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빠



본문

일하는 인구 64→69세 검토…'60세 정년'도 연장되나

  • 작성자: 뭣이중헌디
  • 비추천 0
  • 추천 0
  • 조회 544
  • 2021.12.14
정부가 ‘생산연령인구’의 나이 기준을 15~64세에서 15~69세로 늘리는 방안에 대해 검토에 들어갔다.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인구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앞으로는 ‘경제활동을 하는 사람’을 64세가 아닌, 69세까지로 보겠다는 이야기다. 최근 통계청은 이를 적용해 처음으로 15~69세를 ‘생산연령인구’로 계산한 전망을 내놓았다.

14일 기획재정부·통계청 등 주요 정부부처에 따르면 한국의 생산연령인구(15~64세)는 향후 50년간 2000만 명 넘게 감소해 지금의 절반 이하로 줄어든다. 당장 향후 5년간 177만 명이 줄어드는데, 이런 감소 폭은 2년 전 통계청이 전망했던 것보다 26만 명 많다. 구체적으로 2020년 3738만 명(총인구의 72.1%)에서 ▶2030년 3381만 명(66.0%) ▶2040년 2852만 명(56.8%) ▶2050년 2419만 명(51.1%) ▶2060년 2066만 명(48.5%) ▶2070년 1737만 명(46.1%)까지 줄어든다. 이런 인구절벽은 ‘생산→고용→소비→투자 감소’ 식으로 경제에 영향을 주면서 한국의 경제 규모는 쪼그라들게 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2060년까지의 장기 전망에 따르면 한국의 잠재성장률은 정책 대응 없이 현 상황이 유지된다고 가정한 ‘기본 시나리오’에서 올해 2.35%를 기록한 뒤, 2033년 0%대(0.92%)에 진입하고, 2047년(-0.02%)부터 2060년(-0.08%)까지 마이너스를 기록한다. 같은 기간 세계 평균 잠재성장률 하락 폭(2021년 2.62%→2060년 1.47%)보다 낙폭이 크다. 한국과 함께 마이너스 잠재성장률을 기록하는 국가는 라트비아와 리투아니아로, 이미 인구가 정점을 찍고 내리막을 걷는 나라다.



핵심 원인은 일할 인구는 줄어드는 반면, 이들이 부양해야 할 인구는 크게 늘어나서다. 국민연금 수급자가 급증하면서 국민연금 고갈 시점은 앞당겨진다. 건강보험 등 다른 사회보험도 마찬가지다. 국가 재정은 악화하고, 근본적으로 현재와 같은 재정·복지 구조가 지속 가능한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된다. 한국 경제는 성장동력을 잃고 빚더미에 빠지게 되는 수순이다.

정부는 대안 중 하나로 ‘생산연령인구’ 기준을 올리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인구구조 자체가 변하진 않지만 정부가 각종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참고하는 고령화 관련 수치가 개선되면서 경제정책 운용의 폭을 넓힐 수 있다. 각종 취업·창업 지원 대상도 범위가 늘어나면서 경제활동을 유인하는 효과도 기대된다.

인구정책을 담당하는 정부 관계자는 “65~69세 노인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지난해 기준 55.1%로 2008년 39.9%, 2017년 42.2%에서 계속 올라가고 있다”며 “태어난 날짜를 기준으로 ‘노년’을 설정하는 게 불합리하다는 국제적 논의도 있는데, 이런 현실을 반영해 검토에 들어간 것”이라고 말했다.

통계청이 최근 공개한 ‘2020~2070년 장래인구추계’에서 생산연령인구를 15~69세로 상정한 노년부양비 추계 결과를 처음으로 제공한 것이 그 ‘신호탄’으로 풀이된다.

기존 기준대로 15~64세로 보면 노년부양비는 올해 23.1, 2070년이 되면 100.6에 이른다. 올해는 생산연령인구 5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해야 한다면 50년 뒤에는 생산연령인구 1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해야 한다는 뜻이다. 하지만 15~69세로 계산하면 노년부양비는 올해 14.2, 2070년에는 74.4로 감소한다.

통계청 관계자는 “노인의 건강이 개선되고 사회참여가 늘면서 생산연령인구를 확대한 통계지표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며 “고령층에 대한 새로운 지표 산출과 연구가 필요하다는 전문가 자문단의 요청을 받아 별도의 통계자료를 생산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지표상 ‘고령인구’의 연령 기준이 65세에서 70세 이상으로 올라가는 것을 뜻하기도 한다. 나아가 경로우대·복지제도·연금 등의 기준이 돼온 만 65세인 법정 노인 연령을 올리는 것과 맞물릴 수 있다. 또 현재 60세인 정년을 더 연장하는 논의도 거세질 전망이다. 독일·일본 등은 이미 현재 65세인 정년을 순차적으로 연장하기로 했다.

http://naver.me/506TjEwk

추천 0 비추천 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close]

댓글목록

이슈빠



이슈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쓰레빠 슬리퍼
29255 독일, 코로나 백신 미접종자 이동 제한 1 장프로 12.13 450 0 0
29254 코로나 백신 거부하던 스타의 눈물 "이제 백… 색누리당 12.13 937 0 0
29253 "오미크론 바이러스 분리 성공"..PCR검사… 책을봐라 12.13 654 0 0
29252 기자 통신자료 무더기 조회 공수처 "언론사찰… 덴마크 12.13 618 0 0
29251 "오미크론 감염 첫 사망자 발생"...FT… 잘모르겠는데요 12.13 409 0 0
29250 "北, 미국과 전쟁보다 중국 침투 더 두려워… ABCDE 12.14 589 0 0
29249 내일 출근길 눈 예보…서울시, 제설 비상근무… GTX1070 12.14 611 0 0
29248 어려운 과목 면제 받고 세무사자격증 따간 국… 인생은한방 12.14 463 0 0
29247 “엄마, 병원도 못 가보고” 코로나 사망 유… M4A1 12.14 618 0 0
29246 어려운 과목 면제 받고 세무사자격증 따간 국… HotTaco 12.14 1051 0 0
29245 英서 오미크론 첫 사망자 나와…우세종 예고 협객 12.14 353 0 0
29244 영국서 오미크론 첫 사망자 나왔다..존슨 "… 무근본 12.14 517 0 0
29243 무인모텔서 음주난동 중3 학생들..."촉법소… kimyoung 12.14 888 0 0
29242 윤석열 부인 김건희 '거짓 수상' 인정? 덴마크 12.14 855 0 0
29241 "아내에게 불륜 고백하라"…내연남 살해한 3… 안중근 12.14 923 0 0
29240 수능유튜버 보현, 성적조작 논란일자 ‘잠적’ 책을봐라 12.14 1157 0 0
29239 유부녀 동료에 고백, 거절하자 성폭행…20대… 스트라우스 12.14 975 0 0
29238 중환자·사망자 절반 이상이 '미접종자'.."… 깐쇼새우 12.14 529 0 0
29237 "날 안태워?"…버스기사 폭행하고 키 뽑아 … 갑갑갑 12.14 472 0 0
29236 “암살된 아이티 대통령, 정치인·기업인 마약… 닥터 12.14 535 0 0
29235 달리던 차 안에서 말다툼 하던 모녀.. 결국… 오늘만유머 12.14 841 0 0
29234 대낮 캠핑장서 14명이 '술판'..알고 보니… 무일푼 12.14 1042 0 0
29233 일하는 인구 64→69세 검토…'60세 정년… 뭣이중헌디 12.14 547 0 0
29232 “없는 살림 더 팍팍해진다”…가스 이어 전기… 검은안개 12.14 632 0 0
29231 '피해지원' 촉구 나선 자영업자들…"말로만 … 리미티드 12.14 494 0 0

 

 

컨텐츠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