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빠



본문

‘벼락거지’, 가난혐오와 불안심리 자극

  • 작성자: M4A1
  • 비추천 0
  • 추천 0
  • 조회 674
  • 2021.04.16

남들처럼 주식·부동산으로 돈 못 벌면 ‘벼락거지’?
상대적 박탈감 자극, 부동산 광고성 기사에도 악용
혐오정서 전파·손가락질보다 진짜 문제들을 다뤄야



최근 경제·부동산 기사에 ‘벼락거지’라는 표현이 자주 등장한다. ‘벼락부자’의 반대격인 표현인데 네이버 지식백과에도 올랐다. “자신의 소득에 별다른 변화가 없었음에도 부동산과 주식 등의 자산 가격이 급격히 올라 상대적으로 빈곤해진 사람을 자조적으로 가리키는 신조어”라는 의미다.


연일 쏟아지는 기사들은 이런 상대적 박탈감을 한껏 자극한다. 매일경제는 지난해 11월22일 “집값 상승이 낳은 웃픈 현실…씁쓸한 신조어 ‘벼락거지’” 기사에서 부동산 커뮤니티를 출처로 ‘벼락거지’를 소개했다. 기사는 벼락거지를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눴다. 근로소득을 예·적금 통장에 넣는 ‘일개미파’와 정부 공급대책을 믿고 기다리던 ‘타이밍파’다.




주가 폭등도 마찬가지다. 비슷한 시기 조선일보(“월급만 믿다간 벼락거지” 8시50분이면 화장실 가는 주식 열풍)는 직장인들의 ‘주식 열풍’을 보도했다. 국내 주식시장이 열리는 오전 9시에 맞춰 너도나도 화장실로 몰려가 주식을 사고판다는 내용이다. 여러 문단으로 이뤄진 기사는 주식 잘해 돈 번 사람들과 이를 부러워하는 이야기로 채워졌다.


급기야 노골적인 광고성 기사들도 등장했다. △‘벼락거지’라는 신조어까지…‘내 집 마련’ 수요자들 인천 영종 주목(한국경제TV) △씁쓸한 부동산 신조어 ‘벼락거지’…익산시에 ‘내 집 마련’ 해답 있다(파이낸셜뉴스) △벼락거지 피하려고 줍줍…교성지구 풍림아이원 트리니움, 무순위 청약 받아(e대한경제) 등. 홍보관 주소까지 친절하게 적어둔 ‘기사’를 찾아보긴 어렵지 않다.


집값과 주가가 폭등하는 사회는 분명 정상적이지 않다. 현상 보도에 등장하는 전문가들도 지금처럼 과열된 시장은 후유증을 남길 수 있고, 충동적인 투자는 위험하다고 경고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기사에서 이런 분석이나 전망은 고작 몇 문장, 한두 문단에 그친다. 우려를 명목으로 대중이 상대적 박탈감과 ‘나만 뒤처지고 있다’는 불안심리에 올라타게 하는 것이다. 노동가치를 경시하는 풍조를 언론이 무책임하게 확대 재생산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애초 언론이 ‘○○거지’라는 표현을 활용하는 방식의 문제도 돌아봐야 한다. 가까운 예로 이달 초 논란이 된 ‘개근거지’가 있다. 지난 2일 머니투데이가 “온라인 커뮤니티에 ‘요즘 초등학생들이 개근하면 듣는 말’이라는 글이 올라왔다”며 기사화했다. 학기 중 체험학습 신청을 하지 않고 개근하는 아이들은 해외여행을 가지 않는 사실이 드러나 ‘못 사는 아이’ 취급 받는다는 내용이다.


해당 기사는 짐짓 “문제는 교실에 뿌리내린 ‘혐오’의 정서”를 꼬집었다. 그러나 되레 극소수 학부모나 커뮤니티 사용자들이 쓸 법한 표현을 공신력 있는 스피커에 올렸다는 비판이 돌아왔다. 비단 개근거지 뿐이 아니다. ‘월(세)거지’나 ‘전(세)거지’, ‘빌거’(빌라에 사는 거지), ‘휴거’(휴먼시아 사는 거지) 등의 표현이 알려진 데 언론의 역할이 컸다. 상대적 가난을 당사자의 탓으로 돌리는 혐오 정서가 언론을 통해 스며들고 있는 것이다.


실재하는 현상을 언론이 무작정 외면할 수는 없다. 성실하게 살아온 이들이 박탈감을 느낄 수 밖에 없는 시장과 정책의 문제, 주거 빈곤이 대물림되는 현실, 아이들에게 퍼지는 어른들의 혐오정서 모두 문제다. 그래서 우리 사회는 무엇을 해야 할까. 언론의 존재 이유는 이 물음을 던지는 데서 시작된다. 누군가의 불행을 ‘○○거지’라 부르며 냉소하고, 혐오와 차별을 사회적 추세인 양 정당화하는 역할이 아니라.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1929 

노지민 기자(승인 2021.02.14 09:03)



------------



이런 기사는 쉽게 묻히고ㅠㅠ

국짐과 언론의 콜라보만 만연하네.. 요즘 실생활에서도 00거지란 말 너무 많이 나와.







추천 0 비추천 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close]

댓글목록

이슈빠



이슈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쓰레빠 슬리퍼
47005 백종원이 칭찬한 이번주 골목식당 손님일뿐 04.16 905 0 0
47004 미얀마 군부 자금줄 숄크로 04.16 860 0 0
47003 서예지의 성향이 드러나는 일화 쉬고싶어 04.16 1285 0 0
47002 일본방송이 예측한 한일관계 국밥 04.16 1199 0 0
47001 여성단체는 외국인 범죄에는 찍소리도 못하는 … 1 note 04.16 1429 0 0
47000 오염수 마셔도 된다더니... 日 "마셔서 안… 잊을못 04.16 1242 0 0
46999 신분증이 없는 나라 영국 alsdudrl 04.16 1684 0 0
46998 기상청 "경기 여주 동쪽서 규모 2.2 지진… 휴렛팩커드 04.16 841 0 0
46997 식약처, '불가리스 코로나 예방 효과' 남양… 휴렛팩커드 04.16 909 1 0
46996 매일 정부, 방역 비난하는 신문 뜨악 04.16 624 0 0
46995 서예지 지우기 시작…광고계 손절에 위약금만 … 쿠르릉 04.16 683 0 0
46994 '차량 진입 두고 아파트 갈등' 택배기사,… 스콧트 04.16 420 0 0
46993 ‘벼락거지’, 가난혐오와 불안심리 자극 M4A1 04.16 677 0 0
46992 2,30대가 한 명도 없는 미래혁신위 젊은베르테르 04.16 566 0 0
46991 “대북 전단 금지한 文 정부, 한국 민주주의… ABCDE 04.16 362 0 0
46990 차이나통통]'음식 낭비라며' 먹방 막았더니 … marketer 04.16 433 0 0
46989 오염수 마셔도 된다더니…日 "마셔서 안전 증… 뉴스룸 04.16 440 0 0
46988 경찰의 매서운 눈 Petrichor 04.16 419 0 0
46987 매일 밤 마을을 집어삼킨 굉음의 정체 센치히로 04.16 454 0 0
46986 한국 직원 뺨 때린 주한벨기에 대사 와이프 울지않는새 04.16 452 0 0
46985 서예지 때문에 안목 들통난 의사들 1 기자 04.16 704 0 0
46984 측근 채용 실패하자 빡친 마사회장 몇가지질문 04.16 527 0 0
46983 코로나 억제설 불가리스 헬피엔딩 갈증엔염산 04.16 411 0 0
46982 한전 누나가 생각하는 혜택 뽀샤시 04.16 737 0 0
46981 사이코패스 진단 기준 손님일뿐 04.16 582 0 0

 

 

컨텐츠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