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빠



본문

그 많던 국민연금 자발적 가입자 어디로 갔나…감소세 지속

  • 작성자: 김산수
  • 비추천 0
  • 추천 0
  • 조회 934
  • 2022.12.18
공적연금 소득 2천만원 초과시 건보 피부양자 자격 상실 영향 분석



(서울=연합뉴스) 서한기 기자 = 자발적으로 국민연금의 문을 두드리던 사람들이 계속 줄고 있다.

국민연금에 의무적으로 들지 않아도 되지만 노후를 위해 스스로 연금보험료를 전부 내면서까지 가입행렬을 이루던 모습과는 대조적이다.

지난 9월부터 국민연금 같은 공적연금 소득이 연간 2천만원을 넘으면 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을 잃고 지역가입자로 전환돼 그간 내지 않던 건강보험료를 부담하게 한 정부 조치의 영향이 지속되기 때문으로 보인다.

피부양자는 경제적 부담 능력이 없어 건보 직장가입자에 생계를 의존하는 사람으로 건강보험 당국이 정한 소득· 재산 기준, 부양요건 기준을 맞춰야 한다.


올해 1월 94만7천855명 정점 후 감소세로 돌아서

17일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 국민연금에 가입할 의무가 없지만 스스로 가입한 '임의가입자'와 '임의계속가입자'는 올해 1월만 해도 94만7천855명으로 곧 100만명에 육박할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하지만 2월 94만3천380명으로 줄기 시작해 3월 93만7천274명, 4월 93만8천843명, 5월 92만3천854명, 6월 91만3천430명, 7월 91만3천819명, 8월 90만1천121명 등으로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 1월과 비교해서 8월에 4.93%(4만6천734명)나 감소했다.

임의가입자와 임의계속가입자를 합한 수는 2017년 67만3천15명, 2018년 80만1천21명, 2019년 82만6천592명, 2020년 88만8천885명, 2021년 93만9천752명 등으로 계속 느는 추세였다가 올 1월을 정점으로 감소세로 돌아선 것이다.

가입 의무가 없는데도 국민연금에 가입한 임의가입자와 임의계속가입자는 본인이 보험료를 전액 부담해야 해서 국민연금의 대표적인 신뢰도 지표로 여겨진다. 국민연금 직장가입자의 경우 본인과 사업주가 각각 절반씩 보험료를 낸다. 따라서 자발적 가입자가 줄어든다는 것은 그만큼 국민연금에 대한 신뢰가 떨어지고 있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건보료 부과체계 2단계 개편 따른 피부양자 소득요건 강화 영향

이렇게 자발적 가입 증가세가 꺾인 데는 지난 9월부터 시행된 건강보험료 부과체계 2단계 개편에서 연 2천만원을 넘는 공적연금 소득이 있으면 건보 피부양자에서 탈락하도록 한 게 영향을 줬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본다.

피부양자 인정 소득 기준 강화로 연금액이 늘면 피부양자 자격을 빼앗기는 상황에 부닥치게 되자, 노후를 대비해 국민연금에 좀 더 오래 가입해 연금 수령액을 늘리려던 자발적 가입자들이 국민연금에서 이탈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최혜영 의원이 건보공단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2단계 개편에서 연간 공적 연금소득 2천만원 초과로 피부양자에서 제외돼 지역가입자로 전환된 사람은 올해 9월 기준으로 총 20만5천212명(동반 탈락자 포함)에 달했다.

연금 유형별로는 공무원연금이 16만4천328명(연금소득자 10만1천486명, 동반 탈락자 6만2천842명), 군인연금 1만8천482명(연금소득자 1만926명, 동반 탈락자 7천556명), 사학연금 1만6천657명(연금소득자 1만629명 동반 탈락자 6천28명), 국민연금 4천666명(연금소득자 2천512명, 동반 탈락자 2천154명), 별정우체국연금 1천79명(연금소득자 686명, 동반 탈락자 393명) 등이다.

동반 탈락자가 많은 것은 세대주인 배우자(주로 남편)가 '소득 기준'을 맞추지 못해 피부양자 자격을 잃으면 함께 사는 배우자(주로 아내)도 피부양자 자격을 상실하기 때문이다.

http://n.news.naver.com/article/001/0013646977

추천 0 비추천 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close]

댓글목록

이슈빠



이슈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쓰레빠 슬리퍼
49869 "한국말 알려줄게" 10대 美여성 집단 성폭… context 03.23 933 0 0
49868 코로나 완치 1년 지나도 '후각 상실' 지속… wlfkfak 03.28 933 0 0
49867 수에즈 운하 열렸지만 '마비 후유증' 한동안… 쾌변 03.31 933 0 0
49866 WHO 우한 코로나19 기원 아닐수도...미… 이론만 03.31 933 1 0
49865 예로부터 우리 조상들은 자신있게살자 04.01 933 0 0
49864 교차 접종해보니 "열은 나지만 면역 효과 높… ABCDE 05.19 933 0 0
49863 아파트 13층에서 쓰레기를 무차별 투척한 이… 1 alsdudrl 07.05 933 0 0
49862 "우리는 이런 재앙을 본 적이 없다".. 1… M4A1 07.16 933 0 0
49861 “중3 제자에게 성적 행위 시키고 거부하면 … Homework 07.23 933 0 0
49860 암담한 미얀마 Z4가이 07.29 933 0 0
49859 Jap올림픽 포로 수용소 "창문 못 열어" … 불반도 08.02 933 0 0
49858 5%씩 38억원 떼먹어…'납품업체 갑질' G… 몇가지질문 08.05 933 0 0
49857 Jap인의 '과학 무시' '낙관주의'라는 뿌… 색누리당 08.22 933 0 0
49856 소방서장의 이상한 지시 연동 09.30 933 2 0
49855 흰 가운 입고 병원에서 수십 명과 데이트‥알… Petrichor 10.14 933 0 0
49854 3.1절 기념식에 나온 중국여자의 실체.jp… 2 묵찌빠 03.01 933 2 0
49853 혼수상태인데 휴대폰 결제?…잡고 보니 영웅본색 04.04 933 0 0
49852 스벅 빨대 ‘휘발유 냄새’… “배합비 변경… 현기증납니다 05.06 933 0 0
49851 속옷·립스틱 혼자사는 여성 집 앞에 둔 20… 자격루 05.10 933 0 0
49850 "영상통화였다" 해명에도...이태원 고릴라 … 1 덴마크 05.27 933 0 0
49849 결혼 망쳤다…'스드메' 비용 받아 회사 빚 … 김웅롱 08.12 933 0 0
49848 10년 전 ‘고려대 의대 성추행 사건’ 가해… Blessed 09.30 933 0 0
49847 창원시 도서관 근황 뽀샤시 10.02 933 1 0
49846 4년에 한번 돌아오는 특수인데…"카타르 월드… 로우가 11.24 933 0 0
49845 뉴욕서 코로나19 변이 쥐 감염… “인간 전… 시사 03.11 933 0 0

 

 

컨텐츠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