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빠



본문

(워싱턴포스트 번역) 앰네스티가 우크라이나에서 잘못한 것과 내가 사임해야 하는 이유

  • 작성자: 던함
  • 비추천 0
  • 추천 0
  • 조회 446
  • 2022.08.29

" alt="5KQ0uIntIIoeYmA0QGKmYq.png">

기사 원문: http://www.washingtonpost.com/opinions/2022/08/13/amnesty-ukraine-civilians-at-risk-why-i-quit/


What Amnesty got wrong in Ukraine and why I had to resign

앰네스티가 우크라이나에서 잘못한 것과 내가 사임해야 하는 이유


Oksana Pokalchuk

옥사나 포칼추크


August 13, 2022


Oksana Pokalchuk is a Ukrainian lawyer and human rights activist.

She was the executive director of the Ukrainian office of Amnesty International from 2016 to Aug. 5.


Oksana Pokalchuk은 우크라이나 변호사이자 인권 운동가이다.

그녀는 2016년부터 올해 8월 5일까지 국제 앰네스티 우크라이나 지부 사무국장이었다


On Aug. 4, Amnesty International issued a report that accused the Ukrainian army of violating the laws of war by placing military bases close to civilian infrastructure. The report triggered a wave of public outrage worldwide and across Ukraine. For me, the report’s deepest flaw was how it contradicted its main objective: Far from protecting civilians, it further endangered them by giving Russia a justification to continue its indiscriminate attacks.


8월 4일, 국제 앰네스티는 우크라이나 군대가 민간 기반시설에 가까운 군사기지를 배치함으로써 전쟁법을 위반했다고 비난하는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이 보고서는 전 세계와 우크라이나 전역에서 대중의 분노를 불러일으켰습니다. 보고서의 가장 심각한 결함은 보고서의 주요 목표와 모순되는 방식이었습니다. 민간인을 보호하기는커녕 러시아가 무차별 공격을 계속할 정당성을 부여함으로써, 이 보고서는 민간인을 더욱 위험에 빠뜨렸습니다.


That’s why I resigned as head of Amnesty International’s Ukrainian office. Many of my colleagues followed.


그래서 저는 국제앰네스티 우크라이나 사무국장직을 사임했습니다. 많은 동료들이 뒤따랐습니다.


As a human rights defender, I am driven by a core set of values. Before this crisis, I had always felt proud of Amnesty’s work and guiding statute. However, I believe the organization’s current approach is at odds with its mission. Having worked for the organization for seven years, I would have never imagined that a single report could jeopardize 30 years of achievements in human rights protection in Ukraine. Yet this is exactly what happened.


인권의 옹호자로서, 저는 핵심 가치들에 따라 움직입니다. 이 위기 이전에 저는 항상 앰네스티의 활동과 지침에 대해 자부심을 느꼈습니다. 그러나 저는 조직의 현재 접근 방식이 원래의 사명과 상충한다고 생각합니다. 7년 동안 이 단체에서 일한 저는 단 한 건의 보고서가 우크라이나에서 30년 동안의 인권 보호 성과를 위태롭게 할 수 있다고 상상하지 못했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것이 정확히 일어난 일입니다.


Most of the recent Amnesty research on Ukraine has been produced by a special “Crisis Team” that works on armed conflicts around the world. These researchers have exceptional training and experience in human rights, laws of war, weapons analysis, etc. What they often lack is a knowledge of local languages and context.


우크라이나에 대한 앰네스티의 최근 연구 대부분은 전 세계의 무력 충돌을 다루는 특별 “위기 팀”에 의해 작성되었습니다. 물론 이 연구자들은 인권, 전쟁법, 무기 분석 등에 대해 뛰어난 훈련과 경험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들이 부족한 것은 현지의 언어와 상황에 대한 지식입니다.


Of course, no one can be expected to understand the local context and languages of every conflict. But instead of trusting and relying on local staff, som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like Amnesty fail to be inclusive and centralize decision-making, which was the case with this report. The attitude couldn’t be more condescending and unfair, because we all signed up to work together out of commitment to shared values.


그 누구도 모든 분쟁의 지역적 맥락과 언어를 전부 이해하리라고 기대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앰네스티와 같은 일부 국제기구는 현지 직원을 신뢰하고 의존하는 대신 이 보고서의 경우와 같이 현지의 의견을 중앙으로 통합하는데 실패했습니다. 우리 모두는 공유 가치에 대한 약속으로 함께 일하기로 서명했기 때문에, 이보다 더 오만하고 불공평한 태도는 없었습니다.


The fact that we were not properly consulted and included in the drafting of this report shows a total disregard to the principle of international solidarity proclaimed in Amnesty’s statute and the aim of amplifying local voices.


우리가 이 보고서가 초안 작성에서 적절하게 협의할 수 없었고, 포함되지 못했다는 사실은 앰네스티 법령에 명시된 국제적 연대의 원칙과 지역의 목소리를 증폭시키려는 목적을 완전히 무시했음을 보여줍니다.


The latest report had many glaring problems.


최신 보고서에는 눈에 띄는 많은 문제가 있었습니다.


First of all,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does not impose a blanket prohibition on establishing military bases in proximity to civilian infrastructure. Instead, the military should, to the maximum extent possible, avoid locating military objectives near populated areas and should seek to protect civilians from the dangers resulting from military operations. This warrants an assessment of each situation on a case-by-case basis, not just from a legal perspective, but also in terms of the military realities on the ground.


무엇보다도 우선, 국제 인도법은 민간 기반시설에 근접한 군사기지 건설을 전면적으로 금지하고 있지 않습니다. 그 대신, 군대는 가능한 한 최대한 인구 밀집 지역 근처에 군사 목표물을 배치하는 것을 피하고 군사 작전으로 인한 위험으로부터 민간인을 보호해야 합니다. 이는 법적 관점에서뿐만 아니라 현장의 군사적 현실의 관점에서도 각 상황을 사례별로 평가하는 것을 정당화합니다.


The reality of the war in Ukraine is that Russian forces are seeking to occupy towns and cities in Ukraine, and Ukraine’s armed forces are trying to prevent that. Given the widely publicized accounts of Russian atrocities against civilians in Bucha and Irpin, it is not immediately evident that by withdrawing from populated areas, the Ukrainian military would have achieved the maximum possible protection of civilians.


우크라이나 전쟁의 현실은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의 마을과 도시를 점령하려고 하고 있고, 우크라이나군이 이를 막으려는 것입니다. 부차와 이르핀에서 민간인에 가해진 러시아군의 잔학 행위에 대한 널리 알려진 설명을 감안할 때, 인구 밀집 지역에서 철수함으로써 우크라이나 군대가 민간인을 최대한 보호할 수 있었는지는 즉시 분명하지 않습니다.


Moreover, situations that Amnesty statement identified would require a response from the Ukraine’s Defense Ministry. This “right of response” is fundamental for human rights work, no matter the government.


심지어 앰네스티 성명에서 확인된 상황은 우크라이나 국방부의 대응이 필요한 것이었습니다. 이러한 '대응권'은 정부와 상관없이 인권 활동의 기본입니다.


The Ukrainian government, for its part, has a solid record of answering to Amnesty’s requests. This would have allowed a better understanding of whether Ukraine’s armed forces acted in a way that ensured the protection of civilians to the maximum possible extent or, instead, are putting them in danger, as Amnesty suggests.


우크라이나 정부는 국제 엠네스티의 요청에 응했던 확실한 기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우크라이나 군대가 민간인 보호를 최대한 보장하는 방식으로 행동했는지, 아니면 앰네스티가 제안한 대로 민간인을 위험에 빠뜨렸는지는 더 잘 이해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We cannot rule out that there was some necessity in placing Ukrainian forces in residential areas. It is only when the ministry presents its reasoning that anyone can claim that they have impermissibly endangered civilians (which can then be further assessed and, if necessary, criticized). Similarly, while Amnesty researchers were “not aware” if the Ukrainian military asked or assisted civilians to leave, the ministry could have presented them evidence that they did.


주거 지역에 우크라이나군을 배치할 필요가 있었다는 점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누구든지 자신이 민간인을 허용할 수 없을 정도로 위험에 빠뜨렸다고 주장할 수 있다는 것은 국방부가 근거를 제시한 경우에만 가능합니다. 마찬가지로, 앰네스티 연구원들은 우크라이나 군대가 민간인에게 떠나도록 요청하거나 지원했는지 “모르는” 반면, 국방부는 그들이 그랬다는 증거를 제시할 수 있었습니다.


But this time, Amnesty did not even intend to request an official response; they did so only after insistence from the Ukrainian office, and they gave the Ukrainian ministry only three working days to respond — which is in no way a reasonable time frame.


그러나 이번에는 앰네스티가 공식 답변을 요청할 생각조차 하지 않았습니다. 그들은 우크라이나 사무소가 주장한 뒤에야 그렇게 했고, 우크라이나 정부에 응답하는데 근무일 기준 겨우 3일을 주었습니다. 이것은 결코 합리적인 시간 조건이 아닙니다.


Furthermore, if Ukraine’s armed forces were indeed found to be in breach of international law, a potential way of implementing the recommendations would have been further advocacy with the ministry. Ukraine has been keen to demonstrate compliance with its legal obligations, partly because of reliance on Western weapon deliveries, and partly due to a desire to integrate closely with the European Union. This presented a unique opportunity to get Ukraine’s armed forces to comply with their obligations. But again, pushing for actual actions did not seem to be the goal in this case.


게다가 만약 우크라이나 군대가 실제로 국제법을 위반했다고 판명될 것이라면, 그 권고를 이행하는 잠재적인 방법은 우크라이나 국방부와 함께 더 많은 옹호를 하는 것이었습니다. 우크라이나는 부분적으로는 서방 무기 납품에 의존하고 유럽 연합과 긴밀하게 통합하려는 열망 때문에, 이러한 국제법적 의무 준수를 입증하는 데 열심이었습니다. 이는 우크라이나 군대가 의무를 이행할 수 있는 독특한 기회를 제공했습니다. 그러나 이번에도 실제 행동을 추진하는 것이 목표는 아닌 것 같았습니다.


As a result, the publication put Ukrainian civilians at a potentially greater risk. Russia repeatedly justifies attacks against civilian infrastructure by falsely claiming that civilian targets were military objectives. After the Russian bombing of a maternity hospital in Mariupol in March, Russian propaganda attempted to justify the attack by saying the hospital was controlled by the Ukrainian military.


결과적으로 이 출판물은 우크라이나 민간인을 잠재적으로 더 큰 위험에 처하게 만들었습니다. 러시아는 민간인 목표물이 군사 목표물이라고 거짓 주장함으로써 민간 기반 시설에 대한 공격을 반복적으로 정당화하고 있습니다. 지난 3월 러시아가 마리우폴에 있는 산부인과 병원을 폭격한 후, 러시아 프로파간다는 병원이 우크라이나군에 의해 통제되고 있다고 말함으로써 공격을 정당화하려고 시도했습니다.


The Amnesty report is causing long-lasting damage to the group’s reputation in Ukraine and around the world. But the blunder of the leadership does not reflect the important work of local offices, which are in danger of losing of support. My goal is to call attention to the vital work that local staffers perform and urge leaders to respect and include them in all decisions equally.


국제 앰네스티 보고서는 전 세계에서 우크라이나와 단체의 명성에 장기적인 손상을 입히고 있습니다. 그러나 지도부의 실책은 지지를 잃을 위기에 처한 지역 사무소의 중요한 업무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제 목표는 현지 직원이 수행하는 중요한 작업에 주의를 환기시키고, 리더가 그들을 존중하고 모든 결정에 동등하게 포함하도록 촉구하는 것입니다.


The focus must be on values, evidence and action. Only then will we be able to truly restore faith in our ability to help those we are meant to serve.


가치, 증거 및 행동에 초점을 두어야 합니다. 그래야만 우리가 봉사해야 할 사람들을 도울 수 있다는 신뢰를 진정으로 회복할 수 있습니다.



지금 현재 러시아군의 민간인 학살을 옹호하는 초대형 병크 일으키고 전세계에서 욕쳐먹는 중인 국제 앰네스티 근황


실시간 초대형 병크 또 터진 앰네스티 <핀란드 게이트> 폭로 사건


(블룸버그통신) "공정성의 함정"에 빠져서 러시아군의 민간인 학살 전쟁범죄를 옹호한 국제 앰네스티


우크라이나 지부 의견을 완전히 무시하고 병크 일으켜서 현지 사무국장이 사퇴까지 하게 만들어버린 국제 앰네스티


추천 0 비추천 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close]

댓글목록

이슈빠



이슈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쓰레빠 슬리퍼
12323 영유아 상대하는데.. 헌재 "아동학대 전력자… 스콧트 09.29 447 0 0
12322 2022년 1월부터 9월까지 총 77명의 노… M4A1 10.19 447 0 0
12321 사이다 한 캔이 1만3000원?…'최소 주문… DNANT 10.29 447 0 0
12320 '아기상어' 英오피셜 차트 스트리밍 8위..… 몽구뉴스 11.17 447 0 0
12319 "주택 11채 불탔는데…" 구룡마을-대모산 … corea 11.19 447 0 0
12318 스페인 감독 “일본 경기에서 전력을 다해 이… 힘들고짜증나 11.28 447 0 0
12317 “옥상에 사람이 매달렸다” 신고…실제 시신이… 0101 11.30 447 0 0
12316 "행동 거슬려" 70대 노모 머리채 잡고 때… 고증 12.24 447 0 0
12315 “단편소설 같아” 엔하이픈 제이, 한국사 폄… 아냐모르냐 01.11 447 0 0
12314 “조산 막는다더니, 아기까지 위험”...세계… context 03.08 447 0 0
12313 자녀 앞에서 아내 때리면 아동학대...법원,… 기자 03.23 447 0 0
12312 "아슈, 아슈" 이름 외친 앵무새…주인 죽인… 담배한보루 03.27 447 0 0
12311 산부인과서 딸 바뀐채 40년… 법원 “1억5… 몸짓 03.27 447 0 0
12310 가혹행위가 "또" 있었던 이번 SSG 2군 … 뉴스룸 07.11 447 0 0
12309 "또 무슨 일이냐"…우산 쓴 알몸남, 빨간불… 한라산 07.25 447 0 0
12308 중학생 아들과 공모해 남편 살해한 40대 2… 색누리당 08.18 447 0 0
12307 "넘어진 애 안 안아줬다고 학대신고"…보육교… 나도좀살자좀 08.19 447 0 0
12306 스토킹에 신변위협 30대 女, 경찰과 집에 … 개씹 08.22 447 0 0
12305 열받은 권칠승 의원 "도대체 이재명대표 수사… 인생은한방 09.13 447 0 0
12304 "성별에 이어 나이까지 직접 정한다"...스… dimension 09.20 447 0 0
12303 '1월 재혼'남현희"15세 연하♥,인생3회차… 베트남전쟁 10.24 447 0 0
12302 '사기 혐의' 전청조, 변호사 선임했다 민방위 11.01 447 0 0
12301 '4차까지 간 술자리' 20대 여직원 간음한… 오늘만유머 11.28 447 0 0
12300 잘 나가던 중소기업이 망해가는 이유 이슈탐험가 12.12 447 0 0
12299 “1군 건설사 부도, 2시 엠바고” 괴소문…… 러키 12.15 447 0 0

 

 

컨텐츠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