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빠



본문

"집값 계속 오를 것…실수요자, 여력 된다면 지금이라도 사야" [강영연의 인터뷰집]

  • 작성자: 스미노프
  • 비추천 0
  • 추천 0
  • 조회 791
  • 2021.05.03

"나에게 집은 무엇일까" '인터뷰 집'은 이런 의문에서 시작했습니다.

투자 가치를 가지는 상품, 내가 살아가는 공간. 그 사이 어디쯤에서 헤매고 있을 집에 대한 솔직한 이야기를 해보고 싶습니다. 오를만한 아파트를 사는 것이 나쁜 건 아닙니다. 그것으로 돈을 버는 것도 죄악은 아니겠죠. 하지만 누구나 추구해야하는 절대선도 아닐 겁니다. 

기사를 통해 어떤 정답을 제시하려는 게 아닙니다. 누가 옳다 그르다 판단할 생각도 없습니다. 다양한 사람들의 인터뷰를 통해 각자가 원하는 공간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그것을 나누는 것이 목적입니다.

이 글을 읽는 사람들이 내가 원하는 집에 대해서 생각해볼 수 있는 계기가 됐으면 합니다. 인터뷰는 나이, 직업, 학력, 지역 등에서 최대한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 이야기를 들으려합니다. 자신의 의견을 말씀하시고 싶은 분, 내 주변에 사람을 추천해주시고 싶으시다면 이메일로 연락주세요. 직접 찾아가 만나겠습니다. 



홍춘욱 EAR리서치 대표는 부동산을 투자자산으로 생각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했다. 부동산의 수익률이 역사적으로 주식보다 높았고, 집을 사서 느끼는 안정감과 임대료 절감 효과가 크다고 했다. 

당분간 서울 집값 오름세가 지속될 것이라며 실수요자들 중 여력이 된다면 지금이라도 집을 사는 것이 낫다고 조언했다. 그는 "주택공급부족, 저금리, 전세가격 상승까지 겹쳐 집 값 잡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며 패닉바잉(공황매수)을 부른 임대차 3법에 대한 개정이 필요하다고 했다.



실수요자, 지금이라도 집 사야


홍 대표는 영끌(영혼까지 끌어 모음)로 집을 사는 것에는 반대한다고 했다. 이자 부담 때문이다. 그는 "처음 집을 살 때는 버틸 수 있다고 생각하겠지만 한번만 계획이 꼬여도 악순환으로 가는 경우가 많다"며 "사소한 조정도 못 버틸 수 있다"고 우려했다. 

다만 실수요자의 주택 매입에는 찬성한다고 했다. 주택 가격이 계속 오를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이다. 먼저 그는 주택 가격 상승의 이유로 신규 주택 공급 부족을 꼽았다. 홍 대표는 "최근 공공택지 개발이 시작됐지만 빨라야 2023년 하반기나 돼야 공급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 때까지는 가격 오를 것이라는게 그의 예측이다.

여기에 전세가격 상승도 고려해야한다. 그는 임대차 3법이라는 과도한 규제로 전세가격이 상승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지난해 말 청구된 갱신청구권이 만료되는 내년 하반기 전세가격이 급등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 때문에 지금 전세 세입자로 여력이 된다면 집을 구입하는 것을 고려해 볼 만하다고 했다. 예를 들어 지금 전세 4억~5억원 짜리 아파트에 살고 있는 세입자를 생각해보자. 주변시세 등을 고려했을 때 2년후 7억원 이상으로 전세를 올려줘야 한다는 계산이 나온다면 7억짜리 아파트를 지금 사는게 더 나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고 주택가격 상승에 대한 헷지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는 "저금리 등으로 전세계 부동산이 오르고 있고, 한국의 주택 공급부족은 만성적"이라며 "신도시밖에 답이 없는 상황인데 그것도 빨라야 2023~24년에나 가능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주택공급부족, 저금리, 전세가격 상승까지 고려하면 집값 잡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임대차 3법은 가장 실패한 정책"


한국이 다른 나라보다 더 많이, 빠르게 집값이 오른 것은 정책실패 때문이라고 단언했다. "주택시장을 수요와 공급이 아니라 투기꾼 포지션으로 몰아간 것"이 문제였다는 진단이다. 홍 대표는 "(투기꾼 때문에 집이 올랐다면) 양도세 등을 강화했을 때 시장 가격이 안정화돼야하는데 안 됐다"며 "2017년 8·2대책에서 재건축을 완화하는 대신 세금을 올려서 차익 환수하는 식으로 공급 중심 대책을 짰다면 지난해부터 입주가 가능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그는 임대차 3법이 패닉바잉을 부른 결정적 동기라고 봤다. 홍 대표는 "임대차 3법이 가장 실패한 부동산 정책"이라며 "점진적으로 오르던 시장이 위험해진 것이 이 법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집값에 이어 전세가격까지 오르면서 실수요자들이 공포심에 집을 매입했다는 분석이다. 

그는 부동산을 투자자산으로 생각하는 것은 당연하고 그것을 막으려고 하는 것이 이상한 일이라고 했다. 부동산의 가격 상승에 따른 수익 뿐 아니라 임대료 절감 효과를 포함한 수익률을 고려해야한다는 것이다. 즉 월세, 전세 등 집이 없을 때 나가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홍 대표는 "2000년부터 21년간 연평균 서울 집값은 5.6% 올랐는데, 체감 수익률은 7~8%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부동산이 안정적인 자산이라는 점도 강조했다. 홍 대표는 "전 세계 16개국에서 1875년부터 2015년까지 주식과 부동산의 실질수익률을 비교한 결과 주식은 6.9%, 부동산은 7.0%의 수익을 올렸다"며 "임대료가 안전마진 역할을 해 세계 1차 대전, 2차 대전, 오일쇼크, 대공황 때도 손해를 보지 않았다"고 말했다.


http://www.hankyung.com/realestate/article/202104219003i

추천 0 비추천 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close]

댓글목록

이슈빠



이슈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쓰레빠 슬리퍼
41747 폐지 줍는 장애 노인, 리어카로 외제차 긁어… 1 러키 05.03 542 0 0
41746 하루 1조 '공매도 폭탄'…개미가 많이 산 … 쿠르릉 05.03 785 0 0
41745 태국식당 "차 속에서 드세요" 무일푼 05.03 837 0 0
41744 아시아로 출항하는 항모 퀸 엘리자베스 현기증납니다 05.03 730 0 0
41743 여성에게 박탈된 기회 안중근 05.03 772 0 0
41742 경찰 "CCTV 속 남성들, 손정민씨 실종과… 087938515 05.03 437 0 0
41741 면허 딴지 2달 만에 생긴 일들 hangover 05.03 785 0 0
41740 한강 실종 대학생 父 "같이 있던 친구 직접… 옵트 05.03 557 0 0
41739 경찰이 놓친 CCTV 영상..절박했던 실종 … 조읏같네 05.03 617 0 0
41738 의협 최대집 거부했던 백신, 신임회장은 자원… 영웅본색 05.03 702 0 0
41737 정은경 질병관리청장 브리핑 전문 연동 05.03 611 0 0
41736 운전자 96% 횡단보도 ‘일단멈춤’ 안지킨다 라이브 05.03 583 0 0
41735 폭력 거부한다며 대체복무 신청… 알고 보니 … GTX1070 05.03 583 0 0
41734 거짓 초과근무 동참 거부하자 왕따”…노원구청… 라이브 05.03 842 0 0
41733 "집값 계속 오를 것…실수요자, 여력 된다면… 스미노프 05.03 794 0 0
41732 멈출 수 없는 '차이나타운' 건설‥ 강원도,… 손님일뿐 05.03 874 0 0
41731 ‘극단 선택’ 청주 실종 여성…“아들 야단치… 이슈탐험가 05.03 861 0 0
41730 "부모 가슴 못 그만 박고 들어와" 누나 살… Z4가이 05.03 1051 0 0
41729 성범죄자가 양심적 병역거부?…대체복무 첫 기… 펜로스 05.03 478 0 0
41728 자충수 된 경제보복..日반도체기업 "한국서 … 베트남전쟁 05.03 878 0 0
41727 공개재판인데.. '박사방' 피해자 실명 툭툭… 세포융합 05.03 649 0 0
41726 경찰, "아스트라제네카 접종 반신마비 경찰관… 애니콜 05.03 843 0 0
41725 페미적인 것은 일단 다 부시고 보는 상황같은… 뜨악 05.03 943 0 0
41724 ‘K-게임’에 집중투자하는 中 텐센트…韓업계… newskorea 05.03 637 0 0
41723 자택서 마약성 의약품 투약한 래퍼 경찰조사 alsdudrl 05.03 1137 0 0

 

 

컨텐츠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