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빠



본문

금융·경제 전문가 58% "1년 내 금융위기 충격 가능성 높다"

  • 작성자: 유릴
  • 비추천 0
  • 추천 0
  • 조회 584
  • 2022.11.27

http://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604548?rc=N&ntype=RANKING



위험 요인으로 기업 자금조달 악화, 가계부채 상환부담 등 꼽아

AKR20221127008700002_04_i_P4_20221127120
금융·경제 전문가 58% "1년 내 금융위기 충격 가능성 높다"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기자 = 국내외 금융·경제 전문가 10명 중 6명은 1년 안에 금융시스템 위기가 닥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주요 위험 요인으로는 높은 가계부채 수준과 상환 부담, 기업 부실 위험 등이 꼽혔다.

한국은행이 27일 공개한 '시스템 리스크(위험) 서베이(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외 금융기관 임직원과 주요 경제 전문가 72명에게 금융시스템 위기를 초래할 충격이 단기(1년 이내)에 발생할 가능성을 묻자 58.3%가 "높다"(매우 높음 12.5%+높음 45.8%)고 답했다.

AKR20221127008700002_01_i_P4_20221127120
단기 금융시스템 충격 가능성 설문조사 결과
[한국은행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이 설문은 지난 2∼9일 진행됐는데, 지난 5월 같은 조사 당시와 비교해 단기 금융 위기를 예상한 비율이 26.9%에서 58.3%로 불과 6개월 사이 31.4%포인트(p)나 뛰었다.

중기 시계(1∼3년)에서 "금융시스템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만한 충격 가능성이 높다"(매우 높음 5.6%+높음 34.7%)고 답한 비중도 같은 기간 32.9%에서 40.3%로 커졌다.

AKR20221127008700002_02_i_P4_20221127120
금융시스템 안정성 신뢰도 설문조사 결과
[한국은행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반대로 금융시스템 안정성에 대한 신뢰는 크게 줄었다.

조사 대상의 36.1%만 "우리나라 금융시스템 안정성의 신뢰도가 높다"(매우 높음 0%+높음 36.1%)고 평가했는데, 5월 조사 당시의 53.2%보다 17.1%포인트나 떨어졌다.

향후 금융 취약성이 드러날 가능성이 큰 금융업권으로는 저축은행, 증권사, 캐피탈사 등 주로 비은행업권이 지목됐다. 높은 취약차주 비중과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부실 위험 등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AKR20221127008700002_03_i_P4_20221127120
금융시스템 위기 리스크 요인 설문조사 결과
[한국은행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금융시스템 위기를 초래할 1순위 리스크 요인으로는 27.8%가 '기업의 자금조달 여건 악화에 따른 부실 위험 증가'를, 16.7%가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과 상환 부담 증가'를 꼽았다.

'금융기관 대출 부실화와 우발채무 현실화'(13.9%), '국내 시장금리의 급격한 상승'(12.5%) 등이 뒤를 이었다.

위험 순위를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응답(5가지 요인 복수 응답) 빈도수만 따지면,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과 상환부담 증가(69.4%), 기업의 자금조달 여건 악화에 따른 부실 위험 증가(62.5%), 금융기관 대출 부실화 및 우발채무 현실화(48.6%), 국내 시장금리의 급격한 상승'(43.1%), 부동산 시장 침체(36.1%) 순이었다.

각 위험 요인을 단기(1년 내 현재화 가능성) 또는 중기(1∼3년) 요인으로 나눠달라는 요청에 조사 대상자들은 기업의 자금조달 어려움이나 금융기관 부실 위험 등은 단기 위험으로, 가계 부채 문제와 부동산 시장 침체 가능성은 중기 위험으로 분류했다.

shk999@yna.co.kr

추천 0 비추천 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close]

댓글목록

이슈빠



이슈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쓰레빠 슬리퍼
16288 차이 대만 총통 민진당 주석직 사임…선거 패… 나도좀살자좀 11.27 311 0 0
16287 김정은 둘째딸 또 등장… ‘붕어빵 부녀’, … 조읏같네 11.27 549 0 0
16286 "일주일에 이틀 물 나와"…대도시 광주도 … 책을봐라 11.27 627 0 0
16285 벌금 감수하고 기자회견에 불참한 독일 선수들… 옵트 11.27 649 0 0
16284 옛 연인 남편 발견하자 묻지마 폭행 80대 … 매국누리당 11.27 690 0 0
16283 최악 가뭄에 취수탑 기둥 드러난 주암댐 뜨악 11.27 697 0 0
16282 독일 격침에 도취된 일본 언론 “조 1위 땐… 갑갑갑 11.27 636 0 0
16281 반세기 최악 가뭄…“무릎높이 양파 줄기, 아… 휴렛팩커드 11.27 714 1 0
16280 양양 헬기 추락 현장 시신 5구 수습 '애… 고증 11.27 600 0 0
16279 이러다간 내년 5월 주암댐 '바닥'…광주‧전… piazet 11.27 463 0 0
16278 호텔사우나 수건 10장 썼다고 욕설한 회원 추천합니다 11.27 816 0 0
16277 금융·경제 전문가 58% "1년 내 금융위기… 유릴 11.27 586 0 0
16276 남녀 3명 긴급 체포... SM 소속 아이돌… 나도좀살자좀 11.27 1148 0 0
16275 "월급 120만원 받고 기뻐한 고등학생 결국… 살인의추억 11.27 853 0 0
16274 “방탄 메기가 나타났다”...말그대로 게임체… 나도좀살자좀 11.27 819 0 0
16273 이디야, 애플페이 도입…내년 1월까지 결제… 쾌변 11.27 563 0 0
16272 "49재까지"…이태원 골목 밤낮으로 지키는 … corea 11.27 892 0 0
16271 "오빠가 살해당했다, 함께 떡볶이 먹던 그 … 시사 11.27 883 0 0
16270 카타르 월드컵) 경기장에 전범기 욱일승천기 … 얼리버드 11.27 743 0 0
16269 "노예근성 싫어"…'경기장 청소 찬사'에 일… 뽀샤시 11.27 773 1 0
16268 번역 날조 걸린 스브스의 대답 AK47 11.27 959 2 0
16267 ‘과태료의 덫’이 된 엉터리 전용차로 애니콜 11.27 766 0 0
16266 '34%→75%→29%' 가시밭길 일본, 1… ekgia 11.28 597 0 0
16265 '안개' 듣자마자 눈물 흘린 탕웨이 "이 … 매국누리당 11.28 615 0 0
16264 우이판 탈세까지 해서 벌금만 천억대 네이버 11.28 600 0 0

 

 

컨텐츠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