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빠



본문

은행 대출금리 이미 1년새 1%p↑…기준금리까지 오르면 '어쩌나'

  • 작성자: 리미티드
  • 비추천 0
  • 추천 0
  • 조회 696
  • 2021.07.18
코로나19 4차 대유행 상황에 따라 유동적이지만, 한국은행이 예상대로 이르면 8월이나 늦어도 10월께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하면 지금까지 약 1년 반 동안 이어진 이례적 초저금리 시대도 공식적으로 막을 내리게 된다.

이미 주요 시중은행의 대출금리가 지난 1년 새 거의 1%포인트(p) 가까이 뛴 가운데, 조만간 기준금리까지 인상될 경우 상승 속도는 더욱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코로나19에 따른 생활고뿐 아니라 부동산·주식·가상화폐 투자를 위한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음)·'빚투'(대출로 투자) 등 때문에 1천765조원(3월말 기준)에 이르는 빚을 진 가계의 이자 부담도 눈덩이처럼 불어난다는 뜻이다.


1년 새 은행 신용대출 최저금리 1.99→2.85%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 4대 시중은행의 16일 기준 신용대출 금리(1등급·1년)는 연 2.85∼3.90% 수준이다.

이는 '1%대' 신용대출 금리가 등장했던 지난해 7월 말의 1.99∼3.51%와 비교해 하단이 0.86%포인트나 높아진 것이다.

작년 7월은 같은 해 3∼5월 한국은행이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경기 방어 차원에서 두 달 만에 기준금리를 0.75%포인트(1.25→0.50%)나 크게 낮춘 뒤 은행 대출 금리에도 본격적으로 반영되던 때였다.

하지만 이후 1년 동안 경기 회복에 따른 시장 금리 상승, 가계대출 급증을 막기 위한 은행권의 우대금리 축소(금리 인상) 등의 영향으로 대출 금리는 꾸준히 높아졌다. 신용대출 금리뿐 아니라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마찬가지다.

4대 은행의 16일 현재 코픽스 연동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는 연 2.49∼4.03%다. 역시 작년 7월 말(2.25∼3.96%)보다 최저 금리가 0.24%포인트 올랐다.

특히 주택담보대출 금리 가운데 코픽스가 아닌 은행채 5년물 금리를 따르는 이른바 '혼합형(고정금리)'의 경우 금리 상승 폭이 더 컸다.

혼합형 금리는 지난해 7월 말 2.17∼4.03%에서 현재 2.89∼4.48%로 상단과 하단이 각 0.72%포인트, 0.45%포인트 뛰었다.

조만간 기준금리가 인상되면, 이런 지표금리와 그 지표금리를 따르는 은행 대출금리의 상승 속도는 모두 더 빨라질 수밖에 없다.

가계대출 급증을 억제하기 위한 정책적 대출 규제도 은행 대출 금리를 끌어올리고 있다.

은행 대출 금리는 기준(지표)금리에 가산금리를 더해 정해지는데, 거래실적 등을 반영한 우대금리를 많이 받을수록 가산금리는 낮아진다.

그러나 작년 10월 이후 금융당국이 '대출 조이기'에 나서면서 은행들은 그동안 우대금리 폭을 0.5%포인트 이상 크게 깎았다.

한은과 금융당국이 가계대출을 가장 심각한 '금융불균형' 문제로 주시하고 있는 만큼, 앞으로도 금리 인상을 통한 은행권의 대출 규제 시도가 이어질 전망이다.

당장 지난 16일부터 신한은행은 코픽스를 지표금리로 삼는 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의 우대금리를 0.2%포인트 더 내렸다. 결과적으로 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 대출금리가 0.2%포인트 오른 셈이다.

NH농협은행도 지난달 중순부터 전세대출과 신용대출, 주택 외 부동산담보대출의 우대금리를 0.1∼0.2%포인트 또 깎았다.

http://n.news.naver.com/article/001/0012531636

추천 0 비추천 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close]

댓글목록

이슈빠



이슈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쓰레빠 슬리퍼
39221 유승민 위원 도쿄 도착후 코로나 확진 note 07.18 761 0 0
39220 韓 선수 위한 도시락 공수에.. "후쿠시마 … 1 김웅롱 07.18 853 0 0
39219 은행 대출금리 이미 1년새 1%p↑…기준금리… 리미티드 07.18 699 0 0
39218 재포장금지 전면 시행 3주…환경부·업계, 제… plzzz 07.18 750 0 0
39217 서울 관악구 사우나서 101명 확진..방문자… 얼굴이치명타 07.18 751 0 0
39216 김부선씨의 새로운 증언 영웅본색 07.18 1212 0 0
39215 기사 삭제했다던 중앙일보의 구라 걸림.jpg 7 김웅롱 07.18 864 11 0
39214 과천 경찰, 먹던 음식 ‘공용 간장통’에 넣… 무근본 07.18 668 0 0
39213 "돈 훔쳐갔지?" 아들 5시간 폭행한 엄마 … dimension 07.18 749 0 0
39212 "이럴줄 알았다"..전광훈의 사랑제일교회, … Crocodile 07.18 1007 0 0
39211 "모조리 망가졌다" 서유럽, 천문학적 복구작… 몸짓 07.18 1271 0 0
39210 월세 37만원 '청년 행복주택' 인기 많네…… 아냐모르냐 07.18 934 0 0
39209 비수도권 비중 4차유행 첫 30%대..'5인… 애스턴마틴 07.18 392 0 0
39208 김부겸 "7월 19일부터 비수도권도 5인 … 힘들고짜증나 07.18 637 0 0
39207 일본 "욱일기 경기장 반입 허용"..대한체육… 뭣이중헌디 07.18 807 0 0
39206 4단계 상황에서 마스크도 안쓰고 아이들 데려… 기레기 07.18 757 2 0
39205 '거리두기 4단계' 첫 주말…사랑제일교회 대… 피아제트Z 07.18 512 0 0
39204 대한항공 조원태 연봉 64% 인상, 직원은 김무식 07.18 885 1 0
39203 선수촌엔 확진자, 우간다 선수는 도망..도쿄… ekgia 07.18 976 0 0
39202 선수촌서 첫 코로나19 선수 확진…2명 감… 세포융합 07.18 468 0 0
39201 김총리 "내일부터 비수도권 사적모임 4인까지… 라이브 07.18 505 0 0
39200 영국 일일 확진 5만, 보건장관마저 감염…그… 몸짓 07.18 721 0 0
39199 민노총 "집회 참석자 확진 판정 발표는 마녀… 3 kakaotalk 07.18 1028 3 0
39198 최악 '집단확진' 치닫는 청해부대…누적확진자… 네이버 07.18 1086 0 0
39197 광운대 아이스하키부 18명 집단감염.."확진… 손님일뿐 07.18 621 0 0

 

 

컨텐츠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