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빠



본문

"미 경제 40년 만에 더블딥 빠질 수도"...짙어지는 미 경기침체 전망

  • 작성자: 애니콜
  • 비추천 0
  • 추천 0
  • 조회 337
  • 2022.07.04

http://n.news.naver.com/mnews/article/469/0000684148?sid=104


미 의회조사국 경기침체 가능성 제기

인플레 속 금리 인상, 경착륙 가능성↑

코로나 이후 또 경기악화로 '이중침체'

금리 안 올리면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미국 경기 침체 그림자가 짙어지고 있다. 최악의 물가상승으로 경제가 몸살을 앓는 가운데, ‘인플레이션 파이터’를 자처한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긴축 고삐를 바짝 조이면서 경기가 급속히 냉각할 수 있다는 미 연방의회 산하 연구기관의 경고가 나왔다. 이 경우 미국 경제가 40년 만에 ‘더블딥(경기 일시 회복 후 재침체)’에 빠질 수 있다는 암울한 전망마저 고개를 들고 있다.


미 경제, 연착륙보다 경착륙 가능성 커



2일(현지시간) 미 의회조사국(CRS)은 ‘미국 경제가 연착륙·경착륙·스태그플레이션(물가상승 속 경기후퇴) 가운데 어디로 향해 가는가’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경기 침체 가능성을 제기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경제는 올해 1분기에 6분기 연속 플러스 성장을 끝내고 연율 환산 기준 -1.6%의 마이너스 성장으로 돌아섰다. 설상가상 지난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1981년 말 이후 최대 규모인 8.6% 급등하면서 물가 급등에 경고음도 켜졌다. 결국 연준은 불붙은 물가를 잡기 위해 지난달 28년 만에 ‘자이언트 스텝(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에 나섰다.


CRS는 이런 배경을 바탕으로, 미국 경제 경착륙(침체) 가능성에 무게를 실었다. 지난 5월까지만 해도 연준은 금리를 올려도 경제는 크게 흔들리지 않을 것이라는 이른바 ‘경기 연착륙론’을 펼쳐왔다. 그러나 지나치게 높아진 물가가 복병이었다. 40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치솟은 인플레이션 탓에 연준이 빠른 속도로 통화정책 긴축에 나설 수밖에 없게 됐고, 그 결과 급격한 경기 위축이 불가피해졌다는 얘기다.


그간 강력한 노동시장 회복을 근거로 ‘준(準) 연착륙(softish landing)’을 주장해 온 제롬 파월 연준 의장 역시 지난달 말 기준금리 인상으로 미국 경제가 침체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공식 인정했다. CRS는 “1950년대 이후 모든 경기 후퇴는 장기간 금리 인상 후 일어났다”며 “지금처럼 인플레이션이 높고 연준이 금리를 올리는 상황에서는 연착륙보다 경착륙이 일반적”이라고 강조했다. 하반기에도 연준이 강도 높은 통화 긴축을 예고한 만큼, 추가 타격은 상당할 전망이다.


더블딥이냐 스태그플레이션이냐



문제는 이 같은 경착륙이 이중침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가장 최근의 미국 경기 악화가 코로나19 확산 초기인 2020년 발생한 만큼, 경제가 회복세를 보이다 다시 고꾸라지는 모양새가 되기 때문이다. 더블딥이 현실화하면 1980년대 초 2차 오일쇼크(석유파동) 이후 40년 만의 일이 된다. 보고서는 “당시 인플레이션은 7%를 넘겼고, 그때도 연준이 물가를 잡기 위해 금리를 19% 수준으로 올리면서 경기 후퇴가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그렇다고 마냥 손을 놓고만 있을 수도 없다는 점은 연준의 딜레마다. CRS는 연준이 경착륙 우려로 금리를 빠르게 올리지 않으면, 스태그플레이션이라는 더 나쁜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높은 인플레이션 기대심리가 고착화하면, 최악의 경우 물가는 계속 오르는데 실업률도 덩달아 높아지는 1970년대 1차 오일쇼크 당시 침체 상황이 반복될 수 있다는 의미다. 

추천 0 비추천 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close]

댓글목록

이슈빠



이슈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쓰레빠 슬리퍼
22188 가양역 20대女 일주일째 실종…그날 밤 11… 박사님 07.05 476 0 0
22187 안동시 여성 공무원, 동료 직원이 휘두른 흉… 남자라서당한다 07.05 481 0 0
22186 "임금 인상 자제" 추경호 외치자… 공무원 … 김무식 07.05 338 0 0
22185 ‘쓰레기통 비우고 설거지’…근로장학생이 잔심… 미스터리 07.05 533 0 0
22184 中 군함, 센카쿠 주변 접속수역 진입..."… 전차남 07.05 584 0 0
22183 벨라루스, 우크라 참전 명분 쌓기?…서방에 … 쾌변 07.05 502 0 0
22182 이란 남부 호르모즈간 강진 사상자 89명으로… DNANT 07.04 277 0 0
22181 3만평 통으로 기부 자생식물원, ‘국립’ 이… 희연이아빠 07.05 412 0 0
22180 "러, 서방에 보복시 유가 배럴당 최대 38… 옵트 07.04 293 0 0
22179 전쟁 속 분열만 보여준 UN..공동체는 사라… 선진국은좌파 07.04 287 0 0
22178 美 낙태권 파기 판결 토머스 대법관 탄핵 요… newskorea 07.04 283 0 0
22177 우즈벡, 헌법 개정 놓고 시위 카라칼파크스탄… 캡틴 07.04 286 0 0
22176 "최저임금 인상 못 견뎌"..편의점 주인들… 온리2G폰 07.05 461 0 0
22175 파출소 내부에 화살총 쐈는데..경찰 7명은 … 담배한보루 07.05 410 0 0
22174 단독] 신세계, 日 드라마 ‘1리터의 눈물’… 슈퍼마켓 07.05 902 0 0
22173 튀르키예 경제난인데..외교문제로 눈 돌리는 … 밤을걷는선비 07.04 319 0 0
22172 탈레반 최고지도자 "외국인 아프간 내정에 개… 배고픈심장 07.04 342 0 0
22171 "글로벌 시장 최악의 상반기..더 나빠질 수… 조읏같네 07.04 284 0 0
22170 "중국·러시아, 전세계 원자로 장악했다"..… 미해결사건 07.04 382 0 0
22169 "미 경제 40년 만에 더블딥 빠질 수도".… 애니콜 07.04 340 0 0
22168 '판결 논란'에 미 연방대법관 탄핵 청원 '… 하건 07.04 360 0 0
22167 벨라루스, 우크라 침공 명분 쌓나..루카셴코… kakaotalk 07.04 357 0 0
22166 다시 증가하는 코로나19에 원숭이두창까지…조… 기레기 07.04 365 0 0
22165 원숭이두창 ‘가속 진화’…3년 만에 돌연변이… 인텔리전스 07.04 279 0 0
22164 원숭이두창, 어린이도 감염됐다…"9월까지 1… 스트라우스 07.04 367 0 0

 

 

컨텐츠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