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빠



본문

대통령 전용기 도입, 다음 정부로 넘겼다

  • 작성자: 1682483257
  • 비추천 0
  • 추천 1
  • 조회 936
  • 2018.03.19
靑 "임기 후반까지 검토 안해"
전세기보다 경제성 앞서지만
정쟁화 우려 구입 논의 미뤄
문재인 대통령이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 참석차 독일로 출국한 지난해 7월5일 오전 성남 서울공항에서 정비사들이 대통령 전용기를 향해 손을 흔들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국격 차원에서 최근 공론화된 대통령 전용기 구입이 현 정부에서 시동도 걸리기 전에 불발됐다. 청와대는 이 문제를 최소한 현 정부 임기 후반까지는 검토하지 않기로 했다. 이로써 문재인 대통령 임기 내 전용기 도입은 사실상 물 건너갔다.

18일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현재로서는 전용기 도입 문제는 거론하지 않겠다는 것이 대통령의 뜻”이라고 밝혔다. 이어 “만약 전용기 도입 문제를 정식으로 논의한다고 해도 (후임자를 위해) 문 대통령의 임기 후반에나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용기 도입을 추진해 실물을 인도받기까지는 최소한 2~3년이 걸린다. 따라서 논의 시점을 최소한 문 대통령 임기 후반으로 미룬 것은 차기 대통령 때에나 전용기를 이용하도록 해 정쟁화를 피하려는 차원으로 해석된다.

앞서 노무현 전 대통령도 후임자를 위해 자신의 임기 후반에 총 1,900억원을 들여 전용기를 구입하려고 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초기 자금 299억9,100만원을 2007년도 예산안에 편성했다. 그러나 당시 야당이던 한나라당(현 자유한국당)의 반대로 사업은 무산됐다. 이후 여야가 한나라당이 집권한 뒤 전용기 도입을 재추진했으나 제조사 측이 너무 높은 값을 불러 좌초됐다. 당시 보잉은 8,000억원 이상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노무현 정부 때 샀으면 훨씬 싸게 살 수 있었던 것을 한나라당의 반대로 실기한 셈이다.

현재 대통령이 해외 순방시 탑승하는 공군1호기(일명 ‘코드원’)는 대한항공에서 빌린 전세기다. 전세기는 초기 목돈 부담이 적지만 이용 횟수가 많으면 되레 전용기 구입보다 총비용이 더 들어갈 수 있다. 지난 2006년 한국국방연구원(KIDA)의 대통령 전용기 도입 관련 경제 타당성 분석에 따르면 대통령이 연간 5차례 이상 사용시에는 전세기의 경제성이 전용기보다 떨어지는 것으로 평가됐다. 비즈니스 외교와 안보협력을 위해 대통령의 연간 해외 순방 횟수가 늘어나는 추세를 감안하면 전용기 도입의 경제성이 상대적으로 부각된다.

한편 청와대는 대통령 해외 순방시 기자단 등 수행인원이 공군1호기의 수용량을 초과하면 일반 중소형 여객기를 임시로 추가 전세 내 사용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첫 적용 사례는 올 4·5월로 예상되는 일본 순방이 될 가능성이 높다. /민병권기자 newsroom@sedaily.com

출처 : http://v.media.daum.net/v/20180318172737630

추천 1 비추천 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close]

댓글목록

이슈빠



이슈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쓰레빠 슬리퍼
50356 음주운전 차량, 길 가던 어린이 4명 덮쳐…… 자일당 04.08 939 0 0
50355 1위 벌칙인가요…? 아이돌 쥐덫 된 음악방송… 추천합니다 05.17 939 0 0
50354 가짜 의사 생활 27년 ㄹㅈㄷ 나도좀살자좀 05.24 939 0 0
50353 '5·18의 역사' 고 조비오 신부 마지막 … 자격루 09.23 938 2 0
50352 오늘의 만평 힘들고짜증나 10.27 938 3 0
50351 [공포]저번주에 17.5%였던 대통령 지지율 뭣이중헌디 11.01 938 1 0
50350 이재명, 약속 그대로 선봉에 서다. 정의로운세상 11.15 938 1 0
50349 분노의 이재명 성남시장 국정감사 증언 박근혜… 로우가 11.20 938 1 0
50348 이제 10대도 탈조선시대 밥값하자 11.22 938 3 0
50347 오늘 5차 대규모 촛불집회..청와대 앞 20… blueblood 11.26 938 6 0
50346 크리스마스에도 촛불이 켜진다 피로엔박카스 12.24 938 1 0
50345 정치적 판단을 한 선관위_ 김빙삼옹 트윗 애니콜 01.14 938 3 0
50344 독도문제의 본질 네이버 01.21 938 2 0
50343 서울시 택시요금 인상 검토, 기본료 8000… 우간다 10.19 938 0 0
50342 속보] 밀양 세종병원서 화재…“8명 사망·3… 3 센치히로 01.26 938 4 0
50341 휠체어로 지하철 환승, 40분이나 걸렸다 4 patch 03.09 938 4 0
50340 미투운동 창설자, 타라나 버크가 말하는 미투… xiuchen 03.17 938 2 0
50339 맥주세금 과연 낮아질수 있을까요? note 07.13 938 3 0
50338 손흥민, 조현우, 황의조 와일드카드.. 도시정벌 07.16 938 1 0
50337 풍자와 해학의 정치인…고 노회찬이 남긴 '말… 삼성국민카드 07.25 938 1 0
50336 강원 수능시험 부정행위 2명 적발… 힘들고짜증나 11.15 938 1 0
50335 박용진 의원 "'박용진3법' 가짜뉴스 주의"… hangover 12.01 938 1 0
50334 대만 징병제 67년만에 소멸…의무복무자 26… 네이버 12.17 938 1 0
50333 새 방화복 없어 매번 '손빨래'…탁상행정에 … 아론 12.23 938 2 0
50332 정청래, 홍준표 확증편향 앓고 있다 shurimp 12.23 938 1 0

 

 

컨텐츠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