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민 71% "주52시간제, 시행하길 잘했네~" | 이슈빠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이슈빠



본문

우리나라 국민 71% "주52시간제, 시행하길 잘했네~"

  • Homework
  • 조회 943
  • 2021.12.28

52시간 노동시간 상한제에 대해 전국민의 70% 이상이, 노동자 중에서는 5명 중 4명이 '잘한 일'이라고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는 지난달 26일부터 30일까지 전국 만 19세 이상 80세 미만 13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주 최대 52시간제 대국민 인식조사' 결과를 28일 발표했다.

현행 근로기준법에 노동자는 하루 8시간씩, 1주일에 40시간을 일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아울러 2018년 2월 근로기준법이 개정돼 1주일은 휴일 포함한 7일이라고 명확히 하면서 연장·휴일 근무를 포함해 최대 52시간까지만 일할 수 있는 '주52시간 노동시간 상한제'가 적용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주52시간제는 2018년 7월부터 기업 규모에 따라 단계적으로 시행돼 지난 7월 5인 이상 사업장까지 확대됐다.

52시간제 시행에 대한 평가. 고용노동부 제공



이러한 주52시간제 시행에 대해 인식조사 응답자 중 71.0%는 '잘한 일'(매우 잘한 일 24.0%, 대체로 잘한 일 47.0%)이라고 응답해 '잘못한 일'이라고 답한 19.3%(대체로 잘못한 일 12.4%, 매우 잘못한 일 6.8%)보다 훨씬 많았다.

특히 임금노동자 중에서는 77.8%가 '잘한 일'이라고 평가했고, '잘못한 일'이라는 답변은 15.7%에 불과했다.

또 현재 직장에서 주52시간제를 준수하고 있는지에 대해 임금노동자의 56.0%는 '철저하게 준수'한다고, 32.0%는 '어느 정도 준수'한다고 답한 반면, '준수하지 않고 있다'는 답변은 10.8%여서 대부분의 사업장에서 주52시간제를 준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2시간제로 인한 삶의 질은 '이전과 별 차이가 없다'는 의견이 절반을 넘은 55.9%에 달했지만, '나빠졌다'는 의견은 8.3%에 그친 반면 응답자의 3분의 1 가량(33.2%)은 '좋아졌다'고 답했다.

여가시간에서도 '변화가 거의 없다'(64.4%)는 의견도 많았지만, 이 역시 '감소했다'(3.6%)보다 '늘어났다'(31.2%)는 의견이 훨씬 더 많았다.

임금에서는 "변화가 거의 없다"(74.1%)가 대부분이었고, "증가"(5.1%)보다는 "감소"(20.4%)가 많았다.

하지만 감소했다고 답한 경우조차도 "초과근무해서 임금을 더 받겠다"(37.0%)는 의견보다는 "정시퇴근해서 여가를 즐기겠다"(61.7%)는 의견이 2배 가까아 더 많았다.

더 나아가 주52시간제를 시행했음에도 응답자 중 절반 이상을 넘은 55.8%는 여전히 '일을 많이 하는 편'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인식은 남성(52.7%)보다 여성(58.8%)이, 고령층보다 젊은층에서 더 많았다.

특히 60세 이상에서만 '일을 많이 하는 편'이라는 답변이 절반을 넘기지 못한 34.0%에 그칠 뿐, 나머지 연령대에서는 19~29 71.2%, 30 71.4%, 40 64.3%, 50 50.6%로 모두 절반을 넘었다.

일을 많이 하는 이유. 고용노동부 제공



일을 많이 하는 이유로는 '업무가 많아서'(46.4%), '비효율적인 업무 진행'(20.1%)과 같이 회사의 사정 때문이라는 답변이 3분의 2를 차지했다.

반면 '적정한 소득을 위해' 오래 일한다는 답변도 27.8%에 그쳤고, '본인의 성취‧만족을 위해서'는 겨우 3.6%에 불과했다.

'일'과 '개인‧가정생활'의 중요도에 대해서는 65.6%가 '둘 다 중요'하다고 답한 가운데, '일'(4.7%)보다는 '개인‧가정생활'(29.4%)이 중요하다는 의견이 훨씬 많았다.

실제로 '초과근무해서 임금을 더 받기'(28.7%)보다는 '정시퇴근해서 여가를 즐기겠다'(70.3%)는 선택이 3배 가까이 더 많았고, 임금노동자 중에서는 76.1%가 초과수당 대신 정시퇴근을 선택했다.

특히 '정시퇴근해서 여가를 즐기겠다'는 응답은 60세 이상을 포함한 모든 연령대에서 절반을 넘어섰다.(19~29 71.1%, 30 80.6%, 40 69.7%, 50 73.6%, 60세 이상 61.1%)

52시간제의 전망에 대해 삶의 질이 '나빠질 것'이라는 답변은 7.4%에 불과했고, '좋아질 것'이라는 응답이 41.8%에 달했다.

52시간제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 고용노동부 제공



52시간제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서 가장 필요한 것으로는 '기업의 준수 의지'(25.4%)를 가장 많이 꼽았고, 다음으로 '사회적 인식의 변화'(18.1%), '정부의 지원 정책'(17.8%), '주52시간 예외 제도 확대'(17.4%) 그리고 '정부의 관리감독 강화'(13.9%) 순으로 나타났다.

이번 인식조사는 노동부가 현대리서치연구소에 위탁해 전화조사(CATI, 무선 70%, 유선 30%)로 진행됐고, 표본 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72%p이다.



http://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1&oid=079&aid=0003590527&viewType=pc

추천 0 비추천 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댓글목록

이슈빠



이슈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날짜
28748 남양유업, 공정거래협약 이행평… 12.28
28747 "여자친구 욕하고 잊어라" 이… 12.28
28746 두통 시달리던 30대 뇌사판정… 12.28
28745 마스크 '이어가드'서 불임 확… 12.28
28744 고령층 3차 접종률 69.8%… 12.28
28743 전여친 집 침입해 김치·화장품… 12.28
28742 부산교통공사, 직원 급여 일부… 12.28
28741 경기도 교육행정직 공무원들 내… 12.28
28740 몸속에 35년간 태아 품고 산… 12.28
28739 윤석열 "아내, 진정한 마음서… 12.28
28738 가세연 "이준석 성상납 의혹"… 12.28
28737 내년 대선 끝나자마자 전기-가… 12.28
28736 "밥 달라고" 잠자는 어머니 … 12.28
28735 신분당선 광교~호매실 연장 확… 12.28
28734 마스크 가드 착용 때 주의..… 12.28
28733 ‘성추행을 단순폭행으로 무마… 12.28
28732 우리나라 국민 71% "주52… 12.28
28731 김건희, '8500만 원 빚 … 12.28
28730 First lady 12.28
28729 미성년 여동생 성폭행한 나쁜 … 12.28
28728 경기도교육청, 행정업무 이관… 12.29
28727 칼부림 현장서 도망친 19년차… 12.28
28726 빙판길 미끄러진 차량 도우려다… 12.28
28725 이재갑 “백신 못 맞을 정도로… 12.29
28724 미성년 여동생 성폭행한 나쁜 … 12.29

 

 



서비스 이용약관 개인정보 처리방침
Copyright © threppa.com. All rights reserved.
광고 및 제휴, 게시물 삭제, 기타 문의 : threppa@gmail.com
Supported by itsBK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