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빠



본문

4대강사업 후 5년, 여름엔 녹차라테, 겨울엔 간장국물 ..

  • 작성자: 피아제트Z
  • 비추천 0
  • 추천 0
  • 조회 1820
  • 2016.12.07


보를 해체하거나 수문 열어 물이 흘러가도록 하면 강은 스스로 정화

녹조로 뒤덮인 낙동강에서 채수하고 있는 정수근 대구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왼쪽). 2014년 여름 녹조가 낀 낙동강에 죽은 붕어가 떠올라 있다. [사진 제공 · 정수근]

11월 중순 대구 달성군 화원유원지 바로 앞 낙동강에 나가봤다. 4대강사업 후 5년 동안 맡아온 특유의 비릿한 냄새가 역시 올라왔다. 강물색은 여름철 진한 녹색에서 짙은 간장색으로 바뀌어 있었다. 강물은 통상적으로 겨울이 오면 맑아진다. 그런데 간장색이라니. 비릿한 냄새와 간장색은 초대형 보로 막힌 작금의 낙동강을 설명해준다.

겨울철에도 위협받는 식수 안전

호수처럼 물을 가둔 곳에서 식물성 플랑크톤의 일종인 조류(藻類·algae)가 일시적으로 창궐하는 것을 우리는 ‘녹조현상’이라고 한다. 지난여름 낙동강을 ‘녹차라테’ 색깔로 만들었던 건 ‘마이크로시스틴’ 같은 맹독성 물질(주로 간질환을 일으키며 물고기, 야생동물, 가축, 심지어 브라질에서는 사람까지 사망케 한 사례가 있음)을 내뿜는 마이크로시스티스라는 남조류였다. 계절이 바뀌면서 낙동강의 녹차라테가 사라졌으니 조류도 사라진 것일까. 그건 아니다. 다만 조류 종류가 바뀌었을 뿐이다. 지금은 남조류가 사라진 자리에 규조류와 갈조류가 번성해 있다. 그러니 낙동강에는 겨울철에도 녹조현상이 지속되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심지어 남조류도 일부 남아 있다. 이날 화원유원지 앞 낙동강 가장자리 쪽에서도 선명한 녹색띠가 관찰됐다. 조류 알갱이가 몽글몽글 모여 만들어진 것이다. 그렇다면 강바닥 상태는 어떨까. 낙동강에 직접 들어가 삽으로 강바닥 흙을 퍼봤다. 이전 같으면 모래톱이던 곳이 검은 펄층으로 변해 있었다. 가까이 가니 더욱 역한 시궁창 냄새가 올라왔다.

그 속을 더 파봤다. 그때 본 것은 놀랍게도 실지렁이였다. 실지렁이는 환경부가 지정한 4급수 지표종이다. 실지렁이가 나오는 물에 대해 환경부는 ‘식수로 부적합하고 장시간 노출될 경우 피부병을 앓을 수 있다’고 설명한다. 이는 무엇을 뜻하는가. 낙동강 원수 상태가 1~4등급 중 최악 등급인 4급수로 전락했다는 증거 아닌가. 영남지역 1300만 명의 식수원인 낙동강이 말이다. 우리 모두는 고인 물은 썩는다는 사실을 잘 안다. 작금의 낙동강이 거대한 보로 막혀 썩어가고 있다. 아니, 죽어가고 있다.

이런 현실은 6월 ‘4대강조사평가위원회’(위원회)의 낙동강 조사 결과와도 맥을 같이한다. 당시 위원회가 펴낸 조사 결과 보고서에는 ‘수질환경기준상 BOD(생화학적 산소요구량)는 함안보, 합천보 3등급(보통), 달성보 5등급(나쁨)을 나타내며 COD(화학적 산소요구량)는 합천보 4등급(약간 나쁨), 함안보와 달성보 5등급(나쁨)을 나타냈으며(후략)’라는 대목이 있다.

낙동강 수질이 이렇게 나빠진 까닭은 수심이 깊어져 층이 지고, 층진 물이 순환되지 않으면서 강바닥에 무산소층이 만들어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낙동강에서 해마다 반복되는 물고기 떼죽음과 어민의 탄식이 이를 방증한다.

“남조류는 사멸하는 시기에 더 많은 독성물질을 내뿜는다. 이 때문에 여름보다 겨울로 넘어가는 시점에 수질이 더 나빠질 수 있다.”

김좌관 부산가톨릭대 환경공학과 교수의 분석이다. 이렇게 되면 원수의 안전성이 떨어져 정수 과정에서 약품 투입량이 많아질 수밖에 없다. 이 경우 또 다른 유해부산물이 만들어진다. 대표적인 것이 ‘총트리할로메탄’이다. 총트리할로메탄은 원수의 유기물과 정수 과정에 투여되는 염소가 만나 만들어지는 물질로, 대표적인 발암물질이다. 낙동강에 녹조가 창궐하면 정수된 물에 총트리할로메탄 농도 또한 올라가 먹는 물의 안전이 심각하게 위협받는다.

문제는 이것만이 아니다. 남조류의 독성은 원수의 안전성을 해칠뿐더러 생태계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녹조가 창궐한 물에 사는 물고기에게 독성이 전이되는 것이다. 일본에서는 잠자리와 농작물에서 남조류의 독성물질이 검출된 사례가 있다. 이는 심각한 상황이 아닐 수 없다. 이쯤 되면 국가가 나서야 한다. 비상사태를 선포한 뒤 단수 조치를 내리고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2014년 미국 오하이오 주 톨레도 시의 식수원인 이리 호에 심각한 녹조가 발생했을 때 당국이 한 조치가 바로 그것이다. 당시 톨레도 시장은 즉시 수돗물 공급을 중단하고 대책 마련에 들어갔다. 지금 우리와는 완전히 다른 모습이 아닐 수 없다.

건강한 물을 마시고 싶다

낙동강 바닥에서 나온 실지렁이. [사진 제공 · 정수근]

낙동강에 심각한 녹조가 나타났을 때도, 그리고 강바닥에서 실지렁이가 발견됐을 때도 당국이 한결같이 내뱉는 말은 “고도정수처리를 진행해 식수는 안전하다”는 것이었다. 심지어 “100% 안전하다”는 말도 한다. 그러나 과연 100% 안전이란 것이 있을 수 있을까. 과학자들은 그럴 수 없다고 입을 모은다. 특히 공학 분야에서는 100%라는 게 있을 수 없다고 강조한다.

“아무리 고도정수처리를 해도 마이크로시스틴은 걸러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90% 정도는 확실히 걸러지겠지만 그 이상은 누구도 장담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원수의 안전이 매우 중요한 겁니다.”

김영일 충남연구원 박사(환경공학)의 말이다. 세계적 녹조 전문가인 박호동 일본 신슈대 교수도 “녹조를 99%까지는 걸러낼 수 있다”고 말했다. 100% 걸러낼 수는 없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보수적으로 잡아 고도정수처리를 통해 녹조를 99%까지 거를 수 있다고 하자. 지난해 8월 박호동 교수가 채수한 낙동강 시료에서는 기준치의 400배가 넘는 독성물질이 나왔다. 그 1%에 해당하는 독성물질의 농도는 4ppb(ppm의 1000분의 1)가 넘는다. 먹는샘물 기준치(1ppb) 4배 이상의 독성물질이 우리가 마시는 수돗물에서 나올 수 있다는 얘기다. 만약 김영일 박사의 주장에 따라 계산한다면 이론상 40ppb 이상(기준치의 40배)의 독성물질이 나올 수도 있다. 이는 엄청난 재앙이다.

설령 당국의 바람대로 100% 안전이 장담된다 해도 작금의 낙동강물을 그대로 마실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논의가 필요하다. 낙동강을 비롯한 4대강 원수에서는 매년 심각한 녹조가 발생하고 있다. 강바닥은 썩은 펄로 덮여가고 수중산소는 고갈돼 물고기가 떼죽음한다. 이런 강물을 고도정수처리해 안전기준을 통과시키면 안전해지는 것일까. 과연 이런 물을 마셔도 좋은가. 고도정수처리를 하면 똥물도 마실 수 있을지 모른다. 그렇더라도 우리가 똥물을 마시지는 않지 않는가.

우리에게는 건강한 원수의 물을 마실 권리가 있다. 원수를 건강하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강을 살아 흐르게 만들어줘야 한다. 4대강 보를 해체하거나 수문을 열어 강 수위를 낮추고 강물이 흐르게 해야 한다. 그러면 모래톱이 다시 생겨나고, 수초 등이 자라 습지가 조성되면서 강이 스스로 정화하는 힘을 다시 만들어갈 것이다. 그것이 정답이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2&oid=037&aid=0000022769&cid=512473&iid=49336721


추천 0 비추천 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close]

댓글목록

로그인님의 댓글

  • 쓰레빠  로그인
  • SNS 보내기
  • 닭 다음은 쥐를 잡아야해
0

이슈빠



이슈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쓰레빠 슬리퍼
28803 넋나간 김기춘.jpg ABCDE 12.07 2608 0 0
28802 아이큐 170 짜리 악마의 거짓이 드러나는 … 숄크로 12.07 2440 1 0
28801 박영선의윈 트윗.jpg 닥터 12.07 2042 2 0
28800 박숙이 할머니의 명복을 빕니다 2 담배한보루 12.07 1076 4 0
28799 빡친 김빙삼옹 .jpg 밥값하자 12.07 1809 2 0
28798 전우용 역사학자의 일침 Homework 12.07 1376 1 0
28797 주진우 "이재용 이어 삼성 제일기획 사장 바… 뽀샤시 12.07 2504 0 0
28796 비박이 '문재인 정계 은퇴' 카드를 뽑았다 우량주 12.07 1501 0 0
28795 종이야 도와 줘 newskorea 12.07 1283 1 0
28794 제보자 주갤러 쉬고싶어 12.07 1548 3 0
28793 기춘할아범 뇌세포 기적적 재생 장면 이론만 12.07 2339 0 0
28792 주갤럼의 직접 민주주의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친일척결필수 12.07 1849 3 0
28791 순천을 살린 이정현 만만세.jpg DNANT 12.07 2227 2 0
28790 동네 서브웨이 이벤트.jpg 숄크로 12.07 1803 2 0
28789 JTBC 손석희 사장님 신인 시절 매국누리당 12.07 2005 4 0
28788 세월호 이틀째...승마 챙긴 대통령 노벨 12.07 1372 0 0
28787 9년전 박근혜 대선출마시 최순실 언급 동영상… 회원님 12.07 1411 0 0
28786 5개 외국어에 능통한 대통령.jpg 1 몇가지질문 12.07 4152 3 0
28785 오늘만 사는 청문회 차은택 베댓.jpg 장프로 12.07 2025 0 0
28784 주갤럼들이 대한민국의 중심을 지키고 있어요 레저보이 12.07 1712 4 0
28783 [ 김용민의 그림마당 ] 2016년 12월 … 네이버 12.07 1085 0 0
28782 청문회보다 소리 꺼버리는 순간.jpg 온리2G폰 12.07 1561 1 0
28781 MBC는 변질 된게 아닙니다. 증권 12.07 1556 0 0
28780 청문회 위증 제보하는 주갤러 장훈 12.07 1990 2 0
28779 '어리다고 해서 왜 정치를 모르겠는가'.. … 기레기 12.07 1503 1 0

 

 

컨텐츠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