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빠



본문

5G 기지국 2곳 중 1곳 LTE와 중복 설치

  • 작성자: 시사
  • 비추천 0
  • 추천 0
  • 조회 419
  • 2023.08.28

[視리즈] 5G 3.5㎓ 기지국 설치맵 분석➋
상용화 5년차에도 음영지역 많아
전국망 구축 속도 내기 쉽지 않아
혐오시설 취급 받는 이통사 기지국
LTE·5G 주소 겹치는 장소 숱해
기지국 숫자 늘리기 어려운 문제
3.5㎓ 전국망 구축의 걸림돌
5G 가입자 순증 LTE에 역전
6G 시대에도 같은 문제 겪을 듯


LTE보다 20배 빠른 속도를 내는 '진짜 5G' 28㎓는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사실상 실패했다. 정부와 이통3사는 28㎓가 전국망 구축이 어렵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침묵했다.

# 그나마 순조롭다던 3.5㎓ 역시 전국망 구축 목표 시점은 내년이다. 물론 목표를 달성한다고 지금의 5G가 정부와 이통3사가 호언장담했던 것처럼 LTE보다 20배 빨라지는 건 아니다. LTE보다 약간 더 빨라지는 정도인 데다, 3.5㎓ 기지국도 목표치보다 훨씬 더 많이 늘려야 한다.

# 문제는 3.5㎓ 기지국을 맘껏 늘리는 게 간단치 않다는 점이다. 더스쿠프가 5G 3.5㎓ 기지국 설치맵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이통사는 LTE 기지국이 설치된 장소 2곳 중 1곳에 5G 기지국을 함께 두는 고육지책을 꺼냈다. 이는 이통3사가 이런저런 이유로 5G 기지국을 순조롭게 늘리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5G 3.5㎓ 기지국 설치맵 분석, 두번째 편이다. 


0000001534_001_20230828131901601.jpg?typ
국내 5G는 3.5㎓ 기준으로도 전국망이 구축되지 않았다.[사진=연합뉴스]


우리는 5G 3.5㎓ 기지국 설치맵 첫번째 편에서 정부와 이통3사가 숨기고 있는 '5G의 실체'를 냉정하게 분석했다. 이통3사는 5G 상용화 초기 'LTE보다 20배 빠른 속도'를 강조했는데, 이는 실체 없는 마케팅에 불과했다.

이 심각한 문제를 한번 더 요약해보자.  정부는 5G 세계 최초 상용화를 앞두고 5G 서비스에 적합한 두 종류의 주파수 대역(3.5㎓ㆍ28㎓)을 이통사에 경매로 할당했다. 이중 'LTE보다 20배 빠른 속도'를 기술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주파수는 28㎓였다.

하지만 28㎓는 속도는 빠르지만 대국민 서비스로 적합하지 않다는 결함을 갖고 있었다. 전파 도달거리가 지나치게 짧았기 때문이다. 국토 면적이 좁고 산악지형인 데다 건물 밀집도가 높은 한국에선 애초부터 28㎓ 전국망을 구축하는 건 불가능했다.

실제로 이통3사의 28㎓ 기지국 구축 이행 실적은 턱없이 저조했고, 정부는 부진한 실적을 문제 삼아 주파수를 회수했다. 공정위는 서비스 속도를 부풀려 광고했다는 이유로 이통3사에 거액의 과징금을 부과하기도 했다. 
 
이제 통신 소비자에게 남은 5G 주파수는 3.5㎓인데, 이통3사는 이마저도 '전국망'을 구축하지 못했다. 물론 3.5㎓의 전국망에 성공하더라도 통신 소비자들이 'LTE보다 20배 빠른' 5G를 제대로 누릴 수 있는 건 아니다. 3.5㎓의 속도는 LTE보다 약간 빠른 수준이다.

그렇더라도 3.5㎓ 기지국을 탄탄하게 만드는 건 이통3사가 해야 할 일이다. 그래야만 통신 소비자들이 '5G의 효과'를 느낄 수 있어서다. 문제는 3.5㎓ 기지국을 가파르게 늘리는 게 쉽지 않다는 점이다. 이동통신 기지국을 혐오시설로 취급하는 건물주가 적지 않다. 수백만원의 임대료를 제안하면서 기지국을 더 늘리려고 해도 설치 허가를 받지 못하기 일쑤다.

5G 기지국을 설치할 곳이 마땅치 않다는 건 더스쿠프 조사에서도 잘 드러난다. 우리는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박완주(무소속) 의원실을 통해 LTEㆍ5G 기지국 주소를 입수해 LTE 기지국과 5G 기지국의 주소가 얼마나 겹쳐있는지를 따져봤다. 

결과는 흥미로웠다. 전국 곳곳 5G 기지국이 설치된 장소는 21만5451곳(4월 말 기준)이었다. 이중 10만7623곳이 LTE 기지국과 같은 주소에 설치돼 있었다. 비중으로는 50%. 5G 기지국이 설치된 장소 2곳 중 1곳엔 LTE 기지국이 있다는 얘기다.[※참고 : 더스쿠프는 이통사가 과기부에 신고한 LTE 기지국과 5G 기지국 설치 주소를 대조했다. 하나의 주소에 여러 대의 장비가 놓여있는 경우는 하나로 따졌다. 순전히 기지국 설치 장소(사이트)로만 비교했다.]

0000001534_004_20230828131901751.jpg?typ


인프라가 밀집한 서울시의 경우 중복 비율이 더 상승했다. 서울엔 총 3만1216개의 5G 기지국 사이트가 있는데, 이중 1만7208개가 LTE 기지국과 겹쳐 있었다. 55.1%의 비중이다.

인천시의 5G 기지국 사이트 9197개 중 5116개가 중복됐고, 경기도는 5만2856개 중 2만7215개의 주소가 LTE 기지국 주소와 같았다. 인천은 55.6% 경기도는 51.4%의 비중으로 중복 설치돼 있었다. 수도권 5G 기지국 과반은 LTE 기지국이 놓인 그곳에 설치돼 있다는 얘기다. 

이 분석은 이통3사가 앞으로 3.5㎓ 기지국을 늘리는 게 만만치 않다는 걸 시사한다. 이동통신 장비업계 관계자는 "기지국 설치 허락을 이미 얻은 장소에선 기지국 장비를 새롭게 설치하는 게 더 수월하기 때문에 이통3사는 LTE 기지국이 설치된 장소에 5G 기지국을 추가로 얹는 전략을 썼다"면서 "만약 기지국 설치 장소를 옥내로 한정해서 비교하면 장소가 겹치는 비율은 더 높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이통3사의 고육지책이었다. 5G 기지국 설치장소가 마땅치 않으니 기존 LTE 기지국이 설치된 장소에 5G 기지국을 놔야 했다는 거다. 도심 번화가의 낮은 건물이나 아파트단지 상가 옥상에 여러 대의 기지국 안테나가 덥수룩하게 놓여있는 경우가 유독 많은 건 이 때문이다. 정부의 5G 기지국 최종 목표수량은 45만국이고 지금보다 갑절의 기지국을 촘촘하게 깔아야 하는데, 설치 장소 부족은 큰 걸림돌이 될 수밖에 없다. 

실제로 기지국이 밀집된 서울 지역의 경우, 최근 들어 기지국 구축 실적이 부진하다. 이통3사는 상용화 초기인 2019년 서울 지역에 1만8323개의 기지국을 구축했다. 2020년엔 1만2595개, 2021년엔 6354개였다. 그러다 지난해엔 2587개로 뚝 떨어졌다. 기지국을 철거하라는 민원 때문인지 오히려 숫자가 감소하는 시기도 있었다. 지난해 3분기의 경우 서울 5G 기지국 숫자가 직전 분기 대비 252개 감소했다.

0000001534_003_20230828131901696.jpg?typ


이동통신 업계 관계자의 설명을 들어보자. "사실 3.5㎓로 전국망 목표 숫자인 45만개를 구축하더라도 음영지역을 완전히 해소할 순 없다. 지금처럼 커버리지가 닿지 않는 지점은 LTE로 전환될 거다. 아무리 촘촘히 설치하더라도, 5G 주파수의 기본적인 전파 도달거리가 짧으니 어쩔 수 없다. 실내에서도 네트워크가 잘 작동하도록 기술적인 발전이 이뤄지고 있는 건 사실이지만, 결국 이런 기술도 실내에 기지국이 있어야 가능한 일이다. 5G 요금을 내고도 LTE 네트워크를 쓰는 문제는 시간이 지나더라도 해결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 6G 시대에도 거짓말할까 = 당장의 품질이 신통치 않고, 진짜 5G를 둘러싼 기대도 꺾였으니 5G 모객 실적이 갈수록 떨어지는 건 당연한 일이었다. 올해 4월 국내 5G 가입자 수가 3000만명을 돌파하는 경사를 누렸지만, 속내를 들여다보면 초라했다. 

올해 5G 가입자 수 순증 지표는 3월 46만명, 4월 42만명, 5월 41만명, 6월 32만명으로 급격하게 줄어들고 있다. 5G 가입자 순증 실적이 30만명대에 그친 건 5G 불통 논란이 한창이던 2019년 11월~2020년 1월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반면 구세대의 유물 같은 기술로 당장이라도 퇴장할 것 같았던 LTE 가입자 수는 되레 늘고 있다. 3월엔 2만명을 늘렸고, 4월엔 31만명, 5월엔 6만명을 추가했고 6월엔 74만명이 새롭게 가입하면서 지난해 9월 무너졌던 4700만명대를 회복했다. 올 6월 기준으로 따지면 LTE 모객 실적이 5G를 앞섰다. 이동통신업계는 올해를 5G 가입자가 LTE 가입자를 넘어서는 '골든크로스'의 기점이 될 것으로 확신했는데, 되레 LTE와 5G 순증 실적만 엇갈렸다. 그만큼 많은 소비자가 5G에 등을 돌리고 있다는 거다.

0000001534_002_20230828131901643.jpg?typ
5G 가입자 증가세는 꺾이고 있다.[사진=뉴시스]
0000001534_005_20230828131901821.jpg?typ



이런 문제는 차세대 이동통신기술인 6G 기술 패권 경쟁에 뛰어든 우리나라 정부의 계획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6G 시대에선 속도와 커버리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저궤도 위성 통신의 역할이 중요하게 꼽힌다. 

저궤도 위성 통신을 제대로 활용하려면 고주파 지상 기지국의 설치가 필수다. 28㎓보다 더 높은 대역의 주파수 기지국을 앞으로 더 많이 설치해야 한다는 얘기인데, 앞서 살펴봤듯 기지국을 늘리는 건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결국 고육지책으로 LTEㆍ5G 기지국이 설치된 주소에 또 새롭게 6G 기지국을 얹어야 할 공산이 크다.  

6G의 이론적 최고 속도는 1Tbps다. 기가비트 단위로 환산하면 1000Gbps다. 우리는 써보지도 못한 '진짜 5G(20Gbps)'와 비교해도 50배나 더 빠른 속도다. 2030년쯤으로 예상되는 6G 상용화 시점, 그때도 인프라를 제대로 갖추지 못한 채 빠른 속도만 강조하면서 가입자를 모을까. 이제 우리 국민들은 5G 때만큼 순진하지 않다.


http://n.news.naver.com/article/665/0000001534

추천 0 비추천 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close]

댓글목록

이슈빠



이슈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쓰레빠 슬리퍼
10495 수도권 990명, 이대로라면 수도권 4단계도… 책을봐라 07.07 419 0 0
10494 "NC 확진 선수, 호텔서 외부인과 술판".… 베트남전쟁 07.14 419 0 0
10493 8월 물량 반토막…모더나 계약서엔 '공급 일… note 08.11 419 0 0
10492 김정은 “10월 초부터 남북 통신연락선 복… 신짱구 09.30 419 0 0
10491 의붓딸 강제추행 40대 징역 18년 암행어사 11.09 419 0 0
10490 카자흐스탄 대통령, 시위대에 "경고 없는 발… 폭폭 01.08 419 0 0
10489 코로나 변이에 날개 꺾인 해외여행…작년 항공… 검은안개 02.03 419 0 0
10488 박보영, 5천만원 기부…저소득 여성청소년 지… 소련 02.14 419 0 0
10487 정부 "벨라루스도 수출 통제 조치…러 침공 … blogger 03.06 419 0 0
10486 우크라이나 한국교민의 처절한 탈출기…"생지옥… 삼성국민카드 03.12 419 1 0
10485 "상임이사국 거부권 행사하면 총회서 토론".… 조읏같네 04.28 419 0 0
10484 이근 “병가내고 한국서 치료 후 우크라로 복… 스콧트 05.24 419 0 0
10483 전세계 '원숭이두창' 확진자 벌써 400명 … 난기류 05.30 419 0 0
10482 방역당국 "마스크 젖으면 감염 취약…물 뿌리… 국제적위기감 06.17 419 0 0
10481 “카슈끄지는 누가 죽였나”…바이든 vs 무함… 미해결사건 07.17 419 0 0
10480 공중화장실 에어컨 훔친 '황당 공무원' 서울… 18딸라 07.19 419 0 0
10479 빙속 올림픽 메달리스트 음주에 운전까지 파문… 슈퍼마켓 07.23 419 0 0
10478 경부고속도로 반포IC 진출입 불가(22시2… 김웅롱 08.08 419 0 0
10477 "러시아군, 포위당했다"…푸틴에 복수혈전, … 선진국은좌파 09.07 419 0 0
10476 김천서 무궁화열차에 60세 안팎 여성 숨져 담배한보루 09.12 419 0 0
10475 푸틴 한마디에…국경검문소 대기줄만 5㎞, 러… ABCDE 09.24 419 0 0
10474 러시아 이미 전술 핵 훈련했다...핵 '아마… 쾌변 10.15 419 0 0
10473 처제와 사귀려고…아내 살해한 40대男, '보… 갑갑갑 10.27 419 0 0
10472 내년엔 한 살 어려질까···국회, 尹공약 ‘… gami 10.27 419 0 0
10471 베트남 미확인 열병 유행...700여명 등교… 신짱구 10.28 419 0 0

 

 

컨텐츠 상단으로 이동