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빠



본문

다 있어서 온 서울···왜 ‘내 것’은 없을까[기울어진 균형발전](1)

  • 작성자: 갑갑갑
  • 비추천 0
  • 추천 0
  • 조회 1008
  • 2022.04.30
기회 찾아서 왔지만 수도권도 ‘팍팍’…지방 소멸 땐 공멸

울산에서 나고 자란 김모씨(30)는 학창 시절 줄곧 서울살이를 꿈꿨다고 한다. 처음 입학한 지방 사립대에 이틀 만에 자퇴서를 내고 이듬해 들어간 인천의 한 대학도 한 달 만에 관둘 정도로 간절했다.

“서울에 있으면 경쟁에서 앞서갈 수 있을 것 같았어요. 1등은 못 되더라도 그 언저리, 그러니까 2-1등, 2-2등은 될 것 같은 느낌이랄까….”

3수 끝에 ‘서울 입성’에 성공한 그는 지금 서울의 한 광고대행사에서 일한다. 김씨는 “울산은 애초에 선택지가 될 수 없었다”고 말했다.

“기회 자체가 서울에 많잖아요. 일자리 종류도 훨씬 다양하고요. 고등학생 때 영어 말하기 대회에 참석하려고 처음 서울 땅을 밟았던 날이 기억나요. 바쁘게 돌아가는 도시를 보면서 ‘여기 살고 싶다’고 생각했어요.”

전북 정읍 출신인 최모씨(26)는 전주에 있는 국립대를 졸업했다. 최씨는 대학생 때까지만 해도 고향에 남아 있길 원했으나 일자리 때문에 서울로 이주할 수밖에 없었다.

“가족들과 함께 있고 싶어서 원래는 수도권에 살 마음이 전혀 없었어요. 대학을 졸업하고 진로를 ‘이커머스’ 회사로 정했는데, 관련 기업은 다 서울에 몰려 있더라고요. 지방의 공기업보다는 좀 더 창의적이고 젊은 느낌의 직장에서 일하고 싶어 서울행을 결심했고요.”

수도권은 점점 더 빠른 속도로 돈과 사람을 빨아들이고 있다.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보면, 2020년 수도권 인구는 2596만명으로 대한민국 총인구의 50.1%를 차지한다. 나라 전체 면적의 10분의 1에 불과한 수도권에 절반이 넘는 사람들이 몰려 살고 있다. 지역내총생산(GRDP)의 수도권 비중도 2020년 기준 52.1%에 달한다.

모든 물적·인적 자원이 한쪽으로 쏠린 상황에서 수도권도 살기 힘든 공간이 되고 있다. 수도권에 사는 이들은 과도한 경쟁과 천정부지로 치솟는 집값, 교통난 등 각종 도시 문제에 시달린다. 특히 집값이 치솟으면서 개인의 선택이나 가치관과 별개로 결혼도 주저하게 된다.

미래에 대한 불안과 지나친 경쟁으로 생산가능인구가 줄어드는 인구절벽도 가속화 되는 중이다. 전문가들은 ‘지방 소멸은 공멸’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수도권 팽창이 불러온 ‘공멸’의 위기

서울의 한 브랜딩 회사에서 디자이너로 일하는 박모씨(32)는 서울에 살면서 가장 힘든 일 중 하나로 ‘혼잡한 도시 환경’을 꼽았다. 서울 전역에는 지하철역과 버스정류장이 거미줄처럼 촘촘히 들어서 있다. 원하면 어디로든 이동하는 게 어렵지 않은 편리한 환경이지만, 출퇴근 시간대에는 만성적인 교통혼잡을 감내해야 한다. “하루는 사람이 빽빽하게 들어차 있는 지하철역을 보면서 ‘숨 막힌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포화 상태가 된 수도권은 주거비가 비싸고 생활비도 많이 든다. 박씨는 대학생 때 보증금 1000만원에 월세 55만원 정도 하는 7평 원룸을 구했다. 넉넉하지 않은 공간에서 동생과 함께 살았다. 직장인이 된 지금은 주거비로 월 100만원을 지출한다. 월세와 관리비, 각종 생활비 등을 합하면 ‘숨만 쉬어도 나가는 돈’이 150만원을 넘는다. 그는 “정신을 바짝 차리지 않는 이상 저금은 힘들다”고 했다.

이상호 한국고용정보원 부연구위원은 수도권에서 나고 자란 이들과 비수도권 출신 사이의 ‘불공정’도 지적했다.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이주한 사람들은 원래 수도권에 살던 사람과 출발선이 같을 수가 없습니다. 비용적인 측면에서 공정한 경쟁이 가능할 리가 없죠. 노동시장 하위계층에 속할 가능성도 자연스레 커집니다.”

청년들은 집값이 비싸고 생활비가 높은 대도시권에서 자리를 잡느라 결혼을 주저한다. 김씨는 “가정을 꾸리려면 ‘내 집 마련’을 목표로 큰돈을 모아야 하는데, 그러면 지금의 삶을 너무 희생하게 되지 않을까 고민된다”고 말했다. “막연하게 결혼하고 싶은 마음은 있지만 ‘지금은 아니다’라는 생각이 들어요. 서울에서 아이를 낳게 되면 제가 받았던 것만큼 좋은 교육을 제공하고 싶은데, 그럴 수 있을지 모르겠거든요.”

http://naver.me/IGmy4CcN

추천 0 비추천 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close]

댓글목록

이슈빠



이슈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쓰레빠 슬리퍼
30910 "마스크 착용 의무 사라져도 계속 쓰고 싶어… 몽구뉴스 04.30 788 0 0
30909 다 있어서 온 서울···왜 ‘내 것’은 없을… 갑갑갑 04.30 1011 0 0
30908 김해공항 포화·1000억대 흑자에도 ‘근거 … 닥터 04.30 1176 0 0
30907 전용 84㎡ 5억씩 '뚝뚝'..인천 청라 아… 친일척결필수 04.30 1612 0 0
30906 전 세계 식용유 대란...우크라 침공에 인니… global 05.01 673 0 0
30905 숄츠, 우크라이나에 중화기를 보내는 것을 반… 인텔리전스 05.02 605 0 0
30904 진격 대신 파괴 선택한 러시아군 ...“푸틴… 피아니스터 05.01 645 0 0
30903 "우크라이나군, 러시아 탱크 1000대 이상… kimyoung 05.01 604 0 0
30902 '재선 의지' 바이든, 지지율 돌파구 안보여… 배고픈심장 05.01 560 0 0
30901 미국, 북한에 "조건 없는 대화" 촉구 이슈탐험가 05.01 630 0 0
30900 러시아 외무부: 안젤리나 졸리는 우크라이나 … 스콧트 05.02 1086 0 0
30899 가맹점 뒷통수 친 BBQ, 부자재 최대 71… 모닥불소년 05.02 980 0 0
30898 나토 전 사령관 “두달간 러시아 장군 12명… 피아니스터 05.02 592 0 0
30897 힘겨운 식용유 보릿고개… 유럽 1인 구매 제… 애스턴마틴 05.02 648 0 0
30896 러시아, 돈바스 맹공에도…목표지역 함락 실패 숄크로 05.02 640 0 0
30895 셋째 주는 4일 근무, 레고랜드도 통째로 빌… 나도좀살자좀 05.02 951 0 0
30894 김포 야산서 암매장된 장애인시신 발견… 용의… 네이놈 05.02 723 0 0
30893 일본 맥주에 위스키·청주도 인기...'노재팬… 1 우량주 05.02 828 0 0
30892 하와이 활동 독립유공자 후손 4명 확인…광복… 조읏같네 05.02 588 2 0
30891 “임금 삭감 없이 주 32시간” 美 캘리포니… Pioneer 05.02 839 0 0
30890 오늘부터 야외서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도… 갑갑갑 05.02 507 0 0
30889 러軍 또 굴욕.."총참모장, 우크라서 엉덩이… 현기증납니다 05.02 920 0 0
30888 러 재벌 "전쟁 미친 짓" 비판 사흘만에 빈… 몸짓 05.02 838 0 0
30887 (Zeit 번역) 그들은 전부 제정신이 아니… 친일척결필수 05.02 636 0 0
30886 성폭행 피하려 혀 절단 "인연인데 결혼해" … 1 책을봐라 05.02 1382 0 0

 

 

컨텐츠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