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빠



본문

“청년들 월세 소작농 만드는 청년임대주택 보면… 화가 나”

  • 작성자: 난기류
  • 비추천 0
  • 추천 0
  • 조회 466
  • 2021.07.26
―월세에 특히 분노하는 이유가 뭔가.

“오래 살아 봐서 결과가 어떤지 아니까. 미국에서 유학을 포함해 7년 정도 살았는데 미국은 집값의 10% 정도만 있으면 대출받아 집을 살 수 있다. 당시 좋은 집이 우리 돈으로 5억 원 정도라 5000만 원만 있었으면 살 수 있었는데 없어서 매달 100만 원 좀 넘는 돈을 월세로 냈다. 7년이니 1억 원 가까이 되는데 만약 그때 샀으면 1억 원이 내 자산으로 남았을 거다. 월세로 산다는 건 그런 거다. 내 부동산 자산이 만들어지는 게 아니라 반대로 내 노동의 대가가 사라지고, 내가 낸 돈은 부동산을 소유한 사람의 자산으로 축적된다. 그래서 내가 월세는 21세기형 소작농을 만드는 제도라고 하는 거다. 월급의 일정액을 월세로 내는 게 소작농이 매년 일정분을 소출로 내는 것과 뭐가 다른가.” (귀국 후에도 월세 살았나.) “집에서 도와줄 형편은 되지 않았으니까. 2005년 귀국했는데 너무 비싸 살 수가 없었다.”

―당시에는 어느 정도였기에….

“내가 살고 싶은 아파트가 7억 원 정도 했다. 근데 그때 사람들이 다 집값이 떨어질 테니 사지 말라고 했다.” (근거가 뭔가?) “인구가 줄기 때문에 집값도 내려간다는 거다. 실제로 이명박 정부 때는 조금 내려가는 추세를 보였다. 그래서 개인적으로 4억 원까지는 떨어지지 않을까 생각했고, 내 연봉이 그때 5000만 원 정도였으니까 어떻게든 2억 원 정도를 모으면 대출받아 살 수 있을 거라 생각했다. 그런데 그렇게까지 내려가지는 않았고 결국 못 샀다.” (그 집은 지금은 얼마나 하나.) “5배 뛰었다.”

※그는 다른 곳에 집을 샀는데 최근 몇 년 사이 갑자기 유명해져 수입이 늘어난 덕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자신 같은 특별한 행운을 가진 사람이 몇이나 되겠느냐고 반문했다.

―청년임대주택이 젊은층의 주거 부담을 줄여 주는 효과는 있지 않나.

“임대주택에서 월세로 살던 청년이 중장년이 되면 돈을 모은다 해도 그 사이에 집값이 너무 올라 집 사는 걸 포기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면 또 다른 형태의 임대주택을 정치인들에게 요구하게 되고 경제적 자립은 점점 더 어려워진다. 정부가 임대주택을 공급하면서 청년주택문제를 해결했다고 생각하면 안 된다. 청년들에게 임대주택을 주는 건 2030세대를 영원히 가난하게 만드는 정책이다. 그리고 이미 부작용도 생기고 있고…. 작더라도 청년들이 자기 집을 가질 수 있는 정책을 펴야 한다. 그런데, 부동산 얘기는 이제 안 하면 안 되나?” (이제 시작인데 안 한다고 하면 난 어떻게 하나.) “하도 뭐라고 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잘 알지 않나. 내용은 안 보고 무조건 저놈이 우리 편인지 아닌지로만 판단해 공격하는 사람들. 뭐가 무서워서가 아니라 더러워서 피한다고… 그런 사람들을 상대하기가 점점 더 싫어지다 보니 이제는 말하기가 싫어진다. 할 만큼 말하기도 했고.”

―그러면 안 되고… 정부가 부동산 정책을 어떻게 해야 한다는 건가.

“공급이 부족해 생긴 과도한 압력(가격 상승)을 빼줘야 한다. 지금 집값이 엄청나게 뛴 이유가 공급이 부족하니 좋은 집 가격이 오르고, 순차적으로 그 압력이 아래로 전가돼 별로 안 좋은 집, 작은 집까지 10억 원이 넘게 된 거다. 그 압력을 빼줘야 집값도 내릴 수 있고 청년층이 나중에라도 자기 집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나는 정부가 1, 2인 가구를 위한 15, 20평 정도의 중소형 아파트를 대량으로 공급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려면 가구 수를 늘리는 방향으로 재건축·재개발을 활성화시켜야 한다. 지금 나이 드신 분들 중에는 40평대 집에 혼자 또는 부부만 사는 분이 많다. 이 분들이 살고 싶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1, 2인 가구용 주택을 제대로 잘 만들어 공급하면 이분들이 나온 40평대 집에는 그 아래에서 여력이 있는 사람들이 들어갈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순차적으로 숨통이 트여 고인 압력이 빠지면 지금처럼 비정상적으로 집값이 오르지 않을 테고, 결과적으로 청년층도 그 혜택을 보게 될 거다.”

―그러려면 시간이 꽤 걸리지 않나.

“그래서 정치인들이 나쁜 사람들이라는 거다. 장기적으로 정책을 펴지 않고 늘 당장 다음번 선거만 생각하지 않나.”

―만나자는 정치인들이 많던데….

“4·7 재·보궐선거 때도 그렇고 지금도 그렇고 만나기는 하는데… 부동산 정책이나 이런 걸 나한테 그렇게 관심 있게 물어본 사람은 없었다.” (부동산 문제 때문에 만나자고 하는 게 아니었나?) “부동산 얘기를 하기는 하는데… 그분들의 관심은 선거지 장기적인 정책에 있지는 않은 것 같았다. 얘기를 하다 보면 ‘미래에 대한 생각은 안 하는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으니까. 여야를 떠나서 모든 정치인이 그런 것 같다. 그래서 내가 정치인들을 믿지 않는다.” (부담스럽지는 않았나. 재·보궐선거도 있었고 대선도 있는데….) “그래서 만나서 얘기는 할 수 있는데 정치적으로 이용하지는 말아 달라고 부탁한다. 함께 사진을 안 찍는 것도 그런 이유다. 그러고 나서 건축에 대한 내 소신을 얘기한다.”

―요즘은 집을 안 사고 자유롭게 사는 방식을 선호하는 사람도 꽤 있다.

“그건 개인의 자유니까. 단지 청년들에게 젊을 때 집을 사지 않는 게 40, 50대에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지 알려줘야 할 필요는 있다고 생각한다. 집이 없다는 건 자신이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공간이 없다는 것이고, 또 자본주의 사회에서 자신이 가질 수 있는 자본을 포기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그만큼 경제적 자립이 어려워지고 정부와 정치가에게 더 의존하는 사람으로 남게 된다. 많은 국민이 부동산을 갖지 못하면 결국 그 부동산 자산은 정부나 대자본가들이 갖게 된다. 점점 더 많은 국민이 국가 소유의 임대주택에 살게 된다는 것은 점점 더 많은 권력을 정치인들에게 넘겨준다는 것과 같은 말이다.”

―한편에서는 공유경제도 늘고 있지 않나.

“나도 처음에는 공유경제라는 말을 들었을 때 ‘어? 이거 되게 괜찮네?’ 하고 생각했다. 모든 걸 가질 수는 없으니까 빌려 쓰는 것도 좋다고 봤다. 그런데 순진했을 때 생각이었다. 자본가들은 ‘앞으로는 소유할 필요 없어. 이게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이야’라고 공유경제가 마치 굉장히 ‘쿨’한 시스템인 것처럼 말하면서 정작 자기들은 빌딩을 소유하지 않나. 가격이 오르는 혜택은 다 자기들이 가져가는 거지. 셰어하우스도 공동체를 향유하는 멋진 공간으로 포장하지만 결국 월세다. 평범한 직장인들에게는 치명적이다.”

http://naver.me/x1e5Xyd8

추천 0 비추천 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close]

댓글목록

이슈빠



이슈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쓰레빠 슬리퍼
38881 입항 거부 당한 청해부대 김웅롱 07.26 619 2 0
38880 그 개념 방송사 사건 블라인드 반응 인텔리전스 07.26 758 1 0
38879 대륙의 쓰레기통 현기증납니다 07.26 833 0 0
38878 탈북단체 지원하는 이수만 매국누리당 07.26 745 0 0
38877 독감백신 때 저주를 퍼부은 결과 이슈탐험가 07.26 831 1 0
38876 대법 “아동·청소년 음란물 제작·배포자에 소… 이론만 07.26 453 0 0
38875 레인 위 보트 안 치워서 사상 초유 재출발… 그것이알고싶다 07.26 787 0 0
38874 1호선서 20대 여성 묻지마 폭행했던 '그 … 오늘만유머 07.26 591 0 0
38873 박용진 "대통령에 당선되면 지방으로 KBS·… 민방위 07.26 581 0 0
38872 “청년들 월세 소작농 만드는 청년임대주택 보… 난기류 07.26 467 0 0
38871 순천농협 조곡지점장, 농협 임대 카페서 갑질… 도시정벌 07.26 870 0 0
38870 "메달 기념사진 노마스크 허용해달라" 불만에… 계란후라이 07.26 591 0 0
38869 “이건희 기증관 아직 안 끝나”… 비수도권 … 화창함 07.26 407 0 0
38868 ‘역세권청년주택’ 만족하는 2030...그만… 우량주 07.26 788 0 0
38867 트랜스젠더 선수에 대한 국제올림픽위원회의 혁… 마크주커버그 07.26 469 1 0
38866 해운대해수욕장서 실종된 중학생...숨진 채… 불반도 07.26 561 0 0
38865 미국·호주에 '똥물 소리' 듣고..日 "한국… 소련 07.26 677 1 0
38864 제주 중학생 살해 피의자 '48세 백광석·… dimension 07.26 342 0 0
38863 '16세 탁구신동' 신유빈, 대한항공 첫 월… 한라산 07.26 832 0 0
38862 손 댈 때마다 올랐는데…민주당 윤호중 "신규… GTX1070 07.26 500 0 0
38861 김홍빈 수색 중단, 가족이 요청했다…"남은 … 검은안개 07.26 393 0 0
38860 가짜 신고가 계약으로 집값 띄우기 2,420… note 07.26 457 0 0
38859 "서울 전셋값 감당 안된다" 외곽 밀려나는 … 주주총회 07.26 485 0 0
38858 김홍빈 대장 추락 당시 상황에 대해 설명하는… 7406231x 07.26 701 0 0
38857 경실련 "SH, 매입임대 2만가구에 4조원 … Blessed 07.26 619 0 0

 

 

컨텐츠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