가들은 세계 무대에서의 네트워킹과 트렌드 흡수 능력이 떨어지는 데다 학연 등으로 끼리끼리 뭉치는 경향이 있다”고 했다.

유현준 건축가는 “프리츠커상은 단순히 한 건축가가 받는 상이라기보다 그 나라의 문화 수준에 주는 상이라고 봐도 무방하다”고 말했다.

http://n.news.naver.com/article/015/0004956668?type=journalists

추천 0 비추천 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close]

댓글목록

이슈빠



이슈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쓰레빠 슬리퍼
177196 "자식 뒤치닥거리 죽을 때까지 하게 생겼다"… 현기증납니다 03.16 679 0 0
177195 도박자금 빌리려 아버지에 '1,500번' 연… 자신있게살자 03.16 695 0 0
177194 人의 단상, 그리고 빨갱이... 피아제트Z 03.16 855 0 0
177193 二의 단상, 그리고 국가부채... 레저보이 03.16 790 0 0
177192 가계 이자 비용 역대 최대폭 증가 자일당 03.16 1015 0 0
177191 1~3개월 후 물가 더 오른다 보스턴콜리지 03.16 1017 0 0
177190 가계대출 1천100조 원 돌파 또 역대 최대 스트라우스 03.16 919 0 0
177189 二의 단상, 그리고 국가부채... HotTaco 03.16 643 0 0
177188 人의 단상, 그리고 빨갱이... 민방위 03.16 451 0 0
177187 가계 이자 비용 역대 최대폭 증가 미스터리 03.16 608 0 0
177186 1~3개월 후 물가 더 오른다 blueblood 03.16 632 0 0
177185 가계대출 1천100조 원 돌파 또 역대 최대 현기증납니다 03.16 650 0 0
177184 二의 단상, 그리고 국가부채... 087938515 03.16 456 0 0
177183 人의 단상, 그리고 빨갱이... sflkasjd 03.16 442 0 0
177182 손흥민 기록(해외 공계) 뽀샤시 03.16 386 0 0
177181 가계 이자 비용 역대 최대폭 증가 장프로 03.16 343 0 0
177180 가계대출 1천100조 원 돌파 또 역대 최대 신짱구 03.16 322 0 0
177179 1~3개월 후 물가 더 오른다 자일당 03.16 337 0 0
177178 二의 단상, 그리고 국가부채... global 03.16 313 0 0
177177 人의 단상, 그리고 빨갱이... 자신있게살자 03.16 285 0 0
177176 쌀 나눠줬다고 살해된 경주시민들.. 암행어사 03.15 464 0 0
177175 수 백명의 목숨을 날려버린 탈출 딜러 03.15 465 0 0
177174 일요일에 쉬게 해달라고 요구하다 죽음을 택한… 우량주 03.15 437 0 0
177173 한국석유공사가 세들어 사는 이유 얼리버드 03.15 465 0 0
177172 토쿠야마 신이치 전차남 03.15 385 0 0

 

 

컨텐츠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