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빠



본문

무리하게 응급환자 수용했다가 잘못되면? 한숨 깊어지는 현장

  • 작성자: 베트남전쟁
  • 비추천 0
  • 추천 0
  • 조회 451
  • 2023.04.21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05102
6월부터 시행되는 응급환자 수용곤란 고지 제도를 두고 응급의료 현장에서는 법적 책임을 지는 의료인만 늘어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관련 규정 개정으로 정당한 사유 없이는 응급환자 수용 요청을 거부할 수 없도록 했지만 이로 인해 현장 혼란이 커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현실적으로 응급환자를 수용할 수 없는데도 관련 규정으로 인해 무리하게 환자를 받았다가 치료 결과가 좋지 않으면 소송으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수용 곤란을 고지한 의료진이 법적 책임을 지는 상황도 걱정하고 있다.


중략


하지만 현장에서는 전화나 무선통신 등을 이용한 수용곤란 고지가 잘못된 환자분류로 이어져 법적 책임만 커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경북대병원 응급의학과 류현욱 교수는 “전화로 직접 연락해 수용능력을 확인하고 통보해야 한다고 돼 있지만 전화나 무선통신을 통해 환자 상태를 파악하는 게 한계가 많다는 걸 응급의료 현장에서는 다 알고 있다”며 “중증도 평가가 훨씬 어렵다”고 말했다.

류 교수는 “제한적인 정보만 갖고 수용 통보를 했는데 환자 결과가 좋으면 좋겠지만 결과적으로 경증이었다가 추후 사망하는 등 치료 결과가 좋지 못할 수도 있다. 이때 병원에 도덕적 책임을 묻는다면 응급실 의료진이 스트레스 받지 않고 진료에 매진할 수 있을지 우려가 크다”고 했다.

정당한 사유에 대한 기준이 불명확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시설이나 인력, 장비 역량이 초과되는 정당한 사유가 있을 경우 수용곤란 거부가 가능하지만 이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다는 것이다.

의료기관마다 병상 포화도나 중환자실 병상 부족 등 기준이 모두 상이한 상황에서 기준이 너무 모호하다는 지적이다.

류 교수는 “정당한 사유에 대한 기준이 불명확하다. 응급실 과밀화가 심하거나 병상이 부족할 때, 동시간 대 응급실 의사의 진료 역량이 초과하는 단시간 당 진료량이 과다할 때 등 이야기는 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구체적으로 (논의가) 진행되고 있지 않는 게 사실”이라고 했다.

중앙응급의료센터 홍원표 응급의학과 전문의는 “수용곤란의 정당한 사유가 법률적으로 해석되기에 모호한 부분이 있어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며 “(응급실을 찾다 골든타임을 놓쳐 사망한) 대구 사건을 바라보는 응급의학과, 정부, 국민의 목소리가 다른 부분에 대해 합의점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수용곤란 고지 제도로 의무는 커졌지만 응급실 과밀화 원인인 환자 유입에 대한 조정기전은 전혀 없이 응급의료기관의 책임만 더 커졌다는 우려도 있었다.

류 교수는 “하루에 환자 100명만 봐도 전화 통화는 30통이 넘는다. 상당한 업무량이 요구되지만 응급실 환자 유입에 대한 조정 기전은 전혀 없다”며 “정부는 책임지지 않고 응급환자 수용에 대한 응급의료기관의 책임만 과도하게 커졌다. 밸런스를 맞춰주지 않는다면 응급의학과 과부하 문제는 해결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충남대병원 응급의학과 유인술 교수도 “수용곤란 고지를 했음에도 환자를 수용했을 때 법적으로 보호해주지 않으면 수용곤란 고지 정책은 아무 의미가 없다”며 “이 부분에 대해 확실하게 처리해 줄 것을 요구했었다. 수용고지 정책 만들어 놓고 환자들이 떠돌이가 돼 문제라는 게 뉴스에 나오니 응급의학과 의사들에게 책임을 떠넘기는 거 아니냐고 정부에 물었다. 정부는 객관적 기준을 만들겠다고 했다”고 말했다.

수용요청 전화를 의도적으로 받지 않는 의료기관에 대한 관리 방안을 묻는 질문도 나왔다.

중앙응급의료센터 고은실 응급의료정책실장은 “법상에는 전화 자체를 받지 않는 부분에 대해 직접적으로 언급한 바는 없다”며 “전화 자체를 안 받는 것과 의뢰를 받지 않는 것은 다른 문제다. 전화를 아예 안 받으면 수용요청을 받지 않으니 이런 문제에 연루되지 않아 피하는 방법이 될 수 있겠지만 안 받는 게 능사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고 실장은 “전화를 걸었던 기록은 발신하는 쪽에 남아 있다. 119에서 전화를 한 기록이 남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결정된 것은 아니지만 양측을 관리할 수 있으므로 추후 관리하도록 하겠다”고 했다.

추천 0 비추천 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close]

댓글목록

이슈빠



이슈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쓰레빠 슬리퍼
12598 밤 10시 현재" SNS에 야근 사진 올린 … 신짱구 12.29 452 0 0
12597 밤 11시 다시 진도 4.3 지진..日 여… kKkkkKk 01.01 452 0 0
12596 주요 대기업 남성 육아휴직 현황 서천동 01.04 452 0 0
12595 국민 89%가 모르는 경로당 냉난방비 갈증엔염산 01.19 452 0 0
12594 “독도는 일본땅” 日 모든 高1 사회교과서에… 이령 03.31 451 0 0
12593 멀어진 '백신 스와프'…바이든 "딴 나라 줄… 면죄부 04.22 451 0 0
12592 KT, ‘인터넷 속도 저하’에 공식 사과…방… 조읏같네 04.23 451 0 0
12591 감사원, "국회의원의 부동산 조사는 감사 대… 애스턴마틴 06.08 451 0 0
12590 "리얼돌 단속 어쩌나" 경찰, 청소년보호법·… 인생은한방 06.18 451 0 0
12589 오늘도 700명 안팎…내일 오전 '수도권 거… 유릴 07.06 451 0 0
12588 하청업체 직원 관리했다면, 대법 “직접 고용… marketer 07.15 451 0 0
12587 前주한미군 사령관 파격제안 "北을 동맹으로 … 깐쇼새우 07.31 451 0 0
12586 중고차 허위매물 피해 돕던 유튜버 Matilda 10.01 451 1 0
12585 “만나주지 않으면 해치겠다”… 4개월 동안 … 나비효과 11.24 451 0 0
12584 안산 중학생도 오미크론 감염...인천 미추홀… 담배한보루 12.06 451 1 0
12583 뉴욕시 "병상 80% 꽉 찼다..인력 부족 … 하건 01.06 451 0 0
12582 WSJ "中 2개 도시 완전봉쇄, 전세계 공… never 01.12 451 0 0
12581 광주시 "붕괴 아파트, 안전성 확보 안되면… 도시정벌 01.13 451 0 0
12580 경기 안산 야산서 잇단 산불…소방당국 헬기 … context 03.05 451 0 0
12579 북한 조만간 ICBM 시험발사할 듯-WP 피아제트Z 03.17 451 0 0
12578 유엔 사무총장, 러 '집단학살' 조사 시사.… 무근본 04.04 451 0 0
12577 러시아, 나토 가입 추진 핀란드에 '전기 공… 0101 05.14 451 0 0
12576 카카오 ‘메타버스 근무제’ 7월 도입 미해결사건 05.31 451 0 0
12575 "연간 190억장..'비닐봉투 중독' 한국인… 담배한보루 06.09 451 0 0
12574 44년 만에 등장한 두창 백신… “15번 찌… 나도좀살자좀 06.29 451 0 0

 

 

컨텐츠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