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빠



본문

"PCR 검사 그만? 확진자 줄지 몰라도 사망자 빠르게 늘 것"

  • 작성자: 색누리당
  • 비추천 0
  • 추천 0
  • 조회 433
  • 2021.11.27

http://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2&oid=421&aid=0005748731


(서울=뉴스1) 강승지 기자 = 현 방역상황을 두고 "감염자가 많아야 한다. 역학조사와 PCR 검사를 중지하자"는 일부 전문가의 주장에 대해 정부가 "동의하기 어렵다. 코로나19의 치명률이 아직 높아 확진자를 빨리 찾지 못한다면 사망자가 빠르게 늘 수 있다"고 26일 밝혔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일상회복을 하면서 통상적인 대응체계를 만들자는 취지라면 공감하겠지만 방법에 있어 자연감염 경험자가 늘고 이를 위해 역학조사와 PCR 검사를 중단하자는 데 동의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덕희 경북대학교 예방의학과 교수는 지난 16일 카카오 브런치 '코비드19 바이러스를 두려워하지 마세요'라는 제목의 글에서 "한국과 비슷한 백신 접종률을 가진 일본이 우리와 가장 다른 점은 처음부터 국가가 나서서 방역이라는 이름으로 무증상 혹은 경한 증상으로 지나가는 자연 감염을 막지 않았다는 데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 교수는 "단순히 접종률만 높인다고 가능한 일이 아니다. 이 난국에서 벗어나려면 돌파 감염이든 뭐든 자연 감염을 경험하는 사람이 많아져야 한다. 동선 추적하는 역학조사와 무증상자와 경한 증상자를 대상으로 하는 PCR 검사를 중지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에 손 반장은 "정부는 무증상·경증이어도 적극적인 진단검사를 권하고, 비용도 무상 처리하고 있다. 어제 41만건, 그제 52만건의 검사가 이뤄졌다. 확진자를 빨리 찾고 감염들을 적정 규모 이내로 통제하는 게 여전히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 이유에 대해 손 반장은 "궁극적으로 치명률과 관계돼 있다"며 "예방접종으로 인해 현재 치명률은 계속 낮아지고 있지만 계절 독감 같은 통상적인 토착화돼 있는 감염병에 비해서는 상당히 높다. 확진자가 늘수록 0.3~0.4% 치명률에 따른 사망자 규모는 증가할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손 반장은 "진단검사와 역학조사를 중단한다는 주장은 보다 다수의 확진자가 발생하도록 두자는 의미다. 검사를 통한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줄고, 사망자도 아마 줄 지 모르겠지만 결국 실제 사망자는 빠르게 늘 것"이라며 "적정 수준 이하로 유행를 통제해 나가면서 일상회복을 하는 게 보다 안전하고 국민을 위한 방법이라고 판단한다"고 강조했다.

추천 0 비추천 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close]

댓글목록

이슈빠



이슈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쓰레빠 슬리퍼
31770 홍콩서도 감염자 발생···백신 무력화 우려에… newskorea 11.26 524 0 0
31769 얼굴 좀 보고 싶다 꼬르릉 11.26 775 0 0
31768 총탄 후유증에 41년 고통… 전두환 사망한 … 마크주커버그 11.26 738 0 0
31767 경기도의회, 교사 행정사무 행정직 이관 4억… kakaotalk 11.26 688 0 0
31766 새 변이 '미친 전염력'…발생지 남아공서 확… 베트남전쟁 11.26 710 0 0
31765 왜 이렇게 살쪘어? 회초리로 직원 엉덩이 때… never 11.26 1324 0 0
31764 홍준표 "살인자 집안 출신..대통령 해선 안… 정찰기 11.26 823 0 0
31763 세계 주목받았던 ‘아프간 초록 눈 소녀’..… 화창함 11.26 644 0 0
31762 무신사, 3000억원에 29cm·스타일쉐어 … 애스턴마틴 11.27 565 0 0
31761 삼성 '갤럭시노트' 완전 철수 판피린 11.27 525 0 0
31760 언론에 대한 팩폭 댓글 레저보이 11.27 479 0 0
31759 임대차법이 놓친 ‘가정 어린이집’ 줄폐원 로우가 11.27 661 0 0
31758 하나하나 박살나는 서울시 복지정책 라이브 11.27 420 0 0
31757 벨기에서도 '누 변이 확진'… 유럽 첫 감염… 배고픈심장 11.27 252 0 0
31756 코로나19 새 변이 바이러스 공포에 비트코인… 잊을못 11.27 286 0 0
31755 “‘뉴 변이’ 같은 전파력 이제껏 본적 없어… 나도좀살자좀 11.27 267 0 0
31754 물가 52%, 쇠고기값 43% 폭등… 중남미… 정사쓰레빠 11.27 279 0 0
31753 이스라엘, 누 변이 코로나 바이러스에 비상사… 후시딘 11.27 284 0 0
31752 유럽도 뚫렸다…바이오엔테크 “새 변이 연구,… 친일척결필수 11.27 282 0 0
31751 영국 “새 변이는 역대 최악…입국 규제는 안… 배고픈심장 11.27 281 0 0
31750 “코로나 전쟁서 가장 큰 난관” 종합대책 2… never 11.27 316 0 0
31749 "PCR 검사 그만? 확진자 줄지 몰라도 사… 색누리당 11.27 434 0 0
31748 의료붕괴 ‘폭풍전야’ ‘재택 치료’ 기본 전… 테드창 11.27 298 0 0
31747 WHO "코로나19 새 변이 '오미크론' 명… ABCDE 11.27 333 0 0
31746 WHO "코로나19 새 변이 '오미크론' 명… 한라산 11.27 300 0 0

 

 

컨텐츠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