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빠



본문

"경기 둔화 속도, 70년대 2배 수준…스태그플레이션 위험 상당"

  • 작성자: 피로엔박카스
  • 비추천 0
  • 추천 0
  • 조회 275
  • 2022.06.27

http://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269125?sid=104


(워싱턴=연합뉴스) 류지복 특파원 = "경기둔화 속도가 70년대 오일쇼크 때의 2배 이상으로 나왔습니다. 스태그플레이션 위험이 상당하다는 경고음을 줘야겠다고 결론 냈습니다"


세계은행(WB)은 지난 7일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5개월 새 1.2%포인트나 낮춘 2.9%로 전망한 수정 보고서를 내놓으며 스태그플레이션 위험을 경고했다.


WB는 그동안 경제 전망에서 다소 신중한 태도를 보여온 터라 상당히 강한 톤의 내용을 담은 보고서라는 평가를 받았다.


(중략)


-- WB가 최근 수정보고서에서 스태그플레이션 위험이 상당하다고 했는데, 그렇게 분석한 근거는 무엇인가.


▲ 스태그플레이션 정의는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높은 물가 상승률이 지속되고 성장세의 빠른 둔화나 침체가 동시에 일어나는 경우를 말한다.


2021년 이후 물가가 전반적으로 많이 올랐지만 올해 초 우크라이나 전쟁, 공급망 왜곡에 따라 더 빠른 속도로 상승했다. 반면 성장률 전망은 전에 비해 많이 둔화했다.


-- 경기침체 우려가 크다. 세계 경제가 침체로 접어들 가능성은 어떻게 보나.


▲ 경기침체는 1인당 소득이 전년 대비 마이너스(-)인 상황으로 정의한다. 70년대 이후 (경기침체가) 1975년, 1982년, 1991년, 2009년, 2020년 등 5번 있었다.


하지만 올해나 내년 1인당 소득이 전년 대비 마이너스로 갈 것이라고 보고 있진 않다. 물론 둔화 폭이 큰 것은 사실이지만, 침체까지는 예상하지 않는다.


-- 그럼에도 경기침체 언급이 많이 나오는 이유는 뭘까.


▲ 통계학이나 계량기법이 발달하다 보니 하나의 수치가 아니라 범위로 보여주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마이너스 가능성도 있다는 얘기로 이해한다.


-- 향후 세계 경기의 변수는 무엇이라고 보느냐.


▲ 이전 전망 때보다 하방 위험이 다양하고 커진 것은 분명하다. 지정학적 위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과 이로 인한 중국의 봉쇄,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우크라이나 침공, 주요선진국의 금리인상 등이 얽혀 있다. 이런 위험이 현실화하면 올해 성장률은 2.1%, 내년은 1.5∼2%까지 떨어질 수 있다.


-- 전 세계적 인플레이션을 두고 단기 현상이라는 견해와 지속할 것이라는 의견이 있다. 고물가가 얼마나 오래 갈까.


▲ 올해 초만 해도 단기 현상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었다. 공급 측면의 일시적 요인으로 물가가 상승한 측면이 강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크라이나전 이후 국제유가가 더 크게 상승하면서 분위기가 많이 바뀌었다. 올해 중반께 정점을 찍고 서서히 떨어지겠지만 내년 중반까지 높은 수준을 지속할 것이라는 견해가 많다. 높은 수준이란 각국 중앙은행이 목표한 물가수준을 상회하는 경우를 말한다.


-- 올해 중반 이후 서서히 하락할 것으로 보는 이유는.


▲ 수요와 공급 측면으로 나눠볼 수 있다. 공급망 왜곡에 따른 공급 부족은 서서히 완화될 것으로 본다. 유가도 내년에는 올해보다 안정될 것으로 가정했다. 수요 측면에선 지난해의 경우 전염병 대유행 이후 봉쇄가 풀리면서 수요가 강했다. 올해와 내년은 수요 성장세가 둔화할 것으로 봤다. 각국의 긴축 금리 정책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 1970년대 오일쇼크 때 스태그플레이션을 겪었는데, 지금과 비교하면 어떤가.


▲ 크게 세 가지 공통점이 있다. 우선 1974년과 1979년에 공급 측면의 충격이 있었는데, 이번에도 코로나19로 인해 공급 부문의 충격이 컸다.


둘째, 공급 부문이 충격을 받기 전 완화적 통화정책이 지속됐다. 실제로 80년대 초까지 미국을 포함한 많은 국가의 실질 금리가 마이너스 수준을 유지했다.


낮은 금리 수준이 개발도상국에서 국가 부채의 상승을 야기했다는 것은 세 번째 공통점이다. 개발도상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부채 수준이 1987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고 민간 부채도 역대 최고치 수준이다.


-- 반대로 차이점도 있을까.


▲ 차이점도 크게 세 가지다. 일단 통화정책 체계가 바뀌었다. 70년대만 해도 통화정책이 물가, 금융안정 등 복수의 목표를 동시에 추구했지만 지금은 모든 중앙은행이 물가 안정에 목표를 두고 있다.


경제 구조가 많이 유연화했다는 것도 차이점이다. 70년대만 해도 물가, 임금, 금리에 대한 통제가 전방위적으로 이뤄졌다. 그런데 경제가 자율화, 선진화하면서 선진국의 경우 물가 통제가 사라졌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를 보면 80년 기준 노조 가입률이 60% 정도였지만 2020년 기준 20% 수준이다.


셋째, 전반적인 물가수준이 당시와 다르다. 인플레이션이 70년대 정점과 비교하면 아직 절반 수준이고, 에너지와 식료품을 제외하면 4분의 1 정도다. 임금 상승률도 미국을 제외하면 낮다. 실질 유가 수준은 70년대 대비해 3분의 2 정도에 머물고, 생산과 소비에서 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도 크게 떨어졌다.


-- 스태그플레이션을 피하고 경제적 악영향을 줄이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한다면.


▲ 복합적 상황이어서 단편적 정책으로 접근하긴 어려운 문제다. 통화 정책이 가장 중요한데, 금리 변동 시기와 정도를 잘 조정하고 정책을 투명하게 공개함으로써 신뢰를 얻도록 의사소통이 중요하다.


재정정책의 경우 2020년 확장으로 가다 점점 축소되는데 속도나 크기를 잘 계량해서 준비해야 한다. 금융 정책도 통화·재정 정책을 잘 뒷받침해야 한다.


구조적 정책 역시 필요하다. 취약계층을 위한 사회안전망 확충 등이 필요하다. 인위적 물가 통제는 중장기적으로 큰 부작용을 낸다는 연구 결과가 많다. 생산성을 올리는 정책도 중요하다.

추천 0 비추천 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close]

댓글목록

이슈빠



이슈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쓰레빠 슬리퍼
21855 스태그플레이션이 무시무시한 이유 기자 06.27 567 0 0
21854 에콰도르 반정부 시위 격화…6명 사망·90명… alsdudrl 06.27 280 0 0
21853 동시다발 폭염 덮친 지구촌…미·중·유럽에 인… 뽀샤시 06.27 280 0 0
21852 "경기 둔화 속도, 70년대 2배 수준…스태… 피로엔박카스 06.27 277 0 0
21851 코로나 백신 접종률 저조한 아프리카…변이 온… 기레기 06.27 310 0 0
21850 美, 41년 만에 최고 물가...저소득층 덮… 자격루 06.27 285 0 0
21849 긴장 높아지는 대만해협… 美군용기 통과에 中… 스콧트 06.27 297 0 0
21848 “어느 나라 軍이 이럴까…러 포탄 퍼붓다 곧… 불반도 06.27 502 0 0
21847 중국이 대만 침공한다면?… 대만인 절반 이상… 판피린 06.27 446 0 0
21846 암호화폐 대출업체 ‘셀시어스’ 파산 준비… … 몇가지질문 06.27 395 0 0
21845 때 이른 폭염… 중국이 석탄 의존도를 높이고… 레저보이 06.27 392 0 0
21844 中, 4번째 항모도 설계 마쳐...美 해군력… 피아니스터 06.27 378 0 0
21843 中 '프로스펙스 상표 출원' 적반하장 뜨악 06.27 498 0 0
21842 "푸틴은 군인 가족부터 찾아 죽였다.. 전쟁… 쓰레기자 06.27 492 0 0
21841 노르웨이 수도 번화가서 총기난사 23명 사상 무서븐세상 06.27 460 0 0
21840 서울시, 아이 봐주는 친인척에게 수당 추진 오피니언 06.27 491 0 0
21839 "여자는 허벅지 붙어야 예뻐"..대법, 2심… 한라산 06.27 1022 0 0
21838 푸틴 "벨라루스에 핵탄두 탑재 미사일 전달할… 밥값하자 06.27 412 0 0
21837 남아공 소도시 술집서 10대 등 최소 21명… 배고픈심장 06.27 597 0 0
21836 "피임·동성혼 금지도 검토".. 트럼프가 만… 기레기 06.27 654 0 0
21835 서울시, ‘1인가구 전월세 계약’ 도움 나선… 베른하르트 06.27 620 0 0
21834 거액 넣어 둔 계좌, 보이스피싱에 이용..법… 담배한보루 06.27 850 0 0
21833 서울시 자치경찰, 학대 피해 아동에 의료·필… 김웅롱 06.27 443 0 0
21832 포스코 임직원들, 성폭력 사과한답시고 집 찾… 무근본 06.27 640 0 0
21831 "완도 실종가족, 범죄연루 가능성↓"...부… 휴렛팩커드 06.27 641 0 0

 

 

컨텐츠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